• 제목/요약/키워드: Hovering Informa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SRFIMF를 이용한 멀티팬 부상기의 YAW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Yaw Control of Multi-Fan Hovering with SRFIMF)

  • 박선국;최부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61-370
    • /
    • 1992
  • 수직 이착륙기와 같은 비행체의 정지비행 도중 비행체의 위치각, 각속도, 각가속도와 같은 상태량을 궤환 시킨 SRFIMF(State Rate Feedback Implicit Model-Following)이론을 이용하여 4개의 팬을 갖는 부상제어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 부상제어시스템의 yaw제어를 행하여, 각 상태궤환이득 및 전향경로 이득을 변화시켜 부상제어시스템의 특정을 해석하였으며, 부상시스템과 같은 제어계에 SRFIMF방식을 적용시켜 그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 PDF

회전팔 추진기를 가진 시험용 HAUV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overing AUV with A Rotatable-Arm Thruster)

  • 신동협;배설봉;주문갑;백운경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65-171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hardware and software of a test-bed of a hovering AUV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Test-bed to develop as the underwater robot for the hovering -type is planning to apply for marine resource development and exploration for deep sea. The RTU that controls a azimuth thruster and a vertical thruster of test-bed is a intergrated-type thruster. The main control unit that collects sensor's data and performs high-speed processing and controls a movement of test-bed is a underwater hybrid navigation system. Also it transfers position, posture, state information of test-bed to the host PC of us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he host PC checks a test-bed in real time by using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at is implemented by LabVIEW.

Hovering에서의 헬리콥터 자세제어를 위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 (Sliding mode control for helicopter attitude regulation at hovering)

  • 임규만;함운철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3권6호
    • /
    • pp.563-56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약간의 가정하에 리모트 제어용 모형 헬리콥터의 동역학방정식을 유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하여 헬리콥터의 자세안정을 위한 제어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어이론으로서는 파라메타의 변화및 외란에 강인한 가변구조 제어이론을 활용하였다. 본 제어 알고리듬에서는 헬리콥터의 위치이동 제어에 대하여서는 다루지를 못하였으며, 단지 헬리콥터의 hovering 상태에서의 자세 안정화에만 촛점을 두어 제어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모사를 통하여, 제안된 제어 제어 알고리듬의 타당성을 보였으며, 약 2-3초의 시간이 경과된 이후 자세가 안정화 됨을 볼 수 있었다.

  • PDF

멀티콥터의 자율비행을 위한 호버링 시스템 (Hovering System for Autonomous Flight of Multi-copter)

  • 김형수;박병호;한영환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49-56
    • /
    • 2018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무인항공기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드론을 활용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드론의 비행 제어는 가장 기본이 된다. 드론의 비행제어 중 특히 자율비행을 가능하게하기 위해서는 호버링 제어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의 호버링 제어를 위해 ATmega2560과 소나, Optical Flow, 가속도/자이로 6축 센서를 바탕으로 드론을 설계하고 PID 제어를 기반으로 한 수평제어, 고도제어, 위치 추적 및 고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의 객관적인 결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간에 따라 드론이 이륙하는 직후부터 고도를 유지하고 위치를 고정하고 안정적인 호버링을 유지할 때까지의 이동 값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결과 드론은 기준좌표의 50cm 상공에서 수평 4cm, 수직 2cm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호버링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부상기의 자세제어를 위한 강인한 제어기의 설계 (A robust controller design for attitude control of hovering vehicle)

  • 최연욱;이형기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4S권12호
    • /
    • pp.41-49
    • /
    • 1997
  • This paper deals with the attitude control of a self-made VTOL vehicle which is round shape and has four fans and motors. Although hovering mechanisms are suitable for field work at a mountainous region or a building site etc., it is known that modeling the structure of the plant is quite difficult due to its unstable or uncertain characteristics. So, a robust controller is requried in order to cope with these uncertainties. WE first model the structure of the plant under the actual hovering setting and then determine the uncertainty of the acquired mathematical model by using system identification method as exactly as possible. We adopt the $H^{\infty}$ theory as a control algorithm because of its availability, and the structure of two-degree-of-freedom is used as a basic feedback control system to improve the transient response of the plant. Finally, we show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signed controller throug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hat is, the proposed VTOL system is able to maintain its roubust performance in spite of parameter variations and existing disturbances..

  • PDF

딥러닝을 이용한 쿼드콥터의 호버링 제어 (Quadcopter Hovering Control Using Deep Learning)

  • 최승욱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2_2호
    • /
    • pp.263-270
    • /
    • 2020
  •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UAV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for autonomous quadcopters, where they can apply logistics, rescue work etc. we propose high-speed hovering height and posture control method based on state feedback control with CNN from camera because we can get image of the information only every 30ms. Finally, we show the advantages of proposed method by simulations and experiments.

실내 환경에서의 능동카메라 기반 쿼더콥터의 호버링 제어 (Onboard Active Vision Based Hovering Control for Quadcopter in Indoor Environments)

  • 진태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9-26
    • /
    • 2017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sign and performance of UAV system toward compact and fully autonomous quadrotors, where they can complete logistics application, rescue work, inspection tour and remote sensing without external assistance systems like ground station computers, high-performan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or motion capture system. we propose high-speed hovering flyght height control method based on state feedback control with image information from active camera and multirate observer because we can get image of the information only every 30ms. Finally, we show the advantages of proposed method by simulations and experiments.

BLE Finger printing 연계를 위한 optical flow기반 Drone 실내 위치인식 및 호버링 (Drone Indoor position recognition and hovering technology based on optical flow for Finger printing)

  • 이준범;이도희;서효승;조주연;손봉기;이재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6-8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optical flow sensor를 이용하여 실내의 바닥 영상인식를 통한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해 움직임 없는 hovering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optical flow와 BLE finger printing 기법을 혼합해 위치 인식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고에서는 optical flow sensor와 BLE finger printing의 두 기술을 혼합하면 드론 스스로 실내에서 정밀도 높은 위치인식이 가능 하며 실외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GPS 비행모드를 대신 할 수 있어 실내에서 자동 경로 비행이 가능하게 하고 위치 안내, 실내 방송촬영, 이동식 CCTV등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Hybrid 비행 모드를 갖는 Quadrotor-Plane의 비행제어실험 (Flight Control Test of Quadrotor-Plane with Hybrid Flight Mode of VTOL and Fast Maneuverability)

  • 김동균;이병진;이영재;성상경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759-765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the principle, dynamics modeling and control, hardware implementation, and flight test result of a hybrid-type unmanned aerial vehicle (UAV). The proposed UAV was designed to provide both hovering and fixed-wing type aerodynamic flight modes. The UAV's flight mode transition was achieved through the attitude transformation in pitch axis, which avoids a complex rotor tilt mechanism from a structural and control viewpoint. To achieve this, a different navigation coordinate was introduced that avoids the gimbal lock in pitch singularity point. Attitude and guidance control algorithms were developed for the flight control system. For flight test purposes, a quadrotor attached with a tailless fixed-wing structure was manufactured. An onboard flight control computer was designed to realize the navigation and control algorithms and the UAV's performance was verified through the outdoor flight tests.

추적이 가능한 쿼드로터 호버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Quad-rotor Hovering Systems with Tracking)

  • 정원호;정재필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74-579
    • /
    • 2016
  • 쿼드로터는 일반 무인항공기와 달리 구조가 단순하고 그 활용 가치가 매우 높아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드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항공 안전사고 또는 분실에 대비한 비행체의 안정성과 위치파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쿼드로터의 모델링을 수식적으로 유도하여 이를 선형화시켜 간단한 제어기로 모델을 안정화시키고 다양한 센서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필터를 거쳐 기울어진 정도를 파악하여 보다 안정한 호버링이 가능한 추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추적시스템은 비행 중인 쿼드로터의 위치를 컴퓨터로 전송해 이를 경로로 나타내어 비행경로를 파악할 수 있고 비행속도, 고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실제 쿼드로터에 사용되는 센서는 외란과 진동에 의해 정확한 센서 값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칼만필터와 상보필터를 통한 센서 결합으로 이를 극복하여 쿼드로터 호버링의 안정성을 PID 제어를 통해 구현하였다. 이를 모의 실험을 통하여 쿼드로터의 속도, 위치, 고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