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dustrial hygienist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6초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업무만족에 대한 인식 차이분석 (Perceptional Gap Analysis on Business satisfaction between Dentist and Dental Hygienist)

  • 심연수;최우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65-1170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업무만족에 대한 인식 차이분석을 통하여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간의 업무협력을 높이는 방안에 도움이 되고자 2009년 4월 6일부터 4월 27일까지 치과의사 114명과 치과위생사 1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과의사와 치과 위생사간의 업무협력에 대한 인식비교를 살펴본 결과 치과의사에 비해 치과위생사가 높게 인식한 것은 치과의사의 비난 경험에 따른 유무와 치과위생사의 비난 경험에 따른 유무로 분석되었고, 업무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는 치과위생사에 비해 치과의사가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간의 업무협력에 대한 중요성,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간의 상호신뢰 정도에서는 치과위생사에 비하여 치과의사가 모두 높게 인식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업무만족에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상호신뢰가 유의한 변수로 작용하였고, 치과의사의 업무만족에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업무협력정도가 유의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치과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간의 협력적 접근 및 상호신뢰와 배려가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상호간의 잘못된 점을 헐뜯고 상처주기 보다는 상호신뢰의 증가와 협력적 접근을 위한 배려의 인식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치과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본 연구보다 더 구체적이고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linical dental hygienist emotional intelligence on burnout)

  • 김영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10-416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치과위생사의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고객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 치위생 조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 6일부터 5월 31일까지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임상치과위생사 394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은 소진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623, p<.001)를 나타났으며,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소진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고갈(r=-.316, p<.001), 비인격화(r=-.474, p<.001), 성취감 저하(r=.639,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의 소진에 관련요인으로 자신의 감성이해, 타인의 감성이해, 감성활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감성지능이 소진에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치과위생사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앞으로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을 높여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 구축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건관리자의 직능별 직업 및 조직 헌신도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itment of Health Manager Between Industrial Health Nurse and Industrial Hygienist)

  • 이경용;이기범;;조영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5-82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mmitment inventory developed by Meyer and Allen, and to investigate commitment level of health manager, to compare two different professionals of health manager such as industrial health nurse and industrial hygienist to find out some characteristics that have effect on commitment. This survey was done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227 respondents as the trainees of Industrial Safety Training Center, KISCO from June to December 1996. Authors classified commitment into two categories ; profess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se two types of commitments have three different aspects ;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based on Meyer's invent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ems of whole scales of the both type of commitments have three factors that represent three aspects of commitment ;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his means that each type of commitment was reliable to use as measurement tool of three different aspects of commitment. Classification of items by factor analysis was more consistent in professional commitment tha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16 item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 item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aspects of commitment with similar factor loading. 2. Commitment level of industrial health nurse was higher than that of industrial hygienist in affective, continuance professional commitment controlled by other characteristics. These differences can be due to other characteristics of specific task and background of health managers that were not used in this study. 3. The level of affective professional commitment was statistically different in age, sex, educational level, and tha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atistically different in only two variables such as age, and job tenure. The level of continuance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were different in sex group, but past history of employment have effect on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level of norm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ffected by only age. As the above results, the tools of measurement of commitment developed by Meyer and Allen can be useful to measure the level of commitment of health manager. Three aspects of two types of commitments were influenced b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health manager. Authors suggested future study on the affecting variables to the commitment such as background, task of health manager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 PDF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신종 감염병이 치과위생사 이미지와 취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정보 중심으로 (The Effect of New Infectious Disea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on Dental Hygienist Image and Employment Recognition: Focused on Online Information)

  • 손은교;정화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31-239
    • /
    • 2021
  •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학생들의 치과 위생사에 대한 이미지와 취업 인식을 파악하고 온라인 정보에 대한 인식을 접목해 차후 치과위생사 보건인력 확보에 필요한 정보를 마련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는 SPSS Statistics 24.0 와 AMOS Graphics 21.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취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신종 감염병이 발생해도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보고, 치과위생사의 부정적 이미지를 통해 부정적 취업 인식을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정보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인터넷 정보가 거짓 정보가 많고, 유해하며, 불안을 조장한다고 생각하고, 그 영향은 취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정보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치과위생사가 감염에 노출되기 쉽고, 감염원을 전달 할 수 있으며, 쉽게 감염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는 부정적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신종 감염병 시기에는 올바른 인터넷 정보의 인식을 통하여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형성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사선사 및 치위생사의 건강관리서비스법안 이해와 서비스 제공요원 포함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The Comprehension of health care service bill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and dental hygienist and the study of necessity of including the service supply resources)

  • 손순룡;정미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696-1702
    • /
    • 2011
  • 본 연구는 생활습관 개선을 통하여 질병의 사전 예방과 조기진단을 목적으로 발의한 건강관리서비스법안에 관한 방사선사와 치위생사의 의식을 분석하여 향후 건강관리서비스법안의 세부 내용 및 제공 요원의 선정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방사선사와 치위생사 총 359명을 대상으로 2010년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건강관리서비스법안이나 세부 내용에 관하여 인지도는 30%% 미만이었고, 필요하다는 의견은 78.0%로 높게 나타났다. 항목의 추가는 방사선사는 현행 유지를, 치위생사는 82.3%가 추가를 희망하여 대조를 보였으며, 추가 항목으로는 치과 질환을 선호하였다. 서비스 제공요원에 방사선사와 치위생사 등이 보건(의료)관련 교육을 이수하였으므로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으며, 건강관리서비스에 참여 의향은 평균 8.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건강관리서비스법은 필요하지만, 주요 내용과 서비스 제공요원 등에 관한 다양한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정규 대학(교)에서 보건(의료)에 관한 교육을 이수하고 임상에서 지속적으로 이수하고 있는 일정 경력 이상의 보건직(방사선사, 치위생사 등) 인력의 포함은 필연적이라고 사료된다.

소규모 사업장 산업보건인력의 업무수행 분석 (Facilitating Factors of and Barriers to Performance Improvement of Small Scale Enterprise Occupational Health Personnel in Korea)

  • 전경자;백도명;김은희;김지용;하은희;김선민;박혜숙;정혜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6-167
    • /
    • 1997
  • In Korea, based on the Revised Law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 new entity of institution was set up in 1990 to provide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to SSE in which three sorts of personnel as a team have to be involved. These institutions, in charge of scores to hundreds of workplace area-wide, have been providing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without payment from employers or employees, and government reimburses through the Occupational Injury Prevention Insurance since 1993. As a service provider, a team is composed of doctors, nurses and industrial hygienists.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educations for the SSE occupational health are not specified and the ques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personnel has been rais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facilitating factors of and barriers to the performance and its improvement of these personnel. In 1997,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ll 58 institutions.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200 personnel who were providing the occupational health service for SSE. The response rate was 51.7% for doctors, 58.6% for nurses, and 60.3% for industrial hygienist, respectively.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re is a guideline for occupational service mandated by the government. Under the guideline, the minimum frequency of visiting workplace is assured with six times of doctors, 17 times for nurse and industrial hygienist in a year. There are one doctor for every 200 factories, one nurse and one hygienist for every 100 factories. 2) All respondents have basic qualification for occupational health service. About 16.7%. of doctors are certified in industrial medicine or preventive medicine, and 64.7% of industrial hygienists had first grade certification. Totally 66.7% of personnel have been involved in occupational health for more than one year. 3) As a support system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66.3% respond that they have been provided with educational materials, advice related to industrial environment and guidance of MSDS from Korea Industrial Safety Corporation. Most respondents indicate the lack of concern of employers and employees as a main barrier to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Also they are in the need of the training opportunity more focused on SSE. The Governments policy for SSE is a principal facilitating factor. Training program focused on SSE situation, manpower, technical support, etc. are areas to be improved to have a better occupational health service for SSE in Korea.

  • PDF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탐색 (Exploring Antecedent Factor that Influence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김연우;신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29-337
    • /
    • 2019
  • 치과의료에 대한 공급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구강보건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치과위생사의 직업전문성이 의료현장에서 실제로 인정받는다고 보기에는 힘든 상황이며, 이로 인해 치과위생사의 직무불만과 이직의도는 의료기관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탐색하여 조직유효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자한다. 선행요인을 보다 다각도로 탐색하게 위해 개인의 특성(낙관성)과 직무와 관련된 특성(직업전문성) 그리고 조직과 관련된 특성(조직지원인식)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치과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 199명의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 치과위생사의 낙관성과 직업전문성, 그리고 조직지원인식은 모두 직무만족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지원인식은 이직의도에 대해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기도 하지만 직무만족이라는 매개변수에 의해 보다 큰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과위생사의 높은 이직률과 직무불만으로 고통받는 치과 의료기관들에게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위생분야 국가자격제도의 운영현황과 발전방안 (A Review on the National Acceditation System of Industrial Hygiene Professionals : Current Status and New Directions)

  • 박종성;김현욱;원정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2-51
    • /
    • 199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 tem in the field of industrial hygiene, focusing on the deficiencies in the regulatory system and the quality of individual professionals including the Industrial Hygiene Management Professional Engineer and the Industrial Hygiene Management Engineer, and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industrial hygiene qualification system. In addition, comparable systems adopted in other countires were reviewed.

  • PDF

D대학교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합격의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bles of Success in the National Dental Hygienist Licence Examination at D College)

  • 이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486-3491
    • /
    • 2012
  • 본 연구는 2011년 11월 14일부터 11월 25일까지 강원도에 위치한 D대학교의 치위생과 3학년 재학생 중 120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합격의 변인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과 R 2. 13. 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Chi-square) 검증, 회귀분석, Multiple linear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등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공에 대한 만족도, 학업성적, 모의고사 성적이 높은 학생이 많이 합격하는 경향을 보였다. 2. 학업성적과 모의고사 성적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3. 학업성적 평균과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같은 경우, 모의고사성적 평균이 1점 증가하면 국가시험에 합격할 확률은 불합격할 확률에 비해 1.141배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합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모의고사 성적으로 나타난 바, 국가시험 준비 시 모의고사 성적이 낮은 학생을 우선적으로 집중 지도 관리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감성지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dental hygienis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김영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90-396
    • /
    • 2019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감성지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9월 4일부터 12월 7일까지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program을 활용하여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감성지능, 조직유효성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감성지능, 조직유효성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Scheff{\acute{e}}$ test,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감성지능, 조직유효성 간의 상관관계에서 감성노동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38.917, P<.05),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8.2%였다. 독립변수 중 감정노동(${\beta}=0.608$)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최종학력, 임상경력, 감성지능이 치과위생사의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과위생사의 조직유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감정노동을 줄이고 감성지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