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ersive display media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몰입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mersive Display)

  • 정태섭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58-56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Immersive Media의 종류와 디스플레이에 관하여 논하였다. 디스플레이의 발전은 화면 해상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해상도의 차이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선명도의 발전을 이루면서 더욱 더 몰입을 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좋은 해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디스플레이의 발전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따른 크기와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른 투영방법에 관하여 조사를 하였으며, 이에 따른 Immersive Media제작방법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관하여 논 하고자 한다.

  • PDF

Tiled Stereo Display System for Immersive Telemeeting

  • Kim, Ig-Jae;Ahn, Sang-Chul;Kim, Hyoung-Gon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8권4호
    • /
    • pp.27-31
    • /
    • 2007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icient tiled stereo display system for tangible meeting. For tangible meeting, it is important to provide immersive display with high resolution image to cover up the field of view and provide to the local user the same environment as that of remote site. To achieve these, a high resolution image needs to be transmitted for reconstruction of remote world, and it should be displayed using a tiled display. However, it is hard to transmit high resolution image in real time due to the limit of network bandwidth, and so we receive multiple images and reconstruct a remote world with received images in advance. Then, we update only a specific area where remote user exists by receiving low resolution image in realtime. We synthesize the transmitted image to the existing environmental map of remote world and display it as a stereo image. For this, we developed a new system which supports GPU based real time warping and blending, automatic feature extraction using machine vision technique.

몰입형 디스플레이 기반 체험전시 디자인에서의 게임기획 요소 적용 사례 연구 (An exhibition case study applying game design elements in the design of immersive display exhibition)

  • 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435-441
    • /
    • 2021
  • 최근 디지털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관객에게 실감 나고 사실적인 전시 체험을 제공하는 몰입형 체험전시들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몰입형 체험전시들의 대표사례들을 전시연출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몰입형 체험전시 연출 및 기획에 게임기획 요소를 적용하여 개최 및 운영한 '히어로의 모험' (이하 히어로의 모험) 전시 사례를 소개하였다. 본 전시는 도전, 목표, 갈등, 규칙, 승패와 같은 게임기획 요소를 적용하여, 캐릭터의 갈등구조 설정 및 악당 캐릭터를 물리치는 도전과 목표를 제시하고, 승패를 가루는 전시 게임들을 제공하여, 최종 보스까지 물리치도록 전시를 디자인했다. 연구를 통해 관객의 전시 만족을 위해 게임 요소 적용이 더 효과적이다 보기는 어렵지만, 관객의 콘텐츠 소비 시간을 늘리고 재방문을 높이기 위해서는 게임기획 요소 적용을 고려하는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A Tangible Floating Display System for Interaction

  • Kim, Youngmin;Kang, Hoonjong;Ahn, Yangkeun;Choi, Kwang-Soon;Park, Byoungha;Hong, Sunghee;Jung, Kwang-M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8권1호
    • /
    • pp.32-36
    • /
    • 2014
  • A tangible floating display that can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 views without special glasses being introduced. The proposed system can display perspective floating images in the space in front of the system with the help of concave mirrors. In order to avoid wearing special equipment to interact and deliver the sense of touch, the proposed system adopted an ultrasound focusing technology. For providing an immersive experience to the viewers,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 tangible floating display system and a multiple-view imaging system for generating three lenticular displays in front of the users.

대형 가상현실 공연장을 위한 360도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360-degree Video Streaming System for Large-scale Immersive Displays)

  • 류영일;김건형;;;정세훈;류은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848-859
    • /
    • 2022
  •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D 디스플레이 또는 HMD (Head-Mounted Display) 기반 VR (Virtual Reality, VR)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대형 가상현실 공연장을 위한 360도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Phase 1, 2, 3의 연구개발 단계를 밟아 6DoF (Degrees of Freedom) 시점 자유도를 지원하는 360도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는 Phase 1: 대형 가상현실 공연장을 위한 3DoF 360도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프로토타입의 개발까지 완료되었다. 구현된 스트리밍 시스템 프로토타입은 서브픽처 기반 Viewport-dependent 스트리밍 기술이 적용되어 있으며, 기존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약 80%의 비트율 감소, 약 543%의 영상 디코딩 속도 향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순 구현 및 성능평가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미국 UCSB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에 위치한 대형 가상현실 공연장 AlloSphere에서의 시범방송을 수행하여, 향후 Phase 2, 3 연구단계를 위한 연구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Enhanced Access Grid(e-AG)를 통한 3차원 미디어 공유 (Sharing 3D Media with Enhanced Access Grid(e-AG))

  • 이영호;오세찬;이석희;우운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컴퓨터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7-110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sharing 3D media between multisite using enhanced Access Grid (e-AG) which is a composition of 3D display and Access Grld (AG) Conventional AG and other collaborative systems have a limitation to share immersive 3D media Thus, proposed system supports sharing 3D media contents in a AG meeting section. Real object can be shared by acquiring stereo image with pre-calibrated stereo camera and by delivering, and virtual object can be shared by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after downloading 3D model. And also, real video scene acquired by stereo camera and virtual object from 3D model can be displayed on the 3D display system of each node adap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proposed sharing method are sharing 3D media, displaying 3D media on a system adaptively, supporting real-time interaction. The proposed sharing method will be used remote lecture, remote collaboration with 3D media.

  • PDF

Metaverse Realistic Media Digital Content Development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Research

  • Kyoung-A,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67-73
    • /
    • 2023
  • COVID-19의 영향으로 약 2년 1개월에 걸친 사회적 거리두기의 조치로 ICT 요소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들이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전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여러 분야로 확산되면서 교육자와 학습자가 에듀테크(Edutech)를 활용한 학습 경험이 많아지고 있지만 교육에 대한 몰입도나 집중력 저하 등 비대면 학습을 통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대면 학습을 통해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메타버스 기반 실감미디어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여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자 몰입형 메타버스 기반으로 VR(Virtual Reality)을 활용하여 군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훈련 콘텐츠와 교육환경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군 교육/ 훈련에 투입되는 학습자에게 HMD(Head Mounted Display)를 활용하여 가상환경에서 몰입도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교육콘텐츠에 대한 시스템을 제시했으며, 교육훈련에 필요한 장비들을 실사화하여 몰입도를 더욱 향상시켰다.

인터렉티브 가상 스튜디오와 몰입형 시청자 환경 (Interactive Virtual Studio & Immersive Viewer Environment)

  • 김래현;박문호;고희동;변혜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9년도 KOBA 방송기술 워크샵
    • /
    • pp.87-93
    • /
    • 1999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ovel virtual studio environment where a broadcaster in the virtual set interacts with tele-viewers as if they are sharing the same environment as participants. A tele-viewer participates physically in the virtual studio environment by a dummy-head equipped with video "eyes" and microphone "ears" physically located in the studio. The dummy head as a surrogate of the tole-viewer follows the tele-viewer's head movements and views and hears through the dummy head like a tele-operated robot. By introducing the tele-presence technology in the virtual studio setting, the broadcaster can not only interact with the virtual set elements like the regular virtual studio environment but also share the physical studio with the surrogates of the tele-viewers as participants. The tele-viewer may see the real broadcaster in the virtual set environment and other participants as avatars in place of their respective dummy heads. With an immersive display like HMD, the tele-viewer may look around the studio and interact with other avatars. The new interactive virtual studio with the immersive viewer environment may be applied to immersive tele-conferencing, tele-teaching, and interactive TV program productions.program productions.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ARCore Anchors According to Camera Tracking

  • Shinhyup Lee;Leehwan Hwang;Seunghyun Lee;Taewook Kim;Soonchul K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4호
    • /
    • pp.215-222
    • /
    • 2023
  • Augmented reality (AR), which integrates virtual media into reality, is increasingly utilized across various industrial sectors, thanks to advancements in 3D graphics and mobile device technologies. The IT industry is thus carrying out active R&D activities about AR platforms. Googl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AR landscape, with a focus on ARCore services. An essential aspect of ARCore is the use of anchors, which serve as reference points that help maintain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virtual objects within the physical environment. However, if the accuracy of anchor positioning is suboptimal when running AR content, it can significantly diminish the user's immersive experience. We are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se anchors in this study. To conduct the performance evaluation, virtual 3D objects, matching the shape and size of real-world objects, we strategically positioned ourselves to overlap with their physical counterparts. Images of both real and virtual objects were captured from five distinct camera trajectories, and ARCore's performance was analyz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captured images.

실감형 콘텐츠 작동을 위한 모션 기반 4D 특수효과 장치 제어 (Motion-based Controlling 4D Special Effect Devices to Activate Immersive Contents)

  • 김광진;이칠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8권1호
    • /
    • pp.51-58
    • /
    • 2019
  • 본 논문은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방법을 이용하여 4D 콘텐츠의 특수효과용 물리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스처 응용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적외선 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동작은 3D 콘텐츠 제어를 위한 명령어로 해석되고 특수효과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제어하여 물리적인 자극을 사용자에게 재현한다. 이와 같이 NUI(Natural User Interface) 기법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어하게 되면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직접적인 몰입감이 증대되어 사용자에게 고도의 흥미와 관심을 제공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모션인식과 애니메이션 컨트롤러의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이벤트를 전달하는 PWM 기반 실시간 선형제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