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ependent self-construal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Influence of Self-Construal on Choice of Overseas Travel Product Type

  • KIM, Young-Doo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1호
    • /
    • pp.29-38
    • /
    • 2020
  • Purpose: Understanding which product types of overseas travel (free independent travel vs. package travel) consumers will choose is one of the key issues of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in travel agency management. Prior studies on overseas travel type preferences mainly focused on comparing regional differences (e.g., Asian vs. Westerner, or Korean vs. Australian, or Korean vs. Japanese, or American, French, Italian vs. Japanese) influencing the choice of overseas travel type. Another researchers focused on comparing cultural differences (e.g., individualism vs. collectivism, or individualistic culture vs. collectivistic culture), subcultural difference (e.g., acculturation; Koreans living in Republic of Korea vs. Koreans living in Australia), travel lifestyle, and socio-demographics (e.g., age, gender,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occupation etc.).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identify individual psychological differences (i.e., individual psychological differences within the same culture) influencing the choice of overseas travel type. Self-construal is a psychological factors that greatly influences choic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self-construal as an antecedent variable influencing choice of overseas travel product typ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sed. Self-construal items composed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items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tems. Product types of overseas travel were free independent travel (FIT) type versus package travel type.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nonsignificant. It me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orthogonal.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eparatel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trolling gender and age) was used as the data analysis method.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ronger independent self-construal, the more preference for the free independent travel type rather than package travel, and the stronge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he more preference for the package travel type rather than free independent travel. Conclusions: Self-construal is an antecedent variable influencing the choice of travel type. Travel agencies must consider the consumer's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construal v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before planning and designing overseas travel products.

자기 해석과 메시지 지향성이 가치 주장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Construal and Message Orientation on Value Advocacy Advertising)

  • 이귀옥;박조원;최명일
    • 경영과학
    • /
    • 제31권4호
    • /
    • pp.15-28
    • /
    • 2014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construal and message orientation on value advocacy advertising. An experiment of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 advocacy advertisemen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vocacy advertisements than people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lf-construal and message orientation on the value advocacy advertisements were not found significant. However, it was found that even people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vocacy advertisement with others-orientation messages than the advertisement with self-orientation messages in value advocacy advertising.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value advocacy advertising were discussed.

자기해석이 신체적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만족도,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construal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Body Satisfaction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이수경;조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28-539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self-construal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empirical study was based on the response of 369 adult females between the ages of 20 and 49 in Seoul. Self-construal was presented as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respectively.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as an intermediate variable in the research model was composed of two sub-factors that included internalization and awareness. The other (body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two factors (body and fac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s a final outcome variable) were composed of various factors that included clothing concern, skin care, hair care, and weight trai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1) the effect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on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was not significantly meaningful; howeve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fluenced it positively. 2)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appea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body satisfaction. 3) The body satisfaction also had a negative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this study.

청소년의 문화성향과 자기관이 친사회적 행동의 이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olescents' Cultural Disposition and Self-Construal on the Reasons for Prosocial Behavior)

  • 배성희;한세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3호
    • /
    • pp.255-26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self-construal and the reason for prosocial behavior by cultural disposition. Further, this paper also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cultural disposition, self-construal, and prosocial behavior and to analyze the path to moral reasoning.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385 adolescents in Cheongju. Thes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 12.0.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er individualism showed a higher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er collectivism showed a highe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econd,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er collectivism attributed prosocial behavior to internal reasons and adolescents who perceived both higher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ttributed prosocial behavior to self-focused reasons as compared to the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m to be lower. Third, as a result of the mediator analysis, the cultural disposition of adolescents including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fluenced the internal reasons for prosocial behavior through independent selfconstrual. Further, the cultural disposition of adolescents influenced internal reasons, self-focused reasons, and other focused reasons for prosocial behavior throug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was discussed and a follow-up study was suggested.

기혼남녀의 자기관과 결혼만족의 관계 - 독립 및 상호의존적 자기관을 중심으로- (The Role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i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en and Women)

  • 현경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239-268
    • /
    • 2004
  • 본 연구는 기혼남녀의 자기관이 결혼만족에 기여하는 경로와 그 역할을 밝히기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만 25세 이상 75세 미만의 기혼자 48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독립적 자기관과 상호의존적 자기관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매개변인들을 통해 결혼만족에 기여하는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하였으며,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해 경로모형의 부합도를 평가하였다. 예측대로, 전체집단의 자료에서 독립적 자기관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의 명확성에 의해 중재되었으며, 상호의존적 자기관의 그러한 효과는 심리적 안정과 관계적 안녕감에 의해 중재되었다. 또한, 이 두 유형의 자기관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상반되었으며, 독립적 자기관은 결혼만족을 감소시키나, 상호의존적 자기관은 결혼만족의 증가에 기여하였다. 자기관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에 대한 연구가설은 심리적 안정을 통한 간접효과를 제외하고 전체집단에 의해 지지를 받았으며, 경로모형의 부합도도 수용 가능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남녀집단의 경로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경로나 간접효과들 간에 성차를 보여, 결혼만족에 있어 자기관의 역할이 남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임상사회사업적 함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PDF

Does SNS as an Information Channel Improve SNS Users' Happiness?

  • Choi, Ji-Eun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11호
    • /
    • pp.31-39
    • /
    • 2017
  • Purpose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formed on SNS on SNS users' life satisfaction. This research divides social capital into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and suggests that each type of social capital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SNS users'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self-construal of SNS users as a moderating variable based on Self-Construal Theo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test the hypotheses present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dult participants. An online research company was hired to conduct an online survey; survey participants were volunteer adult participants residing in Korea. An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Results -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mpact of bonding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SNS users of differing self-construals(independent v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owever, this study also determined that the impact of bridging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was greater for SNS users with a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s opposed to those with an independent self-construal.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 the scope of available research on social capital formed on SN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NS providers.

수반성 판단에서 자기해석이 조건부화와 절감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Construal on Conditionalization and Discounting Effect in Contingency Judgment)

  • 김경일;김태훈
    • 인지과학
    • /
    • 제24권4호
    • /
    • pp.323-338
    • /
    • 2013
  • 원인과 결과 간의 연결 강도에 관한 추정인 인과 추론에는 다수의 처리기제가 다른 처리 시점에 관여하며 따라서 이들 각각에 민감하게 작용하는 개인차 변인은 상이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조건부화와 절감 현상은 하나의 결과에 다수의 잠재원인이 존재할 경우 특정 원인과 결과 간의 인과 강도를 추정할 때 일어나는 주요현상에 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맥락 민감도와 관련된 개인차 변인인 자기 해석을 조작하여 조건부화와 절감 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독립적 자기 조건과 상호의존적 자기 조건 간에는 조건부화 정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상호의존적 자기 조건이 더 높은 절감 현상을 보였으며 이는 조건부화와 절감 현상이 각기 다른 처리 기제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한국 대학생의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 상호독립적 자기관 결핍에 따른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ollege students' Self-Construal and Alexithymia: Mediation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 Suppression according to the Deficiency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 권소영;곽자랑;김비아;이동훈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5권2호
    • /
    • pp.101-118
    • /
    • 2019
  • 감정표현불능증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그것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증상을 의미한다. 동양인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은 서양인들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최근 미국에서 진행된 한 조사연구는 동양인의 높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이 집단주의 문화에서 발달하는 상호협조적 자기관의 영향이라고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의 상호독립적 및 상호협조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 수준 및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은 상호협조적 자기관과 상관이 없었으며, 오히려 상호독립적 자기관과 뚜렷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게다가 상호독립적 자기관은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와도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상호독립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 수준의 부적 관계에 대한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이중 매개모형을 설정하고, Hayes와 Preacher (2014)의 Process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상호독립적 자기관의 결핍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을 높이는 직접효과도 유의하고,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추가적으로 간접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정서표현양가성의 단일 매개효과와 정서표현양가성을 경유한 정서억제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고, 정서억제에 의한 단일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상호독립적 자기관 수준이 낮을수록,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아져서, 혹은 높아진 정서표현양가성이 정서억제 수준을 높여 감정표현불능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한국대학생들이 겪는 감정표현의 어려움이 전통적인 집단주의 문화의 상호협조적 자기관에서 기인한다기 보다, 상호독립적 자기관의 결핍에서 유발되며, 높은 정서표현갈등과 과도한 정서억제로 이어져 감정표현불능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온라인 커뮤니티특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성별과 자기해석 수준차이를 중심으로 (Effects of Online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Customer Reaction - Based on the Differences of Customer's Gender and Self-Construal Level)

  • 신종국;문민경;김재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261-273
    • /
    • 2018
  • 본 연구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특징이 자기 해석 수준 및 성별 차이에 따라 고객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징으로 상호작용성, 목적성, 정보제공, 활동보상으로 나누어 실증연구를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활동보상은 브랜드 커뮤니티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목적성과 정보제공의 효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가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몰입이 강할수록 구전효과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의존적 자기 해석 수준을 갖고 있는 소비자는 독립적 자기 해석 수준을 갖고 있는 소비자에 비해 보다 더 높은 브랜드 커뮤니티의 몰입을 보였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높은 브랜드 커뮤니티 몰입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자기해석이라는 내재적 동기를 알아봄으로써, 기업들에게 브랜드커뮤니티를 통한 효율적인 마케팅 접근법을 제시한다.

광고모델의 미소와 소비자의 자기해석 수준이 고가 제품군 브랜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The Negative Effect of the Advertising Endorser's Smile and Consumer's Self-construal Level on Purchase Intention of the Brand in the Expensive Product Category)

  • 김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78-686
    • /
    • 2021
  • 미소 짓는 얼굴은 친근하고 따뜻한 인상을 전달하여 대인 관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다. 그러나 고정관념내용모델과 따뜻함과 유능함 인상의 보상효과에 따르면 미소를 짓는 표정은 타인에게 따뜻한 인상을 전해주지만, 반대 차원의 인상인 유능함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는 따뜻함과 유능함 인상평가의 상호 보상효과를 고가 제품군 브랜드의 소셜미디어 광고에 응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미소를 띠는 광고모델로 인해 브랜드의 따뜻함 인상이 증가하고 이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소비자의 자기해석 수준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미소를 띠는 모델이 사용된 광고에 노출될 때, 독립적 자기해석을 하는 소비자는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소비자보다 낮은 구매의도를 보여준 반면, 미소를 띠지 않은 모델이 사용된 광고에 대해서는 의존적 자기해석을 하는 소비자가 독립적 자기해석 소비자보다 낮은 구매의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고가 제품군 브랜드 광고에 기용된 모델의 미소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비자의 자기해석 수준이 조절변수로 작용함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고가 제품군 브랜드 광고의 효과적인 광고모델 전략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