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 compliance intention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1초

조직의 정보보안 환경이 조직구성원의 보안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Information Security Environment on the Compliance Intention of Employee)

  • 황인호;김대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2호
    • /
    • pp.51-77
    • /
    • 2016
  • Purpose Organizations invest significant portions of their budgets in fortifying information security. Nevertheless, the security threats by employees are still at large. We discuss methods to reduce security threats that are posed by employees in organization. This study finds antecedent factors that increases or decreases employee's compliance intention. Also, the study suggests organizations' security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nfluences the antecedent factors of compliance inten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then applied in order to verify this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Data were collected on 415 employees working in organizations with an implemented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South Korea. We analyzed the fitness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n we analyzed structural model, and derived the result. Findings The result shows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er behavior increase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of employees, while security system anxiety decreases compliance intention. And, organization's physical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communication both have influence on antecedent factors for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of employees. Our findings help organizations to establish information security strategies that enhance employee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조직 내 정보보안 기술스트레스 완화와 준수의도 (The Mitig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Related Technostress and Compliance Intention)

  • 황인호;허성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9권1호
    • /
    • pp.23-50
    • /
    • 2020
  • Purpose As information management grows in importance around the world, organizations are investing in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y. However, the higher th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y in an organization, the higher the techno-stress of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ess factor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y that affect the reduction of employees' intention to comply with information security and to suggest ways to alleviate stres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research presented a model for mitigating technical stres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based on technical stress theory and person-organization fit theory. 346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from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ho applied the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y,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The hypothesis test confirms that security-related techno-stress reduces the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of employees, organizational technical support mitigates technical stress, and person-organization fitness mitigate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compliance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s strategy for minimizing the reduction of the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of employees, and are meaningful in that the theoretical basis for mitigating techno-stress is provided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ecurity.

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자 순응의도가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Healthcare Service User's Compliance Intention on Continuous usage)

  • 이남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5-117
    • /
    • 2016
  • 최근 인구의 고령화 추세 및 웰빙에 대한 관심 증가는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헬스케어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사용자들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여 실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헬스케어 서비스의 효과성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헬스케어 서비스를 통해 추천되는 콘텐츠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순응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행동을 취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헬스케어서비스에 관한 연구들은 순응의 서비스에 대한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는 연구들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사용자의 순응의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는 지를 기존의 의료정보학 및 정보시스템 분야의 이론을 기반으로 실증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순응의도(compliance intention)를 중심으로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였고, 순응의도는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순응의도를 높이는 변수들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조직구성원의 정보보안 준수 및 미준수 원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causes of organization employees)

  • 황인호;허성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29-24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보안 준수의도에 영향을 주는 긍정적, 부정적 측면의 환경적 요인을 제시하고, 개인의 보안 준수의도와의 영향관계를 찾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정보보안 정책 및 기술을 적용하는 조직의 구성원들이며, 설문 조사를 통하여 유효표본을 확보하였다. 분석과정에서 구조방정식모델링을 통해 연구모델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측정변수는 정보보안 정책, 정보보안 시스템, 정보보안 기술적 지원, 업무장애, 비가시성, 조직몰입, 준수의도로 구성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는 보안 준수요인인 정책, 시스템, 기술적 지원과 미준수 요인인 업무 장애가 각각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었으며, 준수의도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모델의 검증 결과를 토대로 조직의 정보보안 준수 수준 향상을 위한 구성원들의 보안 준수 전략 수립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은행 IT 인력의 정보보호 정책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보호 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curity Measures Influencing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Intentions of IT Personnel of Banks)

  • 심준보;황경태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2권2호
    • /
    • pp.171-199
    • /
    • 2015
  • This study proposes the practical information security measures that help IT personnel of banks comply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The research model of the study is composed of independent variables (clarity and comprehensiveness of policy, penalty, dedicated security organization, audit,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 and top management support), a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intention), and moderating variables (age and gender). Analyses results show that the information security measures except 'clarity of policy' and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 are proven to affect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intention.' In case of moderating variables, ag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op management support and compliance intention, but gender does not show any moderating effect at all. This study analyzes information security measures based solely on the perception of the respondents. Future study may introduce more objective measurement methods such as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security measures instead of asking the respondents' perceptio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intention of employees rather than the actual behavior. Future research ma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보안 대책이 지속적 보안 정책 준수에 미치는 영향 (An Understanding of Impact of Security Countermeasures on Persistent Policy Compliance)

  • 박철주;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23-3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원들의 지속적인 정보보안 준수행위를 유도할 있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보안 대책인 보안인식교육과 보안정책을 선행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보안인식교육은 보안 정책과 정보보안 정책의 지속적 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보안 정책의 포괄성은 지속적 보안 정책준수 태도와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보안 정책의 간결성은 태도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윤리 준수인식과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의 내·외적요인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Impacting Individuals' Cyber Ethics Awareness and Behavior Intention)

  • 김상현;박현선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1호
    • /
    • pp.111-138
    • /
    • 2014
  • As the Internet is widely used worldwide, Cyber world has become a part of daily life. On the other hand, the adverse effects of Internet, such as abusive comments, illegal harmful contents, rumor diffusion, infringement on a right have emerged with the increase. Researchers recognized the important of cyber ethics as an effective means of coping with the adverse effects on Internet. But,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related to cyber ethics i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multidimensional motivation factors that cyber ethics awareness and compliance behavior Intention.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might influence Internet users to compliance cyber ethics. Using university students as a sample, one hundred and ninety six are collected for furthe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Moral Obligation, self-control, cyber ethics education and Social Influenc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cyber ethics awareness, while punishment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Second, cyber ethics aware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cyber ethics compliance behavior Inten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ego strength is also significa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stablished a behavior model to understand the compliance of cyber ethics with internet user in Korea.

정보보안 역할 스트레스가 자기 결정성을 통해 준수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 적합성의 조절 효과 (The Effect on the IS Role Stress on the IS Compliance Intention Through IS Self-determination: Focusing on the Moderation of Person-organization Fit)

  • 황인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75-386
    • /
    • 2022
  • 정보자산 보호가 조직의 중요한 관리 요인으로 인식되면서, 조직들은 정보보안 정책 및 기술 도입을 위한 투자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엄격한 정보보안의 적용은 조직원에게 스트레스를 통해 미준수 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보안 역할 강화로 인해 형성된 조직원의 스트레스가 자기결정성을 통해 준수 의도에 미치는 매커니즘을 제시하고, 개인조직 적합성을 통해 준수 의도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는 정보보안 정책을 도입한 기업에 근무하는 조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하였으며, 475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첫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주효과 분석 결과는 역할 스트레스가 자기결정성을 감소하여 준수 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Process 3.1을 적용한 조절 효과 분석 결과는 개인조직 적합성이 자율성, 관계성이 준수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였다. 연구는 조직원의 정보보안 스트레스, 행동 동기의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조직 내부의 정보보안 목표달성 방향을 제언한 측면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조직 내부자의 정보보안 준수 향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of Organization Insider)

  • 황인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4_2호
    • /
    • pp.421-434
    • /
    • 2021
  •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sharing activities using online can increase the threat of information exposure by increasing the diversity of approaches to information within an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ditions for improving the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of insiders to improve th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within the organization. In detail, the study applie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at clearly explains the cause of an individual's behavior and proposes a way to increase the compliance intention by integrating the social control theory and goal-setting theory. The study presente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collected samples by applying a questionnaire technique, and tested hypothes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mply. Also, attachment, commitment, and involvement, which are the factors of social control theory, form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information security. Goal difficulty and goal specificity, which are the factors of goal setting theory, formed a positive self-efficacy. The study presen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suggesting a method of improving the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of employees.

정보보안 동기, 조직 신뢰가 정보보안 준수에 미치는 영향: 업무향상초점의 조절효과 분석 (The Influence of Security Motivation and Organization Trust on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Focusing on Moderation Effects of Work Promotion Focus)

  • 황인호;허성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23-39
    • /
    • 2021
  • 정보보안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조직 내부의 보안 위협은 감소하지 않고 있다. 연구 목적은 조직원의 정보보안 준수의도를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연구는 정보보안 동기와 조직 신뢰가 정보보안 준수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제시하고, 업무 향상초점의 조절효과를 확인한다. 연구 모델 및 가설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실시하며, 정량적 검증을 위하여 정보보안 정책을 도입한 조직의 조직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정보보안 처벌, 가치 일치가 조직 신뢰를 통해 정보보안 준수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업무 향상 초점이 처벌, 가치 일치, 조직 신뢰와 준수의도간의 영향 관계에 조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는 내부자의 정보보안 준수 수준 향상을 위한 조직의 노력 요인을 세부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