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NI-Korea Consortiu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ISNI Korea 컨소시엄의 저작권 권리 단체 데이터 공동 활용을 위한 기술요소 도출 연구 (A Study on Derivation of Technical Elements for Joint Use of Copyright Rights Group Data by ISNI Korea Consortium)

  • 박진호;곽승진;이승민;오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79-392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인명, 단체명에 대한 등록 책임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운영중인 ISNI Korea 컨소시엄의 데이터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요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ISNI Korea 컨소시엄의 경우는 서지 관련 개인, 단체명 정보 외에 다양한 창작물 관련 정보 등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제공기관 협의체인 ISNI Korea 컨소시엄인 저작권 단체의 메타데이터 현황과 ISNI의 링크드 데이터 명세서를 검토하여 향후 필요한 기술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메타데이터 측면에서는 데이터 입수, 정제, 저장, 식별자 관리, 컨소시엄 메타데이터 관리로 총 5개, 링크드 데이터 관점에서 RDF 데이터 관리(저장소), RDF 데이터 발행, RDF 데이터 검색, RDF 데이터 조회, RDF 데이터 다운로드, 온톨로지 조회, 표준용어 조회, 매핑 정보 관리 총 8개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국내 분야별 인명정보 관리를 위한 저자식별체계인 ISNI 활용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의 ISNI-Korea 컨소시엄 참여기관과 비참여기관을 대상으로 한 집단면담 연구방법 이용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SNI for the Personnel Information Management: Having Focused Group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the ISNI-Korea Consortium managed by National Library of Korea)

  • 오상희;곽승진;이승민;박진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1-147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분야별 저작자, 창작자, 기여자 등의 개인과 단체의 공적 신원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하는 국제표준이름식별체계인 ISNI(International Standard Name Identifier)에 관한 것으로 국내 학술, 예술, 문학, 음악 등 단체들의 ISNI에 대한 인식과 활용방안에 대해 조사한 연구이다. 국내 ISNI 발급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의 ISNI-Korea 컨소시엄에 참여하거나 참여하지 않는 13개 기관들을 선정하여 총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면담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집단면담에 참여한 기관들의 인명정보관리 현황과 ISNI 활용에 대한 기대와 장애요인, 구체적인 활용 방안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이 다양한 분야의 기관들과 협력하여 성공적으로 ISNI를 국내에 정착시키고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동시에 ISNI 활성화를 위한 후속 연구도 함께 제안하였다.

ISNI-KOREA 컨소시엄 활성화 및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Revitalizing the ISNI-KOREA Consortium and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

  • 김주섭;강봉숙;김선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39-261
    • /
    • 2024
  • ISNI는 범용적인 전거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는 중계 식별자로서 학술연구자에 한정된 ORCID 대비 다양한 분야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국내의 경우 연구직 및 교육직의 발급이 압도적으로 많아 취지가 점점 퇴색되고 있다. 특히 해외의 경우 출판계의 적극적인 참여로 ISNI 발급이 활발하지만 국내의 경우 출판계를 통한 발급이 전무하다. 본 연구는 국내 출판계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ISNI 발급 확대를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 ISNI-KOREA 컨소시엄 기관과 출판계 등 컨소시엄 확대 가능 기관의 담당자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ISNI 활성화 방안으로 자체 제도 정비, 거버넌스 강화, 홍보 및 교육 그리고 시스템 연계 등 4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정책적 시사점을 해결하기 위한 4대 정책목표 및 12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중장기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ISNI-KOREA 컨소시엄을 운영하는 국립중앙도서관의 ISNI 활성화 관련 정책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