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situ bypass procedur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자연위치의 복재정맥을 이용한 하지동맥 우회술;치험 1례 (In Situ Sapheneous Vein Arterial Bypass; A Case Report)

  • 문남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1호
    • /
    • pp.881-885
    • /
    • 1993
  • In the last few years there has been a resurgenceof interest in in-situ saphenous vein arterial bypass for lower extremity revascularization because of improved patency rates. we performed 1 in situ bypass oreration using the intraluminal valve-disruption tecnique. A 65-year-old female who had ztherosclerotic obstruction in the superficial and popliteal arteries underwent in situ saphenous vein arterial bypass. After harvesting of saphenous vein, we used LeMaitre retrograde valvulotome for valve-disruption technique. Completion of the arterrigraphy was performed to evaluate bothh the anastomoses. The two side brances were all ligated. In situ saphenous vein arterial bypass has become the procedure of choice for distal reconstruction in severely ischemic lower extremities because of improved long-term patency compared with reversed-saphenous vein bypass procedure.

  • PDF

Emergency In Situ Bypass during Middle Cerebral Artery Aneurysm Surgery : Middle Cerebral Artery-Superficial Temporal Artery Interposition Graft-Middle Cerebral Artery Anastomosis

  • Jung, Jong-Myung;Oh, Chang-Wan;Song, Kyung-Sun;Bang, Jae-Se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1권5호
    • /
    • pp.292-295
    • /
    • 2012
  • Many reports have been published on complications related to middle cerebral artery (MCA) aneurysm surgical clipping procedures. We report an emergency intracranial in situ bypass surgery case which was performed as a rescue procedure after aneurysmal neck laceration during clipping of an MCA large aneurysm. In this case, we performed in situ M3-superficial temporal artery (STA) interposition graft-M3 bypass procedure. If a STA-MCA anastomosis is not available under MCA flow obstruction, we can consider an emergency in situ MCA-MCA bypass procedure with or without an STA interposition graft.

In Situ Rescue Bypass for Iatrogenic Avulsion of Parent Artery during Clipping Large Pericallosal Artery Aneurysm

  • Park, Jae-Chan;Kang, Dong-H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1호
    • /
    • pp.68-70
    • /
    • 2009
  • A case of large aneurysm arising from the distal end of an azygous A2 segment is presented. Multiple clip application inadvertently tore the aneurysmal neck, resulting in near avulsion of a right pericallosal artery origin. After an unsuccessful attempt to repair the avulsion, it was treated by occlusion of the origin of the pericallosal artery and an A4-A4 anterior cerebral artery in situ bypass without neurological deficits. The surgical technique and previous reports onside-to-side in situ bypass are discussed.

쇄골하 동맥협착이 동반된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의 하이브리드 술식 (A Hybrid Procedure for Coronary Artery Disease with Left Subclavian Artery Stenosis)

  • 장용진;이재원;정성호;제형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52-255
    • /
    • 2009
  • 58세 남자 환자가 좌쇄골하동맥협착이 동반된 관상동맥 질환으로 하이브리드술식을 시행받았다. 쇄골하동맥에 대한 스텐트 삽입과 좌내흉동맥의 좌전하행지 문합을 포함한 심폐 바이패스 없이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시행한 관상동맥 조영술과 컴퓨터 단층촬영(CT)상에서 이식편의 개방성은 양호하였고 스텐트의 삽입부위는 적절한 것으로 보였고 개방성도 양호하였다. 술 후 8일째 퇴원하였고, 현재 6개월째 외래 경과관찰 중이다.

다양한 동맥도관을 이용한 재관상동맥 우회술 (Redo CABG Using Various Arterial Grafts)

  • 민호기;이영탁;이미나;김욱성;박표원;성기익;전태국;양지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56-463
    • /
    • 2009
  • 배경: 동맥도관이 정맥도관에 비해 개통률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재관상동맥 우회술시 동맥도관의 이용은 제한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일차 관상동맥 우회술에 비해 재관상동맥 우회술은 수술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는 동맥도관을 이용한 재관상동맥 우회술의 안전성과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에서 2008년 7월까지 본원에서 동맥도관을 이용하여 시행한 33예의 재관상동맥 우회술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시 환자의 평균 연령은 62.6$\pm$9.0세(41$\sim$75)였고 25명(75.8%)은 남자였다. 첫 수술로부터 재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100.1$\pm$67.3개월이었고 수술 당시 평균 좌심실 구출률은 52$\pm$12.5%였다. 수술은 인공심폐기 보조하에서 24예(심정지액을 사용한 경우가 17예, 심박동하 7예)를 시행하였고 인공심폐기의 보조없이 심박동하에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은 7예, 최소침습적 관상동맥우회술은 2예였다. 사용된 도관은 내흉동맥(34예: 우측내흉동맥 28예, 좌측내흉동맥 6예), 요골동맥(14예), 우위대망동맥(14예), 복재정맥(4예) 등이었고, 목표 원위부는 좌전하행지가 23예, 사선분지가 10예, 둔각분지가 25예, 원위 우관상동맥이 4예, 후하행지가 16예, 후측분지가 8예, 중간지(ramus intermedius)가 5예였다. 26명의 환자에서 동맥 복합도관을 이용하여 수술하였고 이들 중 5예에서는 원위치 이식 도관(in situ)으로 좌측 내흉동맥을 혈액공급원으로 다른 동맥과 복합도관을 만들어 사용하였고 10예에서는 일차 관상동맥 우회술 시 사용되어진 좌측내흉동맥을 재이용하였다. 또한 5명에서는 원위치 이식 도관으로서 우측내흉동맥을 혈액공급원으로, 6명에서는 다양한 동맥 유리 도관(arterial free graft)으로 대동맥을 혈액공급원으로 하여 복합도관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평균 원위 문합수는 2.8$\pm$0.9였다. 결과: 수술 사망 및 주요 상처감염은 없었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31.1$\pm$22.7개월이었고 4명은 추적관찰 중 사망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수술 후 심근 경색이 2예(6%), 대동맥내 풍선 펌프 삽입을 한 환자가 1예(3%), 심방세동이 5예(15.1%), 신경학적 합병증이 3예(9.1%) 있었다. 수술 후 3년 및 5년 누적 생존율(cumulative survival rate)은 각각 87.04%였다. 결론: 현재 심근 보호법과 수술 수기의 발달 및 경험 축적 등으로 인해 다양한 동맥도관을 이용한 재관상동맥 우회술은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