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logical drought index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7초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수문학적 가뭄지수의 비교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Drought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 이보람;성장현;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호
    • /
    • pp.69-78
    • /
    • 2015
  • 본 연구는 기상학적 가뭄지수가 수문학적 가뭄에 대한 모사정도를 검토하였다. 기상학적 가뭄지수 중에서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강수량 및 증발산량을 변수로 하는 SPEI(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를 이용하였고, 수문학적 가뭄 평가를 위하여 월 총 유입량과 하천수 가뭄지수인 SDI(Streamflow Drought Index)를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수문학적 가뭄지수와의 상관정도를 분석하였다. 월별 상관계수 비교결과, 지속기간 270일에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월 총 유입량과 상관정도가 가장 높아서 0.67로 나타났고 기상학적 가뭄지수로 SDI와의 상관정도는 0.72~0.87이었다. 연별 극한값을 비교한 결과, 월 총 유입량의 최저값과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연관성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SDI와 SPEI가 매우 높은 상관정도를 보였다. 기상학적 가뭄지수로 수문학적 극한가뭄에 해석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만큼 수문 가뭄해석이 목적이라면 유량자료가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가뭄지수가 필요하다.

수문학적 가뭄 예측과 조기대응을 위한 기상-수문학적 가뭄의 연계분석 - 2022~23 전남지역 가뭄을 대상으로 (Combined analysis of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for hydrological drought prediction and early response - Focussing on the 2022-23 drought in the Jeollanam-do -)

  • 정민수;홍석재;김영준;윤현철;이주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3호
    • /
    • pp.195-207
    • /
    • 2024
  • 본 연구는 전남지역 지역을 대상으로 과거에 발생했던 주요 가뭄사상을 선정하여 기상학적 가뭄과 수문학적 가뭄 발생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강우량 및 댐저수량을 입력자료로 일단위의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의 가뭄전이특성을 분석하였다. 최근에 전남지역에서 발생하여 심각한 피해를 야기한 2022~23년의 가뭄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과거에 발생했던 가뭄과 비교하면, 수문학적 가뭄의 지속기간은 2017~2018년 다음으로 장기간인 334일 지속되었고, 가뭄 심도는 -1.76으로 가장 심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SRSI(Standardized Reservoir Storage Index)를 연계분석한 결과, 수문학적 가뭄 대응을 위한 SPI(6)의 선행적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더우기, SRSI와 SPI(12)의 가뭄감시의 유사성을 통하여 미계측 유역의 수문학적 가뭄감시에 SPI(12)의 적용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여름철 우기에 발생하는 장기간의 건조현상은 심각한 수준의 수문학적 가뭄으로의 전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선제적 가뭄대응을 위해서는 다양한 가뭄지수 실시간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하고, 기상-농업-수문학적 가뭄으로의 전이현상을 이해하여 충분한 대응기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기상학적, 농업학적,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한 청미천 유역의 가뭄 분석 (Drought analysis of Cheongmicheon watershed using meteorological, agricultur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ices)

  • 원광재;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6호
    • /
    • pp.509-518
    • /
    • 2016
  • 본 연구는 1985년부터 2015년까지 지속기간에 따른 청미천 유역의 가뭄을 분석하였다. 가뭄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사용하였다. 기상학적 가뭄지수로는 강수량을 변수로 하는 SPI(Standarized Precipitation Index)와 강수량과 증발산량을 변수로 하는 SPEI(Standar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를 사용하였다. SWAT 모형의 모의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학적 가뭄지수인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와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SDI(Streamflow Drought Index)를 적용하였다. 산정 결과, 극한 및 평균 가뭄의 평균에서 2015년과 2014년이 가장 가뭄에 취약함이 확인되었다. 빈도분석에 따른 가뭄의 변동성은 서로 다른 형태를 보였다. 또한 상관분석에서 극한 가뭄 및 평균 가뭄은 PDSI를 제외한 SPI, SPEI, SDI 가뭄지수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각 가뭄지수는 서로 다른 극한가뭄의 시기 및 강도를 보였다. 따라서 가뭄분석시 다양한 특성을 지닌 가뭄지수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SWSI를 이용한 준분포형 수문학적 가뭄 평가 (Evaluation of Semi-Distributed Hydrological Drought using SWSI (Surface Water Supply Index))

  • 권형중;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2호
    • /
    • pp.37-43
    • /
    • 2006
  • A hydrological drought index, MSWSI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was suggested based on SWSI (Surface Water Supply Index). With the available data of spatially distributed observation station of precipitation, dam storage, stream water level and natural groundwater level, South Korea was divided into 32 regions. This was conducted to represent the calculated index as a spatially distributed information. Monthly MSWSI was evaluated for the period of 1974 and 2001.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is result with PDSI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and SPI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and check the applicability of the suggested index in our hydrological drought situation.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한 청미천 유역의 첨두가뭄지수 분석 (Peak drought index analysis of cheongmicheon watershed using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 김수현;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1호
    • /
    • pp.65-73
    • /
    • 2017
  • 본 연구는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1985년부터 2015년까지의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첨두 가뭄심도와 가뭄기간을 분석하였다. 이을 위해 기상학적 가뭄지수로는 강수량만을 변수로 하는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강수량과 증발산량을 함께 고려하는 SPEI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를 적용하였으며, 수문학적 가뭄지수는 유역의 유출량을 변수로 하는 SDI (Streamflow drought index)를 적용하였다. SDI의 경우 청미천 유역을 구축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도출한 유출량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첨두 가뭄심도의 발생시기는 SPI, SPEI의 발생 후에 SDI가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평균적으로 SDI와 SPI는 0.59개월, SPEI는 0.72개월의 차이를 보인다. 최대 발생지체 시간은 SPI, SPEI 모두 2개월을 보인다. 또한 기상학적 가뭄이 해결될 수 있는 강우량임에도 수문학적 가뭄을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MSWSI와 강수인자를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 분석 (Analysis of Hydrological Drought Considering MSWSI and Precipitation)

  • 정민수;이철희;이주헌;홍일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68-67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을 주요인자로 하는 수문학적 가뭄지수 및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문학적 가뭄에 대한 다양성 있는 검토를 수행하였다. 수문학적 가뭄지수는 MSWSI(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를 적용하고, 기상학적 가뭄지수는 SPI(Standardize Precipitation Index)를 이용하여 지수를 산정하였다. 대상범위는 댐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975년부터 2017년까지 43년 기간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중권역 4001 (섬진강 수계)을 대상으로 국내의 가뭄 발생 현황 및 시계열 도시 등에 대한 분석을 함께 수행하였다. 두 지수에 대한 평가에 앞서, 수문순환 과정에서 물 공급의 역할을 갖는 강수를 중심으로 강수와 댐 유입량 및 하천유량에 대한 이동평균별(1개월~9개월) 상관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두 가뭄지수에 대한 월별 및 이동평균별(3개월, 6개월)로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선행적인 가뭄지수 평가인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함께 지체시간을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지수의 다양성 있는 분석결과를 통해 최근 빈번한 발생을 갖는 가뭄 발생에 따른 물이용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활용성을 가질 것으로 판단하였다.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한 첨두가뭄심도 발생시점 및 가뭄기간 분석 (Analysis of peak drought severity time and period using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ices)

  • 김수현;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6호
    • /
    • pp.471-479
    • /
    • 2018
  • 본 연구는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사상의 첨두 심도 발생시점과 가뭄발생 기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 가뭄지수로 기상학적 가뭄지수는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를 사용하였으며, 수문학적 가뭄지수로는 하천가뭄지수(Streamflow Drought Index, SDI)와 표준하천유량지수(Standardized Streamflow Index, SSI)를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농촌과 도시가 공존하는 청미천 유역을 선택하였으며, 평가기간은 1985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32.5년을 평가하였다 하천유량은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한 후에 시계열을 토대로 가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문학적 가뭄은 기상학적 가뭄이 발생한 후에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DI가 SSI보다 SPI와의 첨두 발생시점, 가뭄 시작일의 차이와 평균 가뭄기간이 더 크게 나지만, 가뭄지수의 심도를 비교해보면 일반적으로 SSI가 SDI 보다 심각한 심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가뭄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상학적, 수문학적 가뭄지수 등 다양한 가뭄지수를 검토해야 한다.

수자원 가용능력을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지수의 개발 (Development of a Hydrological Drought Index Considering Water Availability)

  • 박민지;신형진;최영돈;박재영;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6호
    • /
    • pp.165-170
    • /
    • 2011
  • Recently natural disasters such as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rought have been increasing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suggests a drought index, WADI (Water Availability Drought Index), that considers water availability using 6 components (water intake, groundwater level,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level, dam inflow, streamflow, and precipitation) using the Z score and data monitoring on a nationwide level.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was applied in coastal area. For the severe droughts of 2001 spring and 2008 autumn, the index was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reported damage areas. suggested to combine The spatial concordance rate of WADI in 2001 and 2008 for estimation of the degree of drought severity was 50 % and 24 % compared to the actual recorded data respectively.

미래 기후·수문 정보에 따른 국내 가뭄의 전망 및 분석 (Projection and Analysis of Drought according to Future Climate and Hydrological Information in Korea)

  • 손경환;배덕효;안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호
    • /
    • pp.71-8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기후, 수문정보로부터 가뭄전망 정보를 생산 및 분석하고자 한다.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위해 3개 GCMs와 3개 수문모형을 이용하였다. 강수량, 유출량 및 토양수분량으로부터 기상학적, 수문학적 및 농업적 가뭄지수로 분류되는 SPI, SRI 및 SSI를 산정하였다. Mann-Kendall test 결과, 미래 가뭄의 경향은 봄철 및 겨울철에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가뭄발생빈도의 경우 SRI 및 SSI가 SPI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미래 기후변화가 기상학적 가뭄 보다는 수문학적 및 농업적 가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개용 저수지의 한발지수산정 (Drought Index Calculation for Irrigation Reservoirs)

  • 김선주;이광야;신동원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3-111
    • /
    • 1995
  • Drought index calculation based on the principal hydrological parameters, such as rainfall and reservoir storage, can estimate the duration and intensity of drought in irrigation reservoirs. It is difficult to build up a drought criteria since the conditions change variously by the reliability of rainfall. Because of the increasing water demands, it is urgent to prepare a generalized positive countermeasure to overcome drought. Water demands can at calculated but the estimation of drought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ive water management method can be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 drought index and build up a data-base on the reservoir basins for establishing the fundamental hydrological data-base. This Index can observe the behavior of the WSI(Water Supply Index) and the component indices. The results summariz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SI value of zero does not correspond to 100% in average due to the skewness i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2. WSI is not a linear index; that is, given change in terms of water volume or percentage of average does not result in a proportional change on the WSI scale. 3. WSI is not always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rainfall index in magnitude. This is only true if the component indices are of opposite sign. If they are of the same sign, the SWSI will often have a mangitude greater than either of the component indices. This is easily understood, because the concurrence of extreme values of the same sign for the two components is rarer than the occurrence of extreme values for either of the two components individu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