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CT Training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3초

Short-term ICT Training Program for Non-Computer Science Major Teachers in Developing Countries for Improving ICT Teaching Efficacy

  • Jeon, Yongju;Song, Ki-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73-8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hort-term ICT training course that helps teachers from non-computing disciplines in developing countries acquire flipped-learning content creation skills. A field applic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developed ICT training course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non-ICT subject specialisms in Laos. In the field study, participating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ICT and satisfaction toward the training course are measured. The result of t-test on ICT teaching 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teachers' self-efficacy related to ICT use, both personal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he satisfaction survey performed after training showed that trainee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training course. The results of this field study could be used to propose a short-term teacher education model that could be applicable to teachers in other developing countries.

교원 정보화 연수 현황 및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s' ICT Training Status and Using Realities)

  • 김재현;백진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19-129
    • /
    • 2008
  • 교원의 정보 활용 능력 강화 사업은 교원의 정보화 연수, 정보통신기술 활용강화, 정보교육담당 교원 양성 방면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고, 교원 정보화 연수가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지식정보화사회에 대비하여 교원 정보화 연수의 전반적 상황을 파악하고, 연수를 통해 교수 학습과 담당 업무의 활용 정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한다. 또한, 교원 연수과정과 연수 후 교수학습 활동 및 담당업무와 관련된 ICT 활용도를 분석한다. 이를 근거로 교원정보화 연수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근본적인 교육의 질 향상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ICT 리터러시 교육 활용 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As a Place of ICT Literacy Training)

  • 장윤금;정행순;이혜영;전경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3-294
    • /
    • 2016
  • 본 연구는 한-ASEAN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일환으로 ASEAN(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회원국에서 공공도서관이 정보소외계층인 여성들에게 ICT 리터러시 교육 및 활용 공간으로서 적합한지 알아보고, 향후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ASEAN 회원국 공공도서관 여성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ASEAN 회원국 10개국의 사서 및 정보전문가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8.8%가 공공도서관이 ICT 교육장소로 적합하며, 접근이 편리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도서관 이용 목적에 대하여 27.5%가 정보검색과 이메일 등 ICT를 이용하기 위해 도서관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 및 정보전문가와의 인터뷰 결과 효율적인 ICT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서는 인터넷과 컴퓨터 기반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며, ICT 리터러시 교육 담당자를 위한 기술 교육과 관련 기관과의 협력, 재정 확충 및 세부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A Comparative Study on ICT Policy in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 RHA, Ilju;YOSHIDA, Aya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6권1호
    • /
    • pp.3-39
    • /
    • 2005
  • Korea and Japan have been making a continuous effort to buil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frastructure in schools, and integrate ICT into curriculum by training teachers based on own ICT policies in education. ICT policy in education isparticularly diverse and challenging, in part because the rapid development of ICT continues to create new possibilities for use and demands the transformation of the ways we teach and learn.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ICT policies of Korea and Japan, between 1980's and the present period, in a larger educational and historical context. The study reviews chronological changes in major streamlines of ICT policies of both countries, and discusses in detail changes in two aspects of ICT policies in education, that is, ICT infrastructure and teacher training. The paper points out convergence and diversity of ICT policies in two countries and concludes with a set of guidelines for ICT policy makers.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과 활용능력기준에 기초한 교원정보화 연수 현황 및 문제점 분석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ICT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 Based on the Operating Guide and Skill Standard of ICT)

  • 김종혜;김용;이원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9호
    • /
    • pp.848-856
    • /
    • 2007
  • 교원정보화 연수는 연수내용과 연수의 운영 및 관리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정보화 연수 내용이 응용 소프트웨어 기능 위주의 매뉴얼 학습이 대부분이고, 비체계적이며 중복되는 내용들이 많았다. 또한 정보화 연수가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정보화 연수를 한번도 이수하지 않은 교사들도 있었다. 특히 교원 정보화 연수 및 교원정보활용능력인증제의 기준인 교원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기준(ISST)는 개정된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과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개정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 교원 정보화 연수의 현황을 알아보고, 연수의 내용 및 운영상의 문제점을 ISST와 개정된 정보통신 기술교육 운영지침과 분석해 교원 정보화 연수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Library Professionals' Perception on the ICT Applications in Engineering College Libraries: A study on Tamil Nadu, India

  • Dhanavandan, Sadagopan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5-22
    • /
    • 2017
  • This study discusses the library professionals' perception of the ICT Applications in engineering college libraries in Tamil Nadu. The relevant data was collected from the library professionals in the self financing engineering colleges situated in Kanchipuram and Thiruvallur district of Tamil Nadu. 62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504 replied with a response rate of 80.64%.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with experience 'Below 5 years'gave 'Lack of infrastructure' as the first priority. 'Lack of interest on the part of users' and 'No support from administration in training library professionals' were the second and third preferences indicated by the respondents. The least preferences were given for 'Fear of ICT application'. Similarly, respondents with experience '6-10 years' indicated 'No support from administration in training library professionals' as the first priority. The least preference was given for 'Inadequate training in ICT applications' by the above respondent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rofessionals accepted and need the training in ICT applications.

액션러닝을 활용한 ICT 전파 교육 교원연수 교재개발 및 효과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ICT Electromagnetic Waves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 Training Using Action Learning)

  • 최은선;박남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01-510
    • /
    • 2021
  • 본 논문은 초·중등 교원을 대상으로 ICT 전파 연수교육을 실시하고자 액션러닝을 활용한 교재를 개발한 결과와 이를 시범적으로 적용한 결과를 보여 개발된 교재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서술되었다. 이를 위해 여러 교과목 수업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다양한 교수 자료를 제공하여 교재를 사용할 교원의 편의를 도모하였으며 10차시의 내용 구조로 교재를 구성하였다. 제안된 교재는 교원연수에서의 시범 적용을 통해 전반적으로 ICT 전파에 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으며, 액션러닝 적용 학습을 통해 문제해결력, 협동학습 능력, 민주시민성, 지식정보처리 역량이 제고되어 본 교재가 교원의 ICT 전파 이해도와 역량을 향상하는데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Based PBL System for ICT Training)

  • 안성훈;구본주;고대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141-15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특성과 모형을 탐색한 후 6개의 구성요소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에 따라 시스템을 학습 안내, 학습 문제, 모둠 학습실, 학습 결과, 학습 도우미, 자유 게시판 등 6개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또한, 구현된 시스템을 실제 ICT 활용 초급자에게 적용한 결과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이 기존의 off-line 강의식 수업 방식에 비해 워드프로세싱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학습 흥미도, 토론 참여도, 맞춤 클리닉 활용도, 학습자의 태도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 운영 성과분석 연구 (Result Analysis of Training Programs for Stengthening Teacher's ICT Competency)

  • 서순식;김성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11-120
    • /
    • 2011
  • 이 연구는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과정 내용 및 운영에 대한 현황조사 및 연수과정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연수과정 운영자 심층면담 등을 토대로 기존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의 운영 성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차세대 교원 정보화 연수개발을 위한 현 연수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행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과정은 전체적으로 바람직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사고력 신장을 위한 ICT활용 교육 과정', '미래로 가는 교육 과정', 'ICT활용 문제중심학습 과정'과 같이 보통수준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비교적 높은 과정에 대해서는 운영과정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목표의 실천가능성, 수준별 고려여부, 연수 장소 및 교통편 등의 접근성, 맞춤형 수준별 전략 등의 하위평가영역은 타 영역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교원 정보화 역량강화 연수운영자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이들은 교육현장 요구반영에의 필요성, 강사 재훈련 및 자기계발기회 제공, 지역 전달 연수의 질 관리, 해외 연수사례 국내화 과정에서 특성화, 연수기간의 확대, 연수 후 후속지원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ICT를 활용한 프로젝트기반학습 연수 참여 교사들의 활용 실태 및 촉진 환경 조건 분석 (An Analysis of ICT Implementa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fter a Teacher Training for Project-Based Learning with ICT)

  • 박병호;정한석;이명근;서순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07-116
    • /
    • 2004
  • 본 연구는 초 중등학교 교사들이 ICT를 활용한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Based Learning) 연수를 참여한 후 수업에 ICT를 어떤 방식으로 어느 정도 활용하는지와 이 과정에서 ICT 활용을 촉진하는 환경 조건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걸과에 따르면 연수 후 수업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수업 적용도와 수업 진행을 위한 준비 활동에 대한 변화가 있었으며, ICT활용 수업을 하지 못한 교사들의 경우, 적용을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업 계획 및 준비를 위한 시간의 부족이었다. ICT의 활용을 촉진하는 환경 조건들에 대해서 교사들은 현 상태를 불편하게 인식하고 있지 않으며 시간과 보상을 주요 부족 요인으로 인식하였고,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을 위한 지식과 기능,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휴먼웨어(자원), 참여의식, 제도적, 행정적, 인력 뒷받침(위임), 지도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다고 응답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