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abitable environmen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2초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의 관리방안 (The Management Plant of the Youido Satkang Ecology Park Based on Ecosystem Monitoring)

  • 최병언;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6-38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최초의 생태공원인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하여 생물서식환경 조성기법을 평가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모니터링은 생물서식환견으로서는 수환경과 토양환경을 분석하였고, 생물상 모니터링으로 식물상, 식물군집구조, 동물상으로 구분하였고, 동물상은 조류와 어류의 변화에 국한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모니터링 내용은 식물상의 변화와 식물군집의 천이과정, 두 연못에 적용된 식생호안 공법별 식생피복룰과 발생식물상의 변화, 귀화식물의 발생 정도에 따른 귀화율의 비교이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조류와 어류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 PDF

기능성블록을 이용한 잠제의 수리학적 특성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a Submerged Breakwater Covered with Multi-Function Blocks)

  • 손병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7-52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a submerged breakwater, which functions as an eco-structure in a marine environment. Newly patented blocks were used in the submerged breakwater to both make it stable and provide an inhabitable space for fish. To investigate the wave transmission of the proposed submerged breakwater, parametric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two-dimensional hydraulic tests, which were carried out at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in South Korea. Those parameters are relative crest width (B/L), wave steepness (H/L), relative crest depth (hB/H), and submerged breakwater configuration. The hydraulic experimental results can be us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ubmerged breakwater covered with the multi-function blocks.

경춘선 숲길의 조류 서식환경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Bird Habitat Environment in Gyeongchun Line Forest Road)

  • 김미후;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67-18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of Linear Park. To this end, after grasping the status of bird habitats on the Gyeongchun Line Forest Road, a representative linear park in Seoul, the habitat environment was evaluat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bird habitat was analyzed to derive a plan to improve the habitat environment. The results for correlation between diversity of birds and habitat environment were as follows. For the habitat environment inside the park, the order of positive correlation was in the order of park area (0.92), number of insect species (0.87), green area ratio (0.77), average width of linear park (0.74), Biotope area ratio (0.73), Immigration planted species (0.57). Also, for habitat environment outside the park, the bird diversity was influenced in the order of area outside the park (0.88), green area ratio of the park (0.76). Thus, in order to enhance the diversity of birds found in the park,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inside the park needs to expand the park area, secure insect diversity, enhance green area ratio and ecological area ratio, expand the width of linear park, and lower the impermeable layer. For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outside the park, wider area, green area ratio, and forest area of the park influenced on better bird habitation while lower ratio of road space and building-to-land ratio influenced on higher bird diversit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habitable for various species of birds and to make a healthy and pleasant city urban system for co-existence of human and living creatures.

백령도 점박이물범 (Phoca largha)의 서식현황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the Spotted Seal, Phoca largha, along the Coast of Baekryongdo)

  • 박태건;안용락;문대연;최석관;김장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59-664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spotted seals, Phoca largha, inhabiting the coast of Baekryongdo. Monitoring of spotted seals in Baekryongdo was conducted between June 2006 and November 2008, using a 5-ton fishing vessel 1hour before low tide. The monthly maximum number of observed seals was 274 in September 2006, 139 in September 2007, and 213 in August 2008. Average observed monthly counts were largest in August and September. Relatively more spotted seals were observed when there were few cloudy days and plenty of sunshine. Bycatch, stranding, and observations of spotted seals have been reported along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since 2000, and spotted seals were observed four times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three times in the southeastern region, and 12 times on the east coast. This suggests that spotted seals inhabiting Baekryongdo migrate to the East Sea via the West and South seas as individuals or in groups.

Maxent 모델을 이용한 양봉꿀벌의 서울시 수분 잠재환경 분석 (The Analysis of Pollination Potential Environment for Apis mellifera in Seoul Using Maxent Modeling Approach)

  • 김윤호;조용현;배양섭;김다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5-96
    • /
    • 2020
  • The honeybee serves for most entomophilous flowers. They are a core species for maintaining the ecological system. Though the urban ecological system needs bees' mediation of pollination as well, we have little understanding on how the honeybee reacts to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an urban city.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enhance the potential environment for pollination in an urban area and aims to review the urban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are highly linked to the pollination mediations by the honeybee. The study composed a Maxent model by adopting nine urba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he locations of the Apis mellifera's appearances around 52 spots in Seoul. The variables reflect the ecology of the Apis mellifera. Of the urban environmental variables used for the model composition, six variables were found as not having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the Apis mellifera's appearances and finally, building coverage, actual vegetation and land cover were selected as the appearance variables of the Apis mellifera. The AUC, the reliability indicator of the final model was 0.791 (sd=0.077). And the importance data of the variables used for the model were 55.6%, 27.9%, and 16.5% for building coverage, actual vegetation and land cover,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building coverag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honeybee. And, as per the actual vegetation, the artificially tree planted area as well as the cultivated field and meadow in an urban area were functioning 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honeybee to be inhabitable.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e material for the urban planning and park green area planning to enhance the potential environment for pollination in an urban area.

금강에 서식하는 꺽지(Coreoperca herzi)의 식성 (Studies on the Feeding Habits of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in the Geum River,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2-478
    • /
    • 2017
  • 꺽지의 식성 분석을 위해 금강에서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채집을 하였고 크기는 전장이 38~70 mm, 71~109 mm, 110 mm 이상 등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먹이생물은 수서곤충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잠자리목(Odonata), 강도래목(Plec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파리목(Diptera), 날도래목(Trichoptera) 등과 어류 이었다. 꺽지는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하였고 개체수에 있어 98.8%, 생체량은 55.8%, 상대중요성 지수는 97.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성은 육식성이었으며 먹이 섭취 특성과 형태는 Keenleyside의 분류를 적용하면 육식포식자(stalker)에 속하였다. 꺽지의 주요 먹이원은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었고 잠자리류, 강도래류, 딱정벌레류, 어류 등은 희소하게 섭식하고 있었다. 꺽지는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섭식한 먹이의 생체량에 있어 하루살이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날도래류와 어류가 증가하는 먹이 전환이 발생 하였다. 딱정벌레류와 파리류는 큰 변동이 없이 일정하였다. 전반적으로 꺽지는 먹이생물의 구성이 계절에 따라 큰 변화는 없었다. 하천에 있어 꺽지의 자연증식과 서식지를 복원할 경우 주요 먹이원인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 다량 서식할 수 있도록 조성하여야 한다.

횡성호 일대에 분포하는 피라미(Zacco platypus) 개체군의 생태적 특성 분석 (Spatial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Zacco platypus Population in Lake Hoengseong Region)

  • 이황구;신현선;김성원;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74-381
    • /
    • 2012
  • 본 연구는 횡성호 및 횡성호 상 하류지역을 대상으로 2010년 4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피라미(Zacco platypus) 개체군의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피라미 개체군의 지역별 동태를 비교한 결과 상류지역에서 1,707개체(78.70%)로 가장 큰 개체군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라미 개체군의 전장-체중 상관도 분석 결과 횡성호 일대에 분포하는 피라미 개체군의 회귀계수 b값은 3.28로 비교적 안정적인 서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상류지역 3.28, 횡성호 3.10, 하류지역 3.09로 상류지역에서 가장 양호한 생육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비만도 지수는 slope가 0.003으로 안정적인 개체군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류지역 0.003, 횡성호와 하류지역이 0.001로 상류지역에서 가장 양호한 영양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피라미 개체군을 대상으로 전장크기를 비교한 전장빈도 분포 결과 상류지역은 30~50mm, 70~90mm 사이의 개체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횡성호에서는 60~80mm의 개체, 횡성호 하류지역은 70~100mm의 개체가 비교적 풍부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횡성호 일대 피라미 개체군은 상류지역에서 가장 안정된 생육상태를 나타냈으며, 서식조건이 충족될 경우 유수역 및 정수역 모두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의 생태적 질 평가 및 복원 가이드라인 수립 (Evaluation of Ecological quality and establishment of ecological restoration guideline in landscape level of Mt. Moodeung National Park)

  • 임치홍;박용수;안지홍;정성희;남경배;이창석
    • 생태와환경
    • /
    • 제49권4호
    • /
    • pp.296-307
    • /
    • 2016
  • 생태적 복원은 온전한 자연의 체계와 기능을 모방하여 인간이 훼손시킨 자연을 치유함으로써 다양한 생물들에게 서식공간을 제공하고 인류의 미래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생태기술이다. 이러한 생태적 복원은 복원대상에 대한 다각적 측면의 진단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수립된 복원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등산국립공원의 훼손된 산림의 생태적 질을 평가하고, 이를 회복시키기 위한 경관수준의 복원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자연적 요소(지형, 기후, 식생 분포)와 인위적 요소(토지이용, 선형 경관요소의 분포)를 고려하여 무등산국립공원에 성립해 있는 산림의 생태적 질을 진단하였다. 이와 더불어, 선형 경관요소에 의해 구획된 각 권역의 기하학적 속성 및 토지이용 강도에 근거하여 온전성 정도를 평가한 후 이를 점수화하였다. 분석 결과, 무등산국립공원의 거시적 지형은 모암의 풍화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양상이었으며, 식생대는 해발고도의 수직적 구배에 따라 난온대상록활엽수림대, 난온대낙엽활엽수림대 및 냉온대낙엽활엽수림대로 구분되었다. 토지이용유형에서 무등산국립공원은 활엽수림, 침엽수림 및 혼합림이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였다. 경관파편화를 유발하는 경관요소로서 탐방로는 총 97개소로 파악되었다. 경관의 질 점수는 평균 $69.86{\pm}11.41$로 나타났다. 진단평가 결과, 무등산국립공원 내 산림의 생태적 질은 인간활동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그 영향 정도는 지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무등산국립공원은 산 중심으로 설정된 국립공원 경계와 모암의 풍화 특성에 의해 공원구역 내 수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변 지역과의 생태네트웍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진단평가 결과에 바탕을 두고 무등산국립공원의 생태적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