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rights victimiz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과 인권의식: 우울과 자기인권평가의 매개효과 (Victimization and Human Rights Consciousness: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Evaluation on their own Human Rights)

  • 김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67-280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폭력피해 경험이 우울정서와 자기인권평가의 매개과정을 통해 어떻게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 폭력피해와 인권의식의 인지적 정서적 과정을 설명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한국아동 청소년 인권실태조사'의 중학생 자료 3,662명 사례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구조모형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폭력피해경험은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지만, 자기인권평가의 매개적 과정을 통해 인권의식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폭력피해경험은 우울과 자기인권평가의 이중매개 과정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통제변수인 인권교육은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고, 자기인권평가의 매개과정을 통해서 인권의식에 간접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폭력피해 청소년들의 인권의식 증진을 위한 개입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과제를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권피해 인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Human Rights Victimization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 이창식;박지영;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37-44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인권피해인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2015년 9월부터 11월까지 청소년 554명을 대상으로 경상북도 B군에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일반적 특성 중 학교급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인권피해인식은 읍,면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자아존중감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인권피해인식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존중감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인권피해인식이 완전매개하였다. 끝으로 학교폭력과 인권침해로 자아존중감이 저하된 학생들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하였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간호근무환경이 직장 내 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on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조은경;김문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38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55 nurses from 5 general hospitals in Busan. A dataset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during the month of July 201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3.0 software (IBM Corp., Armonk, NY, USA)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Nursing work environmen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Being a witness to bullying, organizational support, head nurse's leadership, and relationships with peers were found to influence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nd these 4 variables explained 37% of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Conclusions: Formal procedures for cases of bullying and improvements in the leadership of head nurses and peer relationships are crucial to reducing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Hospital executives' efforts to provide sufficient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for nursing services and to improve the welfare of nurses are also needed.

인권피해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and grit between human rights victimization and self-esteem)

  • 이창식;박지영;난제 바코마 다니엘;실비아 엔곤데;아쿠네 페이쓰;메디키 어거스틴 에보카;마 엔수메 파멜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15-21
    • /
    • 2017
  • 본 연구는 인권피해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임의표집한 대학생 233명을 대상으로 설문으로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 및 Macro Process을 수행하였고,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피해는 자아존중감, 성장 마인드셋, 그릿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자아존중감은 성장 마인드셋 및 그릿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Macro Process를 이용한 경로분석 결과 인권피해는 자아존중감, 성장 마인드셋 및 그릿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은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은 인권피해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권 피해를 당한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을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 만족도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 (Stud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chool Life Satisfaction -)

  • 김정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77-485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 생각과의 영향관계에서 학교생활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조사」 자료 중 중·고등학생 1,244명의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았으며, 자살 생각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학교생활만족도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살생각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은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학교생활만족도가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 청소년을 위한 자살예방사업에 대한 시사점과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청소년 자살예방에 근거로 사용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