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education

검색결과 847건 처리시간 0.027초

A Comparative Study on ICT Policy in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 RHA, Ilju;YOSHIDA, Aya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6권1호
    • /
    • pp.3-39
    • /
    • 2005
  • Korea and Japan have been making a continuous effort to buil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frastructure in schools, and integrate ICT into curriculum by training teachers based on own ICT policies in education. ICT policy in education isparticularly diverse and challenging, in part because the rapid development of ICT continues to create new possibilities for use and demands the transformation of the ways we teach and learn.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ICT policies of Korea and Japan, between 1980's and the present period, in a larger educational and historical context. The study reviews chronological changes in major streamlines of ICT policies of both countries, and discusses in detail changes in two aspects of ICT policies in education, that is, ICT infrastructure and teacher training. The paper points out convergence and diversity of ICT policies in two countries and concludes with a set of guidelines for ICT policy makers.

초등 ICT교육과 중등 컴퓨터교육 연계성에 대한 교사들의 의식 분석 및 개선방안 제안 (Teachers' Attitude Survey and Improved Method Suggestion about Connectivity between ICT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and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 임순희;김성백;박찬정;현정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61-470
    • /
    • 2009
  • 개정된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ICT)교육 운영지침과 컴퓨터교육과정 개정 내용은 컴퓨터과학 원리를 강조하였지만 학문의 연계성, 학생의 발달 단계 등을 고려한 교육이 진행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 중등에서의 ICT교육 실태와 만족도, ICT교육과 컴퓨터교육의 관계성, 초 중등 컴퓨터교육 연계성 측면을 조사 분석하고 초 중등 컴퓨터교육과정에서의 연계성 결여라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초등교사가 ICT교육의 기회는 많으나, 이를 컴퓨터교육과 연결하여 생각하지 않고 있었고, ICT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교사일수록 ICT교육과 컴퓨터교육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초 중등 컴퓨터교육의 연계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결국 이를 보완하기 위한 교사 연수 정책이 요구된다.

  • PDF

단위학교 교육정보화 정책의 의사결정 유형 분석 (Analysis of Decision-making Types for ICT Policy in Elementary School)

  • 이민철;김홍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51-259
    • /
    • 2010
  • 2008년 4월 15일 학교 자율화 계획에 따라, ICT 교육에 대한 국가 수준의 지침은 폐지되었으며, 오히려 학교 수준에서 ICT교육에 대한 책임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정책의 급격한 변화는 단위학교 수준에서 ICT 교육 정책에 대한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 결과로서 학생, 교사, 학교 간의 디지털 격차가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위학교 수준에서 ICT 교육정책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과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ICT 교육정책 의사결정을 위한 새로운 의견을 제시하였다

  • PDF

ICT교육 기반의 사이버 의상디자인 교육과정 설계 (Design of Cyber Fashion Design Curriculum based on ICT Education)

  • 김이영;정은숙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5-102
    • /
    • 2005
  •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의류산업 현장 시스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양질의 의상디자인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활용한 다양한 교과가 개설되어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학습자의 ICT소양의 부족으로 인하여 교육내용 중 상당부분을 ICT교육에 할애해야 한다. 이는 초 중등 교육과정 및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에서 ICT교육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산업 환경과 그에 따른 교육환경에서 의상디자인 전문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ICT소양능력을 규정하고, 그러한 ICT소양능력이 갖추어졌다는 전제하에 정보화 사회에 적합한 ICT를 활용한 의상디자인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 PDF

터키와 한국의 ICT 능력 비교 연구 - PISA 2009와 PISA 2012를 중심으로 (A Study on ICT Competences of Turkey and Korea Focus on PISA 2009 and PISA 2012)

  • 홍명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51-160
    • /
    • 2014
  • ICT 교육은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하는 기본 능력으로 각 나라에서는 새로운 교육 개혁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각 나라별로 수행되고 있는 ICT 교육은 나라별로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ICT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검토하고, 우리와 경제적, 문화적인 수준이 비슷한 터키의 ICT 교육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서로 간의 ICT 교육정책 개발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객관적인 비교 분석을 위하여 PISA 2009와 PISA 2012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우리나라가 터키보다 우수한 점은 가정에서 컴퓨터의 접근도가 좋았으며, 학교에서 정보기기의 접근, 학교에서의 컴퓨터 사용, 학생들의 도구 다루는 능력들은 터키가 우수하였다. 컴퓨터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는 비슷하지만 학교에서 컴퓨터의 사용 형태는 터키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는 ICT 교육 정책을 재정립하여 ICT 교육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초등학생의 ICT소양교육 학업 성취도와 다중지능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Study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ICT Literacy Education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도윤;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03-110
    • /
    • 2004
  • 최근 학교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ICT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앞으로의 교육은 이미 정해진 틀에 학습자를 맞추기보다는 학습자의 개인적 자질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러한 관점은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에 논리적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ICT소양교육도 다중지능을 바탕으로 개개인 학생의 능력과 소질을 잘 판단하여 적합한 교육과정과 교수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CT소양교육의 학업성취도와 다중지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ICT소양교육의 학업성취 우수아와 부진아를 대상으로 어떤 지능이 ICT소양교육의 성취도를 결정하는 요인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논리수학지능이 ICT소양교육의 학업성취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논리수학지능과 언어지능이 ICT소양교육의 학업성적의 우열 결정에 크게 작용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체육수업 ICT 콘텐츠에 관한 연구 (Study on ICT utilization contents for physical education)

  • 강선영;강승애;정형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7-22
    • /
    • 2016
  • 본 연구는 체육수업에서의 ICT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학교 현장에서 사용가능한 체육수업 ICT 콘텐츠 구성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체육과에서의 ICT 활용 교육은 열약한 체육교육 시설 및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운동 기능 습득에 있어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높다. 체육수업에서의 ICT 활용의 유형은 웹 활용 학습과 응용 프로그램 활용 학습으로 나누어 활용되고 있다. 체육 이론수업 ICT 콘텐츠 구성 시 서버를 통해 각 학생들에게 해결해야할 문제를 제시하고 협동학습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팀 토론을 통해 학습문제 해결 방안을 결정 정리하여 서버를 통해 게시하면 교사와 다른 팀들은 발표된 의견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과정을 반복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반면 실기 단원 수업일 경우는 VTR자료나 컴퓨터 S/W를 활용하여 동작의 구체적 원리 등의 익힌 후 수업에 임한다. ICT와는 가장 거리가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던 체육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전환과 함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환경이 겸비된다면 체육교육에서도 폭넓은 ICT 활용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통합사고모형에 기반한 효율적 ICT 활용 전략 (Efficient-Use Strategy of ICT based on Integrated Thinking Model)

  • 이철현;박종오;이태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415-431
    • /
    • 2001
  • 최근 국내 교육계의 최대 관심인 ICT 활용 교육은 활용 측면이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고,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연구도 실용적인 측면만이 부각됨에 따라 기능적인 활용으로 치우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ICT 활용을 이론적 차원에서 모색하여 효율적인 ICT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효율적 ICT 활용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전략 도출을 위한 기초 준거로 인간의 고등 사고를 설정하여 비판적 사고를 포함한 Iowa 교육부의 통합 사고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효율적 ICT 활용을 위한 종합적 사고를 범주화하였다. 또한, 효율적 활용을 위한 ICT를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활용 기술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개념과 상호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렇게 분류한 ICT의 각 영역과 종합적 사고 범주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사고 영역과 ICT 영역간의 관련성 결정 준거'를 논의하였고, 이를 구체화한 'ICT-EUS 도출을 위한 분석 매트릭스'를 설정하여, 도출 과정의 타당성과 도출 결과의 명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ICT의 영역 중 학습 자원, 학습 도구, 학습자, 탐색, 의사소통, 생산, 표현에 대한 ICT-EUS(Efficient-Use Strategy of ICT; 효율적 ICT 활용 전략)를 도출하였다. ICT-EUS는 ICT의 단순한 활용을 넘어서 학습 자원, 도구, 활용 기술 등에 대한 인지적 해석을 통해 학습 목표 달성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OECD 국가들과 한국 학생들 간 ICT 접근성과 활용성 연구-2015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ICT Usability and Availability of Between Korean Students and OECD Students : Focus on PISA 2015)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61-370
    • /
    • 2017
  • 우리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의 소용돌이 속에 있다. 교육도 예외가 아니다. 4차산업의 교육에 소프트웨어가 그 중심에 있다는 것을 모두 다 알 고 있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잘 하기 위해서 ICT에 대한 학생들의 배경 조사가 중요하다. OECD PISA에서 학생들의 ICT 능력에 대한 배경조사를 2003년부터 3년 주기로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4월에 발표한 자료를 기반으로 PISA ICT 통계자료를 분석한다. 학생들의 배경 조사 항목인 81개의 항목들 중에 접근성, 활용성 항목들을 비교 분석한다. 활용성과 접근성을 선형 회귀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최하위였다. ICT 접근성은 30개국 중에 28위이고, ICT 활용성은 31개국 중에 31위이다. 이는 2008년부터 우리나라에서 ICT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지 않는 점이 그대 반영되었다. 앞으로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학생들을 위해서 2000년도에 실시한 ICT 교육을 빨리 실시해야 한다.

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ICT활용능력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lf-evaluation Tool for the Abilities of ICT Application of Teacher to perform teacher's functions)

  • 박선주;강아영;박지은;마대성;김철;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99-306
    • /
    • 2006
  • 교육인적자원부는 ICT 활용 교육을 주도해 나가는데 가장 중심이 되는 교사의 ICT 활용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사의 ICT 활용능력 신장에 관한 대부분의 노력들은 ICT를 직무활동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보다는 기술소양 능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교사의 직무활동을 분석하고, 국내외 교사 ICT 활용능력 평가도구를 비교 분석하여 교사의 ICT활용능력 자기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웹 기반 교사의 ICT 활용능력 자기평가도구를 광주와 전남 지역의 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성별, 직위별, 지역별, 교육경력별 ICT 활용능력 수준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