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itial prestressing forc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 of prestressing on the first flexural natural frequency of beams

  • Jaiswal, O.R.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28권5호
    • /
    • pp.515-524
    • /
    • 2008
  • In this paper the effect of prestressing force on the first flexural natural frequency of beams is studied. Finite element technique is used to model the beam-tendon system, and the prestressing force is applied in the form of initial tension in the tendon. It is shown that the effect of prestressing force on the first natural frequency depends on bonded and unbonded nature of the tendon, and also on the eccentricity of tendon. For the beams with bonded tendon, the prestressing force does not have any appreciable effect on the first flexural natural frequency. However, for the beams with unbonded tendon, the first natural frequency significantly changes with the prestressing force and eccentricity of the tendon. If the eccentricity of tendon is small, then the first natural frequency decreases with the prestressing force and if the eccentricity is large, then the first flexural natural frequency increases with the prestressing forc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learly indicate that the first natural frequency can not be used as an easy indicator for detecting the loss of prestressing force, as has been attempted in some of the past studies.

P.C. 박스 교량의 긴장력 손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tress Losses of the P.C. Box Girder Bridge)

  • 이성우;이지영;지기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7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6-113
    • /
    • 1997
  • Until now, the evaluation of prestressing force during the survice state has received limited attention. Only initial prestressing force is estimated by reading the pressure values of a hydraulic jack or by observing the initial elongation of tendons. In this study, the initial losses and time dependent losses of prestressing force have been monitored by installing 12 vibrating wire-type load cells at the part of P.C. box bridge of Gangbyun Riverside Highway. Also comparative study was made for measured prestressing losses and estimated values. 2-dimens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the trend of prestressing losses, and the results was compared with measured ones.

  • PDF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마찰손실을 고려한 긴장력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Prestressing Force Considering Frictional Loss in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 조병완;이재형;태기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45-650
    • /
    • 2000
  • In the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the effective prestressing force of tendon is basically most important item for structural safety and serviceability. The frictional loss is one of the major items for determinating the effective prestressing force and depend on the construction accuracy of the structures. In this thesis, it will be analyzed and found through measured hydraulic jack pressure, tendon elongation and prestressing control system that the tendancy of apparent curvature friction coefficient, the ratio of jacking force and required prestressing force, the ratio of initial jacking force and required prestressing force and compatibility of specified friction loss coefficient. The specified control limit for curvature friction coefficient of prestressing control system is about 0.25 and wobble friction coefficient 0.005. Thus, the control limit should be modified according to changed vale of friction coefficient.

  • PDF

PS 긴장재의 마찰손실량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rictional Loss of Stress in The Prestressing Tendons)

  • 정배근;한경봉;박선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7-422
    • /
    • 2000
  • In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determining serviceability and safety it is important to exactly calculate effective prestress force acting on structures. for the determination of effective prestress force, friction loss of the prestressing tendon should be decided exactly, but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exact prestress force on the site and there is no actual field data. Therefore the friction loss coefficient recommended by the specification is not verified. in this paper, the friction loss standard PSC-Beam will be investigated, and is will be found what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ation and the sit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or jacking at both ends, actual intial prestress force in the center section of PCS-Beam was about 1.61% larger than theoretical initial prestress force and for hacking at one end, actual initial prestress force was approximate 4.9% lower than theoretical initial prestress force. Thus, for the exact calculation of friction loss, friction coefficient should be modified according to jacking methods.

  • PDF

비부착 긴장력이 거더의 횡비틀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nbonded Prestressing Force on the Lateral Torsional Stability of Girders)

  • 이종한;이건준;카부야야 키쿠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8-1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프리스트레스 긴장력의 위치와 크기에 따른 거더의 횡비틀림 안정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거더를 이용한 횡방향 거동 및 안정성 실험은 재료의 비선형성, 초기 기하학적 불완전성, 긴장력의 변화, 하중조건과 지지조건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예상치 못한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리스트레스 거더 축소 모형 실험안을 제안하여 긴장력에 의한 횡비틀림 안정성을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중 가력조건과 면내 및 면외 지지조건을 만족하며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제안하고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하부 플랜지에 긴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횡비틀림 안정성을 증가시켰으며, 최종적으로 긴장력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횡비틀림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해석식을 제안하였다.

볼트 조임력에 의한 와이어로프의 휨 보강 (Flexural Strengthening with Wire Rope Using the Tightening Force of Bolts)

  • 김선영;송진규;이영욱;변항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65-176
    • /
    • 2006
  • 본 연구는 볼트의 조임력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의 휨보강 효과에 대한 실험 및 사례에 대한 것이다. 본 공법은 와이어로프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긴장응력을 도입하며, 이 방법은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제안된 방법에 대한 휨보강 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24MPa이고 전단스팬비(a/d)가 2.8인 실험체의 주요변수로는 초기 긴장응력과 새들 수량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무보강 실험체에 비해서 휨내력은 약 160% 증가하였으며, 초기 긴장력에 따라서 균열 및 극한모멘트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새들의 수량은 균열 및 극한모멘트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실제 구조물의 보강공사에 적용한 사례를 통해서 제안된 공법은 다른 보강방법보다 매우 경쟁력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강봉 및 강관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유닛의 긴장 응력 손실 평가 (Evaluation of Prestress Loss in Prestressing Reinforcing Units using Steel Bar and Pipe)

  • 심재일;문주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75-8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강관과 강봉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력의 도입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reinforcing units using steel bar and pipe, 이하 SP) 보강재의 응력손실을 확인하는데에 있다. 주요변수는 SP 보강재의 종류, 프리스트레스력의 크기 및 도입방법이다. 실험결과 SP 보강재의 응력손실은 프리스트레스력이 직접 도입하는 초기단계에서 가장 크게 있었는데, 그 크기는 압축도입형 보다 인장도입형에서 더 크게 있었다. SP 보강재의 응력손실은 프리스트레스력이 항복강도의 80%로 도입된 P800 강종인 압축도입형 실험체에서 1.6%로 가장 낮았다. 한편 시간경과에 따른 SP 보강재의 릴랙세이션은 압축도입형의 경우 SP 보강재의 종류, 프리스트레스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0.4~1.9%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설계기준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릴랙세이션 2.5% 이하를 만족하는 수준이었다. 결과적으로 프리스트레스력 도입 즉시 발생하는 응력손실을 감안할 때에 개발된 SP 보강재의 재질과 프리스트레스력 도입방식 및 크기는 각각 P800, 압축도입형 및 항복강도의 80%로 추천된다.

중간지점부의 캠버 조정에 따른 강합성교의 모멘트저감 효과 (Reduction Effect of Moment of Steel Composite Bridge according to Camber Control in Middle Support)

  • 김경남;이성행;함형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34-64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구조해석 모델링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속철도상의 2주형 거더교에서 KTX 시험 활하중에 의한 동적 거동에 대한 계측과 3D 모델링을 통한 시간이력해석이 수행된다. 이를 바탕으로 중앙지점부 캠버조정을 통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대상 교량에서 지점부의 모멘트저감 효과의 검토를 위하여, 시공단계 해석이 수행되며, 장기거동에 대한 응력손실까지 고려된다. 적정수준의 초기 도입력을 산정하여 경제적인 교량단면을 위한 모멘트 저감 방법이 연구된다. 최종적으로 교량 단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교량 설계방법을 제시한다.

FBG 광섬유센서가 내장된 7연 강연선을 이용한 포스트텐션 UHPC 교량의 긴장력 장기모니터링 (Long Term Monitoring of Prestressing Tension Force in Post-Tension UHPC Bridge using Fiber Optical FBG Sensor)

  • 김현우;김재민;최송이;박성용;이환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99-706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FBG센서가 내장된 강연선을 포스트텐션 UHPC 교량(길이 11.0m, 폭 5.0m, 높이 0.6m)에 적용하고 약 1년간의 긴장력 장기모니터링 결과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초기 도입 긴장력과 차량재하시험을 통하여 콘크리트 내부 강연선의 긴장력 변화를 계측하고 계측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콘크리트 내부 긴장력 측정방법이 공영 중인 교량에서 외력으로 인한 콘크리트 내부의 작은 프리스트레스 변화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장기 계측결과를 이용하여 응력변화에 의한 유효변형률을 정확하게 얻기 위해서는 온도보정에 사용되는 열팽창계수의 선택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Interfacial stresses in damaged RC beams strengthened by externally bonded prestressed GFRP laminate plate: Analytical and numerical study

  • Chergui, Selma;Daouadji, Tahar Hassaine;Hamrat, Mostefa;Boulekbache, Bensaid;Bougara, Abdelkader;Abbes, Boussad;Amziane, Sofiane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8권3호
    • /
    • pp.197-217
    • /
    • 2019
  • In this study, the interfacial stresses in RC beams strengthened by externally bonded prestressed GFRP laminate are evaluated using an analytical approach, based on the equilibrium equations and boundary conditions. A comparison of the interfacial stresses obtained from the present analytical model and other existing models is undertaken. Otherwise, a parametric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ometrical and material properties on the variation of interfacial stresses in damaged RC beams strengthened by externally bonded prestressed GFRP laminate.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the damage degree has little effect on the maximum shear stress, with a variation less than 5% between the damaged and undamaged RC beams. However,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the prestressing leve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facial stresses; hence the damaged RC beam strengthened with an initial prestressing force of 100 kN gives 110% higher maximum shear stress than the damaged RC beam strengthened with an initial prestressing force of 50 kN. The values of shear stress obtained by the analytical approach are approximately equal to 44% of those obtained from the numerical solution, while the interfacial normal stresses predicted by the numerical study are approximately 26% higher than those calculated by the analytical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