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chaeris radicata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서양금혼초 부위별 추출물의 티로신에이즈,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 및 항산화효과 (Tyrosin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and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Hypochaeris radicata)

  • 고현민;엄태길;송선경;조가영;김주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9-145
    • /
    • 2017
  • Background: Invasion of these invasive plants in the ecosystem threatens the habitat of endemic species, reduces biodiversity, and causes a disturbance in the ecological system. Hypochaeris radicata L. (Asteraceae), the most invasive plant in Korea, particularly in Jeju Island, invades farmlands, and autochthonous forests,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monocultures and modification of the ecosystem structure.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as, we evaluated the biological activity of 70% ethanolic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Hypochaeris radicata L.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70% ethanolic extracts of different parts, such as flower, leaf, stem, and root, of H. radicata were investigat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flower extracts ($50.82{\pm}3.16mg{\cdot}QE/g$). In addition,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was observed in flower extract ($15.19{\pm}2.03mg{\cdot}QE/g$). The flower extract of H. radicata exhibited stronger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than the other parts. The flower extract of H. radicata was observed to have the highest tyrosinase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Conclusions: The flower extracts of H. radicata exhibited remarkable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tyrosinase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These activities might be related to the phenolic compounds present in the H. radicata flower extract.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 추출물의 화본과 사료작물에 대한 타감작용 효과 및 phenole 화합물의 조성 (Composi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Hypochaeris radica L. Extracts and their Allelopathic Effects on Gramineous Forage Crops)

  • 김옥임;박선일;정일민;하상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1-397
    • /
    • 2005
  • 본 연구는 귀화식물인 서양 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이 화본과 사료작물인 tall fescue, perennial ryegrass, italian ryegrass 3 종류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타감작용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료작물 생장에 미치는 서양 금혼초 수용성 추출액의 영향을 상대 생장율(relative elongation ratio; RER)로 조사한 결과, italian ryegrass가 다른 두 종류 보다 생장이 가장 크게 억제 되었다.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엽신중, 생체중 및 건물중으로 조사한 결과, 3종류 사료작물 모두 생장량이 감소하였다. 서양 금혼초 수용성 추출액의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3종류사료작물의 생장량이 크게 억제 및 감소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로 서양 금혼초 수용성 추출액은 타감작용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서양 금혼초에 함유되어 있는 allelochemicals 물질을 HPLC에 의해 성분 분석한 결과, 부위별로 함량과 조성의 차이가 있었으나 ${\rho}-hydroxybenzo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caffeic acid, syringic acid, salicylic acid, ${\rho}-coumaric$ acid, ferulic acid, hesperidin, frans-cinnamic acid, naringenin 등 11종류의 phenolic compounds 성분이 동정되었며, caffeic acid, ferulic acid, naringenin 3종류는 서양 금혼초 모든 부위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의 알레로패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Catsear (Hypochaeris radicata L.)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 차진우;김현철;강정환;김태근;정대천;송상철;이희선;송진영;송창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9-145
    • /
    • 2014
  • 서양금혼초의 군락 형성에 따른 경쟁적 우세원인을 규명하고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생육특성과 Allelopathy 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양금혼초의 생육특성은 예초지역과 비예초지역간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 직경과 화주 수를 비교한 결과 예초지역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의 직경과 화주수가 비예초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레드클로버(Trifolium pratense), 들묵새(Festuca myuros),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등 실험식물 14종 대해 발아와 생장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검정식물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털, shoot, root의 생장이 억제되었고 검정식물의 종류와 부위에 따라 억제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실험곰팡이의 생장에 있어서는 Pythium속, Phytophthora속은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Rhizoctonia속인 경우에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장억제 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서양금혼초의 예초는 서양금혼초의 Split현상을 유도하여 더 많은 영양번식과 종자번식을 일으켜 군락을 형성하고, 서양금혼초에 함유된 allelochemicals에 의해 타 식물체의 발아와 생장, 미생물의 생장 등에 관여하기 때문에 제주도내 생태계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친환경농자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태계교란 식물인 서양금혼초의 발생특성과 관리방안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s of an ecosystem-disturbing plant, Hypochaeris radicata)

  • 이인용;김승환;이용호;홍선희
    • 환경생물
    • /
    • 제41권3호
    • /
    • pp.273-282
    • /
    • 2023
  • 서양금혼초의 원산지는 유럽 또는 유라시아 원산으로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에는 1992년에 처음 확인되었고 주로 제주도에 많이 발생되다가 점차 내륙으로 확산되고 있다. 로제트 형태로 월동하다가 5~6월에 노란색 꽃을 피운다. 서양금혼초는 종자와 뿌리줄기로 번식한다. 종자의 발아적온은 15/20℃(주/야)이고, 뿌리줄기는 토심 2~3 cm 깊이에 새로운 개체를 형성한다. 서양 금혼초의 뿌리에서는 다른 식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타감 물질이 분비된다. 일부 샐러드나 목초 대체식물로 이용되나 제한적이다. 그러나 서양금혼초가 함유하고 있는 암피실린(ampicillin)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어 항암, 항염증 등에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서양금혼초를 경종적 그리고 물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은 제한적이다. 과수원에서는 oxyfluorfen, dichlobenil과 같은 토양처리제나 glufosinate-ammonium, glyphosate와 같은 비선택성 경엽처리제가 사용된다. 생물학적 방제인자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의 수용추출물이 사료작물에 미치는 allelopathy 효과 (The Allelopathic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Hypochaeris radicata L. on forage Crops)

  • 김옥임;박선일;정일민;하상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71-878
    • /
    • 2005
  •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inne)에 함유되어있는 화학물질이 사료작물의 미치는 allelopathy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서양금혼초에 함유되어 있는 allelochemicals 물질을 HPLC에 의해 성분 분석한 결과 계절적, 부위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rho$-hydroxybenzo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caffeic acid, syringic acid, salicylic acid, $\rho$-coumaric acid, ferulic acid, naringin, hesperidin, myricetin, krans-cinnamic acid, quercetin, naringenin 등 14 종류의 phenolic compounds 성분을 확인하였고 caffeic acid, ferulic acid, naringenin 3종류는 공통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월에는 일, 7월에는 꽃과 뿌리에서 많은 양의 phenolic acids가 함유되어있고 특히 뿌리에 sali-cylic acid $2085.6{\mu}g/g$,와 quercetin $1522.0[\mu}g/g$,로 함량이 높았다. 서양금혼초 수용성 추출액으로 처리한 사료작물의 생장을 조사한 결과 품종에 따라 처리구와 대조구의 값이 같은 경우도 있으나 모든 조사 항목에서 대조구 보다 처리 값이 낮아 사료작물의 생장이 억제 된 것이 확인되었고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수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사료작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 서양금혼초는 사료작물에 대한 allelopathy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특히 화본과 사료작물의 경우 italian ryegrass, 콩과 사료작물의 경우는 purple alfalfa가 생장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Invasive Alien Plant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Biomaterials

  • So Jin Kim;Su Hyeong Heo;Min Gun Kim;Kyung Hwan Boo;Chang Sook Ki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2-112
    • /
    • 2022
  •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invasive alien plants in Jeju as a functional biomaterial. To achieve this purpose, 70% ethanol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were prepared for five invasive alien plants (Hypochaeris radicata, Rumex acetosella,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Solanum viarum, Lactuca scariolar) and their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effects were investigat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invasive alien plants was shown in the order of Rumex acetosella > Hypochaeris radicata > Humulus japonicus.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4 species) and oral cavity-induced microorganisms (6 species) was measured. As a result, the extract of Humulus japonicus showed high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E. coli, V. parahaemolyticus) and oral microbes (L. casei, S. epidermidis, E. faecalis).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invasive alien plant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NO production inhibition activity was highest in the Rumex acetosella and the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ethanol extract, and the NO production inhibition activity was concentration-dependent. In addition, the Rumex acetosella and the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ethanol extract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ory effect on cytokine (IL-6) production. These extracts also showed inhibitory activity of COX-2, an inflammatory protein. This suggests that NO production inhibition activity by the extract of invasive alien plants is the result of inhibition of iNOS and COX-2 expression. Currently, organic solvent fractions of crude extract are manufactured and the investigation of active ingredients is continuing along with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such as anti-inflammatory.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 major data for the study on the separation and utilization of active ingredients with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using foreign plant crude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and are highly likely to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and cosmetics materials.

  • PDF

농업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식물 7종의 분포 특성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예측 (Potential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Seven Agricultural Indicator Plant Speci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t Agroecosystem in South Korea)

  • 남형규;송영주;권순익;어진우;김명현
    • 생태와환경
    • /
    • 제51권3호
    • /
    • pp.221-233
    • /
    • 2018
  • 본 연구는 농업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식물의 현재와 미래의 분포 특성을 예측하고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전국을 대상으로 총 108개 지점에서 지표식물 7종(광대나물, 꽃마리,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 큰망초, 서양금혼초)의 실제 분포 유무 자료를 수집하고 Maxent 모형을 적용하여 현재와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미래의 잠재적 분포를 예측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분포 예측에서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 3종은 전체 분포 면적은 감소하였지만 분포 범위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큰망초와 서양금혼초 2종은 분포면적과 범위가 모두 확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광대나 물과 꽃마리 2종은 분포 면적이 급격히 줄어들어 국지적으로 분포하거나 일부 해안가에만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광대나물, 꽃마리,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의 경우 토지피복도나 고도와 같은 비기후인자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큰망초와 서양금혼초는 기후인자가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기후변화 지표식물의 분포 예측 특성은 향후 지표식물의 모니터링 방향과 관리 계획 설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평천(임실), 추령천(정읍) 일대의 식물상 및 식생 단면도 (Vegetation Sectional View and Flora in the Sinpyeong Stream (Imsil), Churyeong Stream (Jeongeup))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81
    • /
    • 2011
  • The flora of the Sinpyeong and Churyeong stream were listed 324 taxa; 87 families, 227 genera, 289 species, 1 subspecies, 31 varieties and 3 forms. The Sinpyeong stream were 249 taxa and Churyeong stream were 221 taxa. Based on the rare plants (IUCN)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were recorded; Penthorum chinense (Crassulaceae), etc. and endemic plants, 6 taxa; Weigela subsessilis (Caprifoliaceae), Lycoris flavescens (Amarylidaceae), etc. Based on the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12 taxa (3.7% of all 324 taxa of flora); Monochoria korsakowi (Pontederiaceae), etc. in class III. 10 taxa (Salix glandulosa (Salicaceae), Ulmus parvifolia (Ulmaceae), Impatiens noli-tangere (Balsaminaceae),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Tiliaceae), Nymphoides peltata (Gentianaceae), Actinostemma lobatum (Cucurbitaceae), Cirsium pendulum (Compositae), Microstegium japonicum (Gramineae), etc.) in class I. Based on the naturalized plants, 51 taxa and ecosystem disturbing wild plants, 6 taxa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Aster pilosus, Ambrosia artemisiaefolia, Hypochaeris radicata, Paspalum distichum var. distichum) and naturalization rate was 15.7% of all 324 taxa of flora, urbanization index was 18.8% of all 271 taxa of naturalized plants. Based on the hydrophytes, 23 taxa and emergent hydrophytes were 17 taxa, floating-leaved hydrophytes were 3 taxa, submergent hydrophytes were 2 taxa, free-floating hydrophytes was Spirodela polyrhiza.

부산광역시 낙동강 생태공원의 귀화식물상과 특성 - 을숙도생태공원, 맥도생태공원, 삼락생태공원을 중심으로 - (Naturalized Pl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Nakdong River Ecological Park in Busan Metropolitan City - Focused on Eulsukdo, Maekdo and Samnak ecological parks -)

  • 곽수빈;정재현;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1-9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the necessary basic data, to establish management solutions and to improve biodiversity by calculating similarity index, urbanization index (UI), and disturbed index (DI)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and invasive alien plants in Eulsukdo, Maekdo and Samnak ecological parks in Busan, South Korea.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identified in these parks were 76 taxa; 20 families, 53 genera, and 76 species. As a result of the similarity index analysis, the most similarity level (83.0%) was obtained at Eulsukdo and Maekdo parks. The numbers of invasive plants identified in the two parks were 11 taxa; Rumex acetosella L., Sicyos angulatus L., Solanum carolinense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mbrosia trifida L., Hypochaeris radicata L., Lactuca serriola L., Solidago altissima L.,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Paspalum distichum L., and Humulus scandens (Lour.) Merr. Overall, UI and DI were 28.6% and 66.7%,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ecosystem disruption was serious.

제주 성읍민속마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 및 관리방안 (A Study on the Distribution Status and Management Measures of Naturalized Plants Growing in Seongeup Folk Village, Jeju Island)

  • 노재현;오현경;한윤희;최영현;변무섭;김영숙;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7-119
    • /
    • 2014
  • 제주시 성읍민속마을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상 및 귀화식물의 현황을 조사하고, 여타 민속마을과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분포양상 및 발생특성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이곳의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을 모색할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성읍민속마을의 관속식물상은 93과 260속 298종 44변종 12품종으로 총 354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귀화식물은 22과 46속 53종 2변종의 총 55분류군으로 이는 제주도 전역에서 확인된 총 254분류군의 21.7%에 해당된다. 이에 따른 성읍민속마을의 귀화율은 15.5%로서 이는 경북 안동의 하회마을, 경주의 양동마을, 성주의 한개마을, 강원 고성의 왕곡마을 그리고 충남 아산의 외암마을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였다. 마을내 발생한 귀화식물 중 분포지가 제주도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양장구채, 국화잎아욱, 애기달맞이꽃, 긴잎달맞이꽃, 솔잎미나리, 자주풀솜나물, 선풀솜나물, 큰참새피, 등심붓꽃 등 9분류군으로, 귀화식물의 이입 관문이자 선구 발생지로서의 특성을 살린 적절한 관리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제주도 기준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까락빕새귀 리, 삼, 눈개불알풀 등 3분류군이 성읍민속마을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단위문화재 정원내 발생한 귀화식물은 총 20분류군으로 이 중 유럽점나도나물의 출현율이 62.5%로 가장 높았으며, 미국자리공 선개불알풀 망초 방가지똥 큰방가지똥(37.5%)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제주도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민속마을과 레크레이션공간의 공통된 특성으로 보인다. 한편 경관관리적 취급이 요망되는 식물군락은 유채를 비롯하여 귀화식물인 코스모스, 토끼풀, 잔개자리, 긴잎달맞이꽃, 애기달맞이꽃, 서양벌노랑이, 호밀풀, 양장구채, 서양금혼초, 미국질경이, 큰이삭풀, 유럽점나도 나물 등으로 분석되었다. 성읍민속마을의 단기적 귀화식물 관리방안으로는 경관농업적 차원에서 식재되고 있는 코스모스와 유채의 임내 침투 현황과 개화 후 활용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돼지풀과 서양금혼초는 우선적으로 제거하고, 재발에 대비한 추가 발생과 확산과 팽창을 염두에 둔 모니터링의 실시를 제안한다. 특히 서양금혼초는 서식밀도 파악 및 제근 등 물리적인 방제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각적으로 녹시율이 높은 정의읍성 외벽에 자생하는 방가지똥, 약모밀, 주홍서나물, 개망초, 자주광대나물의 제거가 시급하다. 이와 함께 폐 공가에 귀화식물의 분포와 우점도가 높음에 따라 공가에 대한 보존관리 및 민박 활용방안 등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