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land wetland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2초

국가습지 DB를 활용한 남한 내륙습지의 토지피복 유형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in the Land Cover Types of Inland Wetlands Using the National Wetland DB at South Korea)

  • 이예슬;윤혜연;이성호;장동호;윤광성;이창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1-88
    • /
    • 2020
  • This study modified the properties and boundaries of the inland wetland types through the structural edit of the National Wetland DB,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land cover by area and the entire inland wetlands of South Korea. The inland wetlands of the Gangwon Basin had a small area of waters. In addition, the ratio of natural barren was high,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reaches of the large river in the east and west part of Gangwon Province. The Geum River Basin had a high percentage of aggregate l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large alluvial land, and the ratio of artistic barren was low, so various ecosystem service of wetland elements were distributed evenly. The Nakdong River Basin had a high proportion of waters as water level in the channel rose due to the installation of 4 Major Rivers Beam, and the ratio of Natural barren was low. Moreover, the water level of the main attributes flowing into the Nakdong River drainage system was not high, so the ratio of vegetation concentration was high. The Yeongsan River Basin showed that Waters had the high proportion.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 barrens re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the Seomjin River Basin. Finally, Sand and Gravels supplied to rivers during precipitation were deposited in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ide and high side was large in the area,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uth of a river, so the Natural barren of Clay was distributed.

RAM(일반기능평가기법)을 이용한 내륙 습지 기능 평가 (A Study on the Assessment for the Functions of Inland Wetlands Using RAM(Rapid Assessment Method))

  • 구본학;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8-48
    • /
    • 2001
  • A wetland is an ecosystem which is the most useful and highly-energetic transition area.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develop the wetland function assessment methods and apply on the natural wetlands (Mul-young-ari wetland in Jeju-island and Bangdong wetland in Taejon Metropolitan city) using RAM (Rapid Assessment Method). The RAM is useful method for assessing the wetland functions in terms of general functions acquired by once or twice onsite surveying. Eight functions of 2-12 variables each are analyzed for assessing the wetland fun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onservation values of two wetlands are "High". 2) In Mul-young-ari wetland, such functions as groundwater discharge, floral diversity and wildlife habitat, shoreline/stream bank protection are relatively high, but some functions such as flood/storm water storage, aesthetics and recreation are "Moderate" - "High". 3) In Bangdong wetland, such functions as floral diversity and wildlife habitat, groundwater discharge, flood/storm water storage, aesthetics and recreation are high, and another functions are "Moderate" - "High". The taxonomy of this study stems from assessing functions of inland wetlands using indices of RAM. So It is needed that consequent studies are to be performed with verifying the variables and indices.

  • PDF

MNDWI와 NDVI의 통합을 통한 내륙습지의 육화현상 추적: 우포늪을 사례로 (Monitoring the Desiccation of Inland Wetland by Combining MNDWI and NDVI: A Case Study of Upo Wetland in South Korea)

  • 황영석;엄정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31-41
    • /
    • 2015
  • 본 연구는 육화 추세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MNDWI (Modified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와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를 통합한 접근의 실용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례 연구지역인 우포늪에 대해 MNDWI는 수분 지수에 민감하여, 수문 객체는 더욱 강조하고 습윤 토양의 변화를 추적하는 등 수문 객체 외의 요소들은 더욱 강하게 배제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NDVI는 식생의 수령, 식생밀도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 수분객체와 다른 토지 피복 유형(식생, 건물, 도로 등)을 가시적으로 추적하였다. NDVI와 MNDWI의 통합접근을 통해 산출되는 정량적이고 거시적인 정보는 NDVI와 MNDWI의 변화가 육화에 대한 정량적인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향후 내륙습지의 육화에 대한 장기적 모니터링과 전반적인 육화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NDVI, MNDWI 통합접근의 근거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충청남도 내륙습지 특성 및 기능평가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in Chungnam Province)

  • 박미옥;구본학;김하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92-100
    • /
    • 2009
  • This study was surveyed from May to October, 2008 in order to classify type distribution and evaluate the function of inland wetland as a ecological axis in Chungnam province. Assessment was done by modified-RAM (Rapid Assessment Method). RAM is consisted of total 8 functions and divided into high, moderate, low. The conservation grade of RAM is divided into 4 grades; absolute conservation, conservation, improvement and restoration. Throughout survey on total 13 wetlands of Lacustrine, Palustrine wetland which are distributed in Chungnam province, their function was assessed. As result, the 2 wetlands were judged as absolute conservation grade by assessment of 8 functional contents, and 7 sites were improvement wetlands and 4 sites were conservation wetlands. The function of wetlands assessed as conservation grade showed high in water quality protection and improvement. Also, showed high in vegetation diversity, wildlife habitat and aesthetic recreation. Meanwhile, showed low in Water quality purification, Shoreline/Stream Bank Protection. Of wetlands evaluated as conservation grade, Jeong-juk Ji and Dun-ri reservoir were assessed as absolute conservative area. These wetlands are essential to be managed continuously as a area having high ecological value. Farther, these wetlands will be done as a axis of ecological network related to 'Kumbuk jeongmaek' ecosystem.

GIS를 기반으로 한 농촌 마을습지 판별 및 분포 특성 연구 - 충남 서천군을 사례로 - (A Study on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Village Wetland Inventory Based on GIS - Focused on Seocheon-gun Province, Chungnam, Korea -)

  • 박미옥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0-26
    • /
    • 2018
  • 본 연구는 작지만 생태적으로 가치있는 마을습지 분포를 파악하여 GIS/DB를 구축하고 보전 관리 및 현명한 이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형적인 농어촌마을인 서천군으로서, 먼저 수치지형도(1:5,000)를 바탕으로 Arc-GIS를 이용하여 마을습지 가능지를 파악하였다. 또한 마을습지 관리를 위해 면적 $625m^2$ 이상인 습지와 미만인 습지로 구분하여 각각 도출하였으며, 생태권역에 따라 도심지역, 내륙지역, 해안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마을습지 가능지를 습지판별 지표에 따라 실내조사 및 현장답사를 통해 최종 마을습지로 판별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서천군 마을습지 가능지는 570개소로서, 이를 생태권역으로 구분하면 도심지역 74개소, 내륙지역 220개소, 해안지역 276개소 등으로 나타났다. 습지판별 사례연구는 각 생태권역별로 도심지역 2개읍 중 1개읍(서천읍), 해안지역 4개면 중 2개면(비인면, 서면), 내륙지역 7개면 중 3개면(마산면, 한산면, 시초면)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을습지 분포는 면적 $625m^2$ 미만의 마을습지가 대부분으로서 소규모 마을습지에 대한 체계적 관리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륙지역에 비해 해안지역이나 도심지역의 마을습지 판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내륙지역이 아직 덜 교란되었음을 말해주고 있고, 상대적으로 도심지역과 해안지역 토지이용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마을습지와 같이 중요성이 덜 인식된 토지들이 비교적 쉽게 훼손되고 있어 관리전략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한 내륙습지 관리권역 설정 (Establishing Management District for 1n18n0 Wetlands Using Digital Eleveation Model)

  • 김병선;구자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67-183
    • /
    • 2005
  • 습지는 육상과 수상생태계의 전이지대로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이며 생물자원의 보고로서 인간은 물론 육상의 생물들에게도 매우 가치있는 지리적 공간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륙습지를 대상으로 수치고도모델과 GIS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습지 관리권역 설정 방법을 연구하였다.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하여 소하천 유역단위로 관리 권역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BurnDEM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내륙습지 분포도를 18개의 소하천 유역으로 분류한 유역도와 중첩하여, 내륙습지의 관리권역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소하천 유역 관리권역 설정 기법은, 앞으로 진행될 국가 내륙습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우리나라 습지 보전 현황과 향후 관리방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Current Status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y on Wetlands in Korea)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3
    • /
    • 2003
  • Conservation of wetlands are important because wetlands are hatcheries for fishes and habitat for migratory birds and mammals. Wetlands also function as a filter for polluted water and material and transition zone for harboring numerous species of plants and animals. This paper reviewed the importance of wetland conservation and policy on management of wetlands in Korea. Wetland Conservation Act(1999) and Maritime Management Act(1999) are two legislation for conservation of wetlands. Wetland Conservation Act is issued by both Ministry of Environment and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he definition of wetlands are so diverse, but this paper categorized wetlands as both natural and man-made lakes, mud flat areas and inland wetlands. Management application was considered for each wetland categories.

  • PDF

한국 내륙습지 경계설정에 대한 제언 (A Study on Korea Inland Wetland Boundary Delineation)

  • 문상균;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0
    • /
    • 2014
  • Systematic management of wetlands should be a priority to build the data for the extent and distribution of wetlands all over the country. However there are no clear guidelines for the wetland boundary delineation, so researchers have to determine the boundary of wetlands in each different way. As a result,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the extent and distribution of wetlands. This study proposes applicable criteria of setting boundary of wetlands which consider their wetland vegetation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etland classification. The proposed site in this study is selected wetlands that represent each wetland type and have been ecologically well preserved like the wetland protected areas. GIS data for setting the boundary of wetlands selected were land-cover maps, aerial photographs,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digital topographic maps. In this study, 'wetland unit determination' of the Washington State Wetlands Rating System(WSDE, 1993) and the concept of 'Wetland and Deep-water Habitats' was suggested by Wetland Delineation Manual(USACE, 1987) were used as criteria for setting the boundary of wetland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oundary of wetlands could be, in general, set consistently. Also, it seemed possible to set systematic and standardized boundary of wetlands and to provide more objective data for establishing national wetland policies, if maps of wetlands are made and an investigation of wetlands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표토침식에 따른 내륙습지 훼손 가능성 평가 (Potential damage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by topsoil erosion)

  • 김성원;정안철;이대업;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7호
    • /
    • pp.521-531
    • /
    • 2020
  • 본 연구는 강우로부터 나타나는 표토침식과 퇴적의 영향을 고려하여 습지 훼손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용담댐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천천유역은 16개의 습지가 존재하며, 습지훼손 가능성에 대한 평가는 호수형습지와 소택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2002년, 2003년에 발생한 태풍사상을 적용한 결과, 벽남제습지의 경우 상류유역에서 유입되는 토사량은 저수용량의 2.30%(22,548 ㎥)로 가장 높았다. 산지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소택지의 평균 유입토사량은 저수용량의 0.03%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넓은 유역을 가지는 호수형습지보다 훼손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넓은 면적이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는 호수형습지는 모형의 결과에서 토사유입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토양침식에 의한 습지훼손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습지토양 및 연안퇴적물의 유기물질 및 영양물질 보유 특성 (Retention properties of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in wetland soils and coastal sediments)

  • 박소영;이용민;윤한삼;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65-275
    • /
    • 2012
  • 최근에 기후변화와 수질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습지토양의 탄소와 영양물질 보유 특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퇴적물과 인공습지, 자연습지(내륙, 하구, 갯벌)와 같이 연안퇴적물 및 다양한 유형의 습지토양에서의 유기물과 영양물질의 보유특성을 알아 보고자하였다. 또한 유기물, 영양물질, 입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들 항목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기물이나 영양물질의 보유정도가 습지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내륙습지가 하구나 연안습지보다 질소의 보유 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육상생태계에서도 더 오랜 기간 동안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자체적으로 유기물을 생산하여 축적하고 있는 자연습지에서 유기물과 질소의 농도가 인공습지보다 더 높은 것을 조사되었다. 연안지역의 경우 해수의 흐름이 원활한 하구나 갯벌 보다 해수의 유통이 느린 만 지역에서 유기물과 질소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화학적산소요구량은 총유기탄소 및 총질소농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어 화학적산소요구량 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습지의 총유기탄소나 총질소 농도를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