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ermeable layer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6초

포화 수리전도도와 불투수층 깊이에 따른 우리나라 토양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Classification of Hydrologic Soil Groups of Korean Soils Using Estimate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Depth of Impermeable Layer)

  • 한경화;정강호;조희래;이협성;옥정훈;서미진;장용선;서영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5호
    • /
    • pp.25-30
    • /
    • 2017
  • Hydrologic soil group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runoff potential and curve numb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hydrologic soil groups of Korean soils by considering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depth of impermeable layer.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Korean soils was estimated by pedotransfer functions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ies. Most of paddy soils were classified as D type due to shallow impermeable layer and low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n B soil horizon. For upland and forest, soils classified to A and D types increased compared with former classification method because underestimated permeabilities and overestimated drainages were corrected and rock horizon in shallow depth was regarded as impermeable layer. Soils in mountainous land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A type, followed by D type. More than 60 % of soils in mountain foot-slope, fan and valley, alluvial plains, and fluvio-marine deposits were classified to D type because of land use such as paddy and upland.

전방 차수층이 쉴드터널 초과 이수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Frontal Impermeable Layer on the Excess Slurry Pressure during the Shield Tunnelling)

  • 이용준;이상덕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99-1213
    • /
    • 2011
  • 이수가압식 쉴드공법은 사질토에서 적용성이 우수하지만, 이수압이 낮으면 이수 유출 및 지반변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수가압식 쉴드에서는 초기 막장압보다 큰 초과 이수압을 가하여 막장 안정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수압이 너무 높으면 전방 지반의 수동 파괴를 유발하므로 수동 파괴 위험성을 줄이고 이수압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막장 전방에 수평 차수층을 설치하는 방안이 있으나 위치와 규모, 효과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화 사질토에서 막장전방에 차수 그라우팅 적용시 발생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차수층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이수압을 크게 가할 수 있어서 전방 차수층이 막장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막장 안정성 증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적정 차수층은 길이 1.0~1.5D, 설치높이 1.0D로 나타났다. 초기 막장압 대비 최대 이수압의 비로 막장의 자립 안전율(F)을 제안할 수 있으며, 전방 차수층을 적정 위치에 설치할 경우 초기 막장압보다 3.5~4.0배 크게 이수압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정상류하 침투·이류 분산 해석을 이용한 폐기물 해상최종처리장 차수시스템의 최적 성능 평가 (Evaluation of Optimal Performance of Hydraulic Barriers in Offshore Landfill using Seepage-Advection-Dispersion Analysis under Steady State Flow)

  • 황웅기;오명학;김태형;김향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61-68
    • /
    • 2018
  • 본 연구는 정상류 조건에서 폐기물 해상최종처리장에서의 오염원의 누출 방지에 필요한 최적의 최소기준을 제안하기 위하여 각각 바닥 및 연직 차수시스템의 기본적인 차수공에 대하여 침투 이류 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바닥 차수시스템의 최소기준으로 투수계수 $1{\times}10^{-6}cm/s$ 이하인 불투수성 지층이 두께 500 cm 이상이거나 이와 동등한 차수효과를 가진 차수시스템이어야 한다. 연직 차수시스템의 최소기준으로 투수계수 $1{\times}10^{-6}cm/s$ 이하인 두께 50 cm 이상이거나 이와 동등한 차수효과를 가진 차수시스템을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연직 차수시스템은 바닥 차수시스템과 일체가 되어 차수기능을 발휘하도록 충분한 근입깊이가 필요하다.

INERTIAL EFFECT ON CONVECTIVE FLOW IN A PASSIVE MUSHY LAYER

  • Bhatta, Dambaru;Riahi, Daniel N.;Muddamallappa, Mallikarjunaiah S.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0권3_4호
    • /
    • pp.499-510
    • /
    • 2012
  • Here we consider the inertial effect in a horizontal mushy layer during solidification of a binary alloy. Using perturbation technique, we obtain two systems, one of zero order and the other of first order. We consider a mushy layer with an impermeable mush-liquid interface and of constant permeability.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effect of inertial parameter is stabilizing in the sense that the critical Rayleigh number at the onset of motion increases by the inertial effect.

포화 사질토에서 전방 차수층이 쉴드터널 초과 이수압에 미치는영향 (Effect of a frontal impermeable layer on the excess slurry pressure during the shield tunnelling in the saturated sand)

  • 이용준;이상덕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47-370
    • /
    • 2011
  • 이수가압식 쉴드공법은 이수압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면 특히 사질토에서 적용성이 우수하지만, 이수압이 낮으면 이수 유출 및 지반변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수가압식 쉴드공법에서는 초기 막장압보다 큰 초과 이수압을 가하여 막장의 안정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수압이 너무 높으면 전방 지반의 수동 파괴를 유발하므로 전방 지반의 수동 파괴 위험성을 배제하고 이수압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막장 전방에 수평 차수층을 설치하는 방안이 있으나 그 위치와 규모 및 효과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화된 사질토에서 막장 전방에 차수 그라우팅을 적용할 경우에 발생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차수층의 위치와 길이를 변화시거면서 이수의 유출이나 지반 파괴 이전까지 이수압을 가하여 최대 이수압과 지반 변위 및 이수의 유출로 인한 파괴 형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전방 차수층이 없는 경우에 최대 이수압과 초과 이수압은 토피고에 선형비례 하였으며, 차수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차수층이 없는 경우보다 이수압을 크게 가할 수 있어서 전방 차수층이 막장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막장 안정성 증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적정 차수층의 규격은 길이 1.0 ~ 1.5D, 설치높이 1.0D로 나타났다. 초기 막장압 대비 최대 이수압의 비로 막장의 자립 안전율(F)을 제안할 수 있으며, 전방 차수층을 적정 위치에 설치할 경우 초기 막장압보다 3.5~4.0배 크게 이수압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반의 녹화에 의한 도시의 재생 (Urban Renewal with Green on Impermeable Surface)

  • Hajime, Koshimizu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7-31
    • /
    • 2004
  • How far of natural regeneration of the city and improvement on the urban environment will be possible in the replanting on the impermeable surface? The replanting of what kind of form will be obtained in order to realize it? The regeneration of the nature is possible, if it can be realized at the thin soil layer in which the result of being equivalent to the natural soil function. Using the light artificial soil with the water retentiveness, it is possible that green on the artificial ground reinforces the green skeleton of the city. The green of artificial ground improves the thermal ambience of the city and demonstrates stormwater runoff depression effect. It is necessary to built the landscape which continues with the surrounding green. Ecologically stabilizing green has the high amenity. The development of replanting technology of the artificial ground which fosters the city culture is desired.

토지이용특성과 자연재해 피해액의 상관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and-use Characteristics and Damages caused by Natural Hazards)

  • 심재헌;김자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319-4325
    • /
    • 2012
  • 국내의 자연재해 관련 연구들은 토지이용관리를 통한 비구조적 접근이 재해저감에 있어 효과적인 수단임을 언급하고 있으나, 분석과정에서 토지이용과 관련된 미시적 접근은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공간상에 상이한 형태로 분포하는 토지이용특성들이 자연재해에 따른 피해액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불투수지역 면적, 공업지역 면적, 나지면적, 하천면적 등은 자연재해 피해액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방시설의 면적은 자연재해 피해액과 강한 부(-)의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측면에서의 효율적인 자연재해 저감방안을 제시한다.

면외 충격하중을 받는 3층 압전 복합재료내의 가장자리 균열거동 (Edge Crack Behavior in a Three Layered Piezoelectric Composite Under Anti-Plane Impact Loads)

  • 권순만;손명섭;이강용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6권10호
    • /
    • pp.2172-2179
    • /
    • 2002
  •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dynamic electromechanical behavior of an edge crack in a piezoelectric ceramic layer bonded between two elastic layers under the combined anti-plane mechanical shear and in-plane electric transient loadings. We adopted both the permeable and impermeable crack boundary conditions. Fourier transforms are used to reduce the problem to the solution of two pairs of dual integral equations, which are then expressed to a Fredholm integral equation of the second kind. Numerical values on the dynamic energy release rate are presented to show the dependences upon the geometry, material combination, electromechanical coupling coefficient and electric field.

Transient response of a piezoelectric layer with a penny-shaped crack under electromechanical impacts

  • Feng, Wenjie;Li, Yansong;Ren, DeLian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23권2호
    • /
    • pp.163-175
    • /
    • 2006
  • In this paper, the dynamic response of a piezoelectric layer with a penny-shaped crack is investigated. The piezoelectric layer is subjected to an axisymmetrical action of both mechanical and electrical impacts. Two kinds of crack surface conditions, i.e., electrically impermeable and electrically permeable, are adopted. Based upon integral transform technique, the crack boundary value problem is reduced to a system of Fredholm integral equations in the Laplace transform domain. By making use of numerical Laplace inversion the time-dependent dynamic stress and electric displacement intensity factors are obtained, and the dynamic energy release rate is further derived. Numerical results are plotted to show the effects of both the piezoelectric layer thickness and the electrical impact loadings on the dynamic fracture behaviors of the crack tips.

정체 및 유동액체에서 산소전극의 안정상태 일차원적 해석 (A Strady-State One-Dimensional Analysis of an Oxygen Electrode in Stationary and Flowing Liquid)

  • 김태진
    • KSBB Journal
    • /
    • 제4권2호
    • /
    • pp.150-156
    • /
    • 1989
  • 안정상태 일차원적 모델을 이용하여 막으로 덮힌 상업적인 산소 적극의 특성을 공기포화된 식염수에서 연구하였다. 전극은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외부 농도 경계층(용액), 반투성 막, 내부 전해질 용액 층으로 구분된다. 정체용액에서, 물은 외부 용액층으로부터 내부 전해질 용액쪽으로 열역학적 평형을 이룰 때까지 이동한다. 한편 유동 용액에서, 불은 수력학적 압력차 때문에 전해질 층의 두께가 막의 두께와 같아질 때까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