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검색결과 935건 처리시간 0.025초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술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Technology Management Strategy for Activating the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 이원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11-219
    • /
    • 2014
  • 본 논문은 개방형 혁신 환경하에서 산학기술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술경영전략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경영의 중요성과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내부기술혁신과 외부혁신자원의 활용과 산학협력의 균형관점에서 기술경영의 프레임을 고찰하였다. 현재 개방형 혁신 환경하에서 기업이 성공적인 기술경영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업은 산학협력전략을 추진해야한다.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업의 기술경영전략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개방형 환경을 고려한 산학협력전략을 추진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조직내 전략기술로드맵을 활용할 수 있다. 둘째, 기업은 개방형 혁신시스템을 조직내에서 도입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조직내 문화도 NIH신드롬을 극복하고 개방형으로 전환해야 한다. 셋째, 기업은 기업, 대학, 연구소 등 다양한 혁신주체들과 다양한 목적으로 협력이 가능하도록 협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조직내에 갖추어야 한다.

충북지역 산업체 기술수준과 산학협력에 관한 시사점 (Implications on the Technical Level of Industries and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n Chungbuk Province)

  • 남재우;임성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20-52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충북지역 제조업체의 기술 수준과 역량을 진단하여 지역 대학과의 산학협력 효율화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북지역 산업체들은 중숙련, 고숙련 기업이 75%이며 생산제품의 수명주기는 중 장년기에 접어들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산업체는 마케팅판매기술과 경영 및 관리기술 등의 역량을 과도하게 평가하고 있었다. 따라서 지역 대학들은 산업체의 신산업 육성을 위해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지원하고, 교육과 세미나를 통해 현실 이해와 미래예측 능력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충북지역 대학들은 평생교육과정과 같은 일반 교육 프로그램을 우선 제공하여 산업체의 실제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했다. 산업체들은 필요인력 배출과 기술교육 등 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필요로 했으며, 이외에도 시험, 분석 등의 지식과 인프라 제공, 공동연구 등 기술개발 참여를 기대하고 있었다. 따라서 대학은 수요조사를 통해 맞춤형 협력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산업체와 다양한 연결점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충북지역 산업체들의 보유기술은 지역전략산업과 관련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산업체와 지자체 간 비전이 공유되지 않은 것으로 대학은 다양한 지역사회 주체들을 조직화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3D 프린팅과 전문대학 인력에 대한 기업 수요조사를 통한 전문대학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A Survey Study on a Activating Strategy for College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with Industry's Needs for 3D Printing and College Graduate)

  • 유충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7-65
    • /
    • 2016
  • 산학협력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이나 기업 수요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산학협력 활동이 위축받고 있다. 특히 산학협력의 범위를 일부로 한정하여 판단함으로서 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해 노력하는 전문대학이 일반대학에 비하여 산학협력에 기여하는 바가 미흡하다는 인식이 있고 이것은 전문대학 산학협력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다. 전문대학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업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3D 프린팅과 전문대학 졸업생의 활동분야를 비교분석하여 3D 프린팅을 활용한 전문대학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전문대학과 일반대학의 주요역할을 기술사업화 절차에 따라 기업 수요를 분석하여 기업과 전문대학 그리고 일반대학의 협력모델을 제안한다.

대학과 기업간의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산학협력 성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erformance of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정효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023-2028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과 기업의 산학협력 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대학과 기업의 산학협력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산학협력 사업에 참여한 대학 측의 과제책임자 146명, 기업은 담당자 또는 참여 연구원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구성했다. 분석방법은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첫째, 성과만족도에서는 대학은 산학협력 지식과 업무능력 정도가 높을수록, 상호간 요구 반영정도가 높을수록, 지역의 산업구조 영향의 영향이 높을수록 성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기업은 산학협력 지식과 업무능력정도가 높을수록, 산학협력 활동 참여의 적극성이 높을수록, 지역의 경제규모의 영향이 높을수록, 지역의 산업구조의 영향이 높을수록 성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관계지속성에서는 대학은 산학협력 활동 참여의 적극성이 높을수록, 정보교류의 정도가 높을수록 관계지속성이 높게 나타났고, 기업은 산학협력 지식과 업무능력 정도가 높을수록, 산학협력 활동 참여의 적극성이 높을수록 관계지속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과활용도에서는 대학은 산학협력 지식과 업무능력 정도가 높을수록, 연구시설 및 기자재가 높을수록 성과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산학협력을 증진하기 위해서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산학협력 지식과 업무능력을 높인다면 산학협력의 성과만족도, 성과활용도, 관계지속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신(新)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Research for activation of new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김태영;설원식;이영일;고혁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77-82
    • /
    • 2019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산학협력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혁신적 변화가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의 현황과 정부의 지원사업을 진단하고, 해외 주요사례분석을 통하여 신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의 전반적인 산학협력 수준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산학협력 지원사업은 양적으로는 충분하나, 부처별 중복지원 문제, 산학협력 지원의 양극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외 주요 대학의 특징은 지역산업과의 연계가 높다는 점이며, 대학이 적극적으로 창업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지향적 산학협력으로, 미래수요에 기반한 신교육과정 개설과 교육방식 혁신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능동적 산학협력으로 창업교육 확대와 대학보유 자원을 기반으로 한 창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셋째, 지역혁신주체와의 적극적 협력으로 지역혁신의 앵커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수익 창출형 산학협력 모델을 개발하여 대학 재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산학협력: 대학의 새로운 역할 (University Industry Cooperation: New role of university)

  • 김종진;최종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461-467
    • /
    • 2005
  • 대학의 역할이 인력공급자에서 수요자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대학의 사명 또한 강의, 연구에서 더 나아가 기업가정신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산학협력에 대한 요구만큼이나 양자간 문화적 차이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대학이 성공적인 산학협력을 수행하려면 여러 주체들, 즉 '이해관계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대학들은 똑같은 협력이 아니라 업체의 규모를 고려한 협력이 필요하다. 성공적인 혁신클러스터내 대학들이 협력 모습에서 핵심요인을 살펴보고, 변화하는 연구자와 리더의 모습을 추적하여 대학의 새로운 협력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 PDF

산학협력 밀착도, 협력도 구성변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analysis of Industrial-University cooperation adherency degree and cooperation degree configuration variable on satisfaction)

  • 김영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59-368
    • /
    • 2016
  • 21세기에 들어 우리나라 대학교육체제는 혁신과 변화의 국면에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목하는 바는 산학협력이다. 대학과 산업간의 상호관계를 통해 공진화하는 산학협력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는 것이 서로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산학협력의 관계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시되며, 산학협력의 최종결과물인 성과도 어떻게 측정해야 바람직한지가 중요하다. 본 논문은 교육부가 평가실시하고 있는 산학협력관계 측정지표인 밀착도, 협력도, 만족도를 대상으로 산학협력의 성과를 기업의 만족도로 설정하고, 산학협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관계를 밀착도와 협력도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과 기업 간의 산학협력관계요인에 따른 산학협력 만족도에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방정식을 통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더불어 다중회귀분석을 하기 전에 다중공선성 문제를 사전 점검한 결과, 다중공선성 문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족도 변수는 어느 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는 종속변수이지만 여기서는 5개의 개별 변수로 다차원의 종속변수를 구성하고, 이들 각 개별 종속변수인 만족도에 밀착도 변수 구성변인과 협력도 구성변인이 어느 정도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맞춤형 프로그램 실현정도가 가장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고. 산학협력을 통해 양성된 인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교육/연구/기술지도 등 지역의 여건에 적합한 프로그램 실현정도로 나타났다.

기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가 기업의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corporate support program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corporate contribution)

  • 김영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75-183
    • /
    • 2017
  • 본 연구는 LINC사업이 종료되고 새롭게 시행되는 LINC+(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이 새롭게 시작되는 시점에서 LINC+사업의 핵심 어젠더인 대학과 산업체의 쌍방향 산학협력이 정착되기 위해서 대학 중심의 성과측정 외에 산업체입장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를 발견하고자 한다. 기업의 입장에서 기업의 매출액 증가, 고용증가. 수출 증가 등의 양적인 성과요인도 있지만 산학협력의 결과로 어느 정도의 기업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산학협력의 만족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이러한 만족도 요인이 기업의 입장에서 실제 성장 발전에 미치는 기여도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기업의 성장발전에 기여하는 정도를 주관적 지표를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LINC+사업 시행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산업선도형 대학" 육성을 통한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중소기업 혁신 지원 및 일자리 창출, 일관성 있는 산학협력 지원을 통해 정부 정책의 신뢰도 제고로 대학과 산업체의 상생발전에 조력하고자한다.

산학협력중점교수 업적평가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ncentration Professor)

  • 손충기;박정환;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656-3664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업적평가 모형을 개발하여 교수의 업적평가뿐만 아니라 질 관리에 도움을 주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2년도에 교육부로부터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에 선정된 전국 51개 대학을 포함한 57개 대학의 산학협력중점교수에 대한 규정을 수집 분석하여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정의 및 인정기준을 명료화하고,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유형과 각 유형별 역할 및 업무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산학협력중점교수의 핵심역량을 추출하여 업적평가 모형을 평가영역, 평가요소, 평가지표, 단위 등 4가지 범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각 대학들로 하여금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업적평가와 질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데 일종의 준거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R&D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of leading industry R&D for an economic region with regional input-output tables)

  • 김진호;최승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514-2519
    • /
    • 2012
  •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은 지역 간 협력 및 연계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정책 목표로 하고 있어 R&D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권역별 분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충청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중 'New IT' 분야의 '차세대무선통신 단말기 부품소재 글로벌 경쟁력 강화' 프로젝트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