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cators of Happines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4초

행복결정요인이 지역주민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n Effect about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to The Local Residents of Their Cognition of Health)

  • 남희은;백정원;류지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3-63
    • /
    • 2011
  • This study focused on 'The Health' which should considered as a precondition for the local residents by reinvestigating the indicators of happiness after Young-Do ward formulate a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There is purpose of this study as below. I searched an general attribute and the indicators of happiness, then looked how does results from questions about health and factors of the indicators of happiness can affects the health with some kinds of elements. Five hundred people from the inhabitants of Young-Do ward who is living in Young-Do district were separated by using the random sampling metho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investigation took effect from October to November of 2010 and an investigator visited the inhabitants of a war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An investigator had one-on-one talk with inhabitants of Young-Do ward while the investigation and I also collected the data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s well. I found the physical elements influence in the health much more than the outside factors from the study.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career,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and co-workers, work environment and married life reflects the fact that higher self-contentment means high quality health level.

노르딕 워킹 운동 프로그램이 중년 농촌주민의 신체지표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ordic Walking Exercise on Physical Indicator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the Middle-aged in Rural Area)

  • 이찬미;박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5-7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gular Nordic walking exercise on the physical indicator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aged rural residents. Methods: A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each 21 subjects from 40 to 64 years old. The Nordic walking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24 sessions which were focused on group exercise, and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mass index (p=.042), body fat (p<.001), and abdominal fat (p=.026).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muscle mass of right lower limb (p=.009) and left lower limb (p=.016)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ight, left upper limbs and body.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muscle mass of right upper limb (p=.034), left upper limb (p=.038), and body (p=.03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subjective happi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Nordic walking exercise should be actively encouraged to improve health of the middle-aged in rural area.

노인이 지각하는 개인-환경 적합성, 주거만족도,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Individual-environmental Suitability Perceived by the Elderly, Residential Satisfaction,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jective Euphoria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 최병소;이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20-536
    • /
    • 2021
  • 선진국들은 삶의 질 지표를 개발하여 정책판단의 지표로 활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민의 삶의 질 지표를 개발하여 운용 중에 있다. 생활밀착형 SOC가 그 중 하나로 생활 인프라를 개선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정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의 삶의 질 중 주관적 행복감을 중점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노인은 국가정책의 상대적 소외계층으로 노인의 주거환경이 삶의 질과 주거만족도, 행복감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노인들이 지각하는 개인-환경 적합성이 주거만족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이 있는지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주거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도시계획 수립 및 관련 정책 입안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개인-환경 적합성의 편의성, 쾌적성, 공공복지는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주관적 행복감에도 영향을 미치며, 주거만족도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쾌적성, 공공복지와 주관적 행복감간의 관계에서 주거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Factors Associated with Happiness among Senior Citizens of Rural Korea: Evidence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 Sharma, Bimala;Song, Geurum;Nam, Eun Woo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5-252
    • /
    • 2020
  • Background: Happin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of health,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happiness among senior citizens residing in rural areas using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Methods: A cross-sectional analytical study was conducted among 3,149 senior citizens living in rural areas using secondary data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Happiness was measured by a single question and responses were recorded dichotomously.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computed at a 5% level of significance. Results: In all, 64.5% of the participants considered themselves as happy most of the time in the last 1 week. In the study, socio-demographic factors did not predict happiness except age. Satisfaction with a health status, financial situation, relationship with children, cultur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friends and socie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appiness among senior citizens residing in rural areas of Korea. Odds of reporting happiness were higher among those who traveled in the last 1 year, visited elderly welfare centers, and were involved in voluntary work than among those who did not. Conclusion: Happiness among senior citize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with regard to health, finance, relationship with family, friends and society,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대학생의 건강증진 실천의지가 자기효능감, 행복, 생활만족,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ollege Students' will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Playing on Self-Efficacy,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 백정원;남희은;류지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3-183
    • /
    • 2012
  • This study is designed to look into the relations between college students' will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health and self-efficacy,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from November 2011 to December 2011, targeting 876 college students in 10 different region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rea. From the questionnaires, undependable and inappropriate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nd 81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in descriptive statistics, variance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groups with the strong show higher self-efficacy, have more happiness and express better life satisfaction. It has been empirically proved that those college students with a strong will to improve their health love themselves more and value themselves higher, which has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한국의 행복지수 개발 (Development of Happiness Index of Korea)

  • 황명진;심수진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3호
    • /
    • pp.93-117
    • /
    • 2008
  •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행복지수 개발과 관련된 기초연구이다. '행복'은 개인의 가치관, 개인적 목표의 성취라는 측면과 함께 사회발전을 통한 국민의 행복달성이라는 국가의 정책적 당면과제로서 의미를 동시에 갖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 사회 구성원의 전반적인 삶의 질이나 만족감을 객관화, 계량화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행복지수"는 국가운영에 중요한 정책적 기초 자료나 정보가 될 수 있지만, 그 작성에 있어서는 적지 않은 현실적인 제약 및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행복의 개념 정의와 함께 해외의 '행복' 측정연구 사례와 이를 기반으로 '한국의 행복지수' 작성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행복측정을 위한 지표구성 및 지수작성의 다양한 방법을 검토함과 함께 '행복지수'의 산출을 위한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 PDF

코로나 전후 행복 이슈 변화 분석 및 행복 증진 방안 연구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the Analysis of Happiness Issues Before and After Pandemic)

  • 김가혜;이소현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3호
    • /
    • pp.81-103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정신건강과 웰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세계 행복 보고서를 통해 꾸준하게 대중의 행복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전염병의 장기화로 인한 스트레스 누적이 사람들의 행복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팬데믹 이후 '우울', '불안'과 같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알렸고, 수치상으로 행복 지수가 낮아졌음을 밝혔다. 전염병 이후 한국 사회에서 대중들이 느끼는 행복의 이슈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이슈를 분석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한국인의 행복이슈에 생긴 변화를 파악하고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코로나19 이전 데이터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코로나19 이후 데이터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로 시기를 나누어 수집하였다. ERG 이론에 기반한 하위 키워드 32가지를 검색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코로나19 전후 토픽 모델링 결과를 국회 미래연구원에서 발표한 '행복 지표 2.0'의 '건강', '안전', '경제', '교육', '관계 및 사회참여', '여가', '삶의 만족' 영역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토픽과 키워드의 세부적인 의미에서 코로나19 전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영역의 관점에서 행복 증진 방안을 토픽과 키워드를 비교 해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실제 대중들의 '행복' 관련 의견을 마이닝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시사한다. 또한, 기존 행복 증진 불행 경감 방안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객관적인 행복 지표 영역을 활용해 행복 증진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Living in America

  • Hye-Kyung Kim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5호
    • /
    • pp.707-714
    • /
    • 1998
  •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designed to describe i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residing in America using demographic variables, dietary, anthropometric and functional status indicators, and to investigate possibl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Sixty elderly persons aged 61-91 years were assessed in their homes. Dietary intake was estimated by the 24-hour recall and brief dietary questionnaire. The following anthropometric measures were taken : weight, height, knee height, triceps skinfold, and midarm circumference. Functional status was measured by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s) questionnaires, and a measure of psychosocial status as "happiness score"(a life satisfaction questionnaire). Intakes of energy, calcium, magnesium, folacin, vitamin B6, and zinc were low in this elderly sample. Females 75 years of age and older had extremely low energy intakes. A large percentage of subjects reported difficulty with bo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ubjects over 75 years of age reported more difficulty than younger subjects for most activities. Gender differnces were seen in anthropometric variables and energy intake. Happiness scores were similar in subjects, regardless of age or gender, however, happiness sco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nergy and protein intake(p<0.05). Several difficulties were encountered during the assessment of this elderly sample. The conditions in the home were unpredictable and often inadequate for the anthropometric measures in particula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current methodologies so that they may be more adaptable to the conditions found in homes. in homes.

  • PDF

베이비붐세대와 노인세대의 행복영향요인의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Happiness between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Elderly Generation)

  • 김소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91-602
    • /
    • 2021
  •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와 노인세대의 행복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여, 노년기 행복감의 영향요인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2019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자료를 사용하여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 출생자) 7,831명과 노인세대(1954년이전 출생자) 7,620명 등 총 15,451명을 표본으로, 주관적 행복감의 정도와 행복감에 영향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붐세대의 행복감의 정도가 노인세대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행복영향요인으로 연령, 건강, 배우자유무, 종교유무, 경제수준, 직업유무, 여가활동, 문화생활참여, 가족관계, 경제적지지, 심리적지지, SNS참여, SNS이용만족도, 스트레스정도, 근린환경만족도, 녹지환경만족도 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에서 영향요인간에 차이를 보여주었다. 두 집단모두 가족관계가 행복감의 가장 큰 영향요인이었으나 다음으로 베이비붐세대에게는 여가활동참여를 통한 만족도가, 노인세대에게는 경제적지지유무, 즉 필요할 때 경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유무가 행복감에 큰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또한 베이비붐세대에는 영향이 없는 SNS참여정도가 노인세대에게는 유의미한 행복영향요인으로 나타나 디지털환경에의 참여가 노인세대에게 중요한 의미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베이비붐세대와 노인세대는 집단적 특징면에서 유의미하게 다르며, 따라서 이들의 노년기 행복추구를 위한 사회복지적 대응은 차별적으로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지역사회가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가족행복종합지수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mmunity on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Family Happiness Composite Index in Korea)

  • 오영은;추주희;고광이
    • 지역과문화
    • /
    • 제7권2호
    • /
    • pp.173-202
    • /
    • 2020
  • 이 연구는 가족관계와 지역사회 환경의 관계를 살피고, 가족을 둘러싼 지역 환경을 객관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지역의 가족친화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 경제적 차원의 영역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지역사회지표로 개발된 한국가족행복종합지수(이하, 종합지수)를 활용하여, 지역별 종합지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종합지수는 국가통계포털의 「e-지방지표」에서 공시한 지역사회지표를 활용하였으며, 이 변수들은 가족관계만족도와 연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행복종합지수의 7개 영역(인구가족, 건강문화, 교육, 소득소비, 고용노동, 주거 교통, 환경 및 사회통합)을 비교하여 10년간 추이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2008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종합지수의 전국 평균점수는 점점 상승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가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환경 역시 개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상위레벨에 속한 지역은 전남, 강원, 충남, 전북, 경북으로 비수도권 및 농촌권역이었다. 하위레벨에 속한 지역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로 모두 특광역시로 대도시권역이다. 전반적으로 하위레벨에 속한 지역들은 인구 밀집 및 과밀도에 비해 관련 물리적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조금씩 개선하고 있었으나, 지역민의 욕구를 반영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만큼은 아니었다. 향후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각 지역별 맞춤형 정책 마련을 위해서 보다 정기적이고 보완된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위기가 각 영역별, 지역별 미친 영향과 향후 변화추이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