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icide susceptibility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2초

담배가루이 생태형 B와 Q가 같이 발생하는 경북 참외재배 지역 보고 (A Report on Mixed Occurrence of To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Biotypes B and Q in Oriental Melon Farms in Kyungpook Province, Korea)

  • 김은성;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65-472
    • /
    • 2014
  •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바이러스 매개 역할과 함께 참외에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담배가루이는 기주 작물과 농약 감수성 정도에 따라 다양한 생태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안동시 풍천면에 소재한 참외밭에서 성충을 채집하여 PCR 분자진단기법으로 동정하였다. 전체 11 곳의 채집 장소에서 Q 생태형 담배가루이를 진단하였고, 이 가운데 4 곳의 채집 장소에서 B 생태형도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북지역 참외 재배지에서 담배가루이가 발생한다는 최초의 보고이며, 특히 두 생태형이 동일한 재배지에 혼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몇가지 담수산동물(淡水産動物)에 대한 살충제 Cartap의 급성독성(急性毒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cute Toxicity of an Insecticide Cartap to Several Species of Freshwater Animals)

  • 변상지;최승윤;김광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3-49
    • /
    • 1984
  • 본 시험은 몇가지 담수산동물(淡水産動物)에 대한 cartap의 급성독성(急性毒性) 발현(發現)에 미치는 동물(動物)의 종류(種類), 수온(水溫) 및 pH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된 담수산동물은 금붕어(Carassius auratus LINNE),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 $G{\"{U}}NTHER$), 미꾸리(Misgurus anguillicaudatus CANTOR) 및 둥근물벼룩(Moina macrocopa STRAUS)이었다. 용존산소량(溶存酸素量)과 물의 경도(硬度)는 각각 $6{\sim}8\;ppm$, $22{\sim}40\;ppm$으로 고정하고, 수온(水溫)의 수준(水準)은 $20^{\circ}C$, $25^{\circ}C$, $30^{\circ}C$이었고 pH치(値)의 수준(水準)은 6, 7, 9이었다. 얻어진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온(水溫) $25^{\circ}C$, pH 7에서 cartap의 TLm (median tolerance limit)치(値)는 금붕어, 왜몰개, 미꾸리에서 낮았고, 등근물벼룩에서 높았다, 금붕어에 대한 48시간 TLm치(値)는 0.88 ppm, 왜몰개는 0.26 ppm, 미꾸리는 0.13 ppm이었고, 등근물벼룩의 3시간 TLm치(値)는 306 ppm이었다. 2) pH치(値)를 7로 고정하고, 수온을 $20^{\circ}C$, $25^{\circ}C$, $30^{\circ}C$로 하였을 때, cartap의 TLm치는 금붕어와 왜몰개에서는 온도의 상승과 더불어 낮아졌으나 둥근물벼룩에서는 $25^{\circ}C$에서 가장 높았고 $30^{\circ}C$에서 가장 낮았다. 둥근물벼룩에 대한 3시간 TLm치(値)는 $20^{\circ}C$에서 107 ppm, $25^{\circ}C$에서 306 ppm, $30^{\circ}C$에서 77 ppm이었다. 3) 수온을 $25^{\circ}C$로 고정하고 pH치를 6, 7, 9로 하였을 때, 금붕어와 왜몰개는 pH치가 높아질수록 TLm치(値)도 높아졌으나, 둥근물벼룩은 높은 pH치에서 TLm치가 낮아졌다. 미꾸리의 사망율은 pH치가 커질수록 사망율이 현저히 증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cartap의 담빙산동물(淡氷産動物)에 대한 독성발현도(毒性發現度)는 동물의 종류뿐만 아니라 수온(水溫)과 pH의 영향도 크게 받는데, 그 변화양상(變化樣相)은 요인(要因)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다.

  • PDF

북방수염하늘소의 살충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Pine Sawyer, Monochamus saltuarius Adults (Coleoptera: Cerambycidae)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 한주환;유종현;김은희;양정오;노두진;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2-269
    • /
    • 2008
  • 시판하고 있는 39종의 살충제에 대한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성충에 대한 약제 감수성,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두가지 검정법(충체분무와 가지침지)으로 성충에 대해 100% 살충율를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phosphamidon, dinotefuran, actamiprid, clothianidin, thiacloprid, thiamethoxam, esfenvalerate+fenitrothion, fipronil 등 11종이었으며, 방제효과가 좋은 11종에 대해 2000배, 4000 배액으로 희석된 약액을 성충에 처리한 결과 처리농도에 상관없이 모두 100% 살충효과를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이고 2000 배액에서만 100% 살충율를 보인 약제는 phenthoate, thiacloprid, thiamethoxam, fipronil 등 4종이었다. 뿌리 침투이행성 효과는 phosphamidon, clothianidin, thiamethoxam이 100%, thiacloprid는 77.7%의 침투이행 효과를 나타냈다. 잔효성에서는 fenitrothion, thiamethoxam은 15일째까지 80%이상, fenthion, phosphamidon, clothianidin은 10일째까지 80%이상, fenitrothion, thiamethoxam, fipronil은 처리 후 7일까지, thiacloprid는 처리 후 3일까지, fenthion, phenthoate은 처리 후 1일째까지 100% 살충율을 보였다. 방제효과에서는 11약제중 6약제(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phosphamidon, fipronil, esfenvalerate+fenitrothion)가 처리 1일째에 그리고 3일째에는 시험약제 모두 100%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3종(種)진딧물의 살충제(殺蟲劑) 감수성(感受性) (Suscepitibility of Several Insecticides on Three Aphids)

  • 김길하;신욱균;안종웅;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3-88
    • /
    • 1987
  • 3종(種) 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콩진딧물)에 대(對)한 acephate가 9종(種)의 살충제(殺蟲劑)를 공시(供試)하여 살충제(殺蟲劑)의 종류(種類)와 처리방법(處理方法) 그리고 종간(種間) 살충제(殺蟲劑)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비교(比較)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1) 3종(種) 진딧물은 살충제(殺蟲劑) 종류(種類)와 처리방법(處理方法)에 따라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2) 처리방법간(處理方法間) 비교(比較)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은 대체로 엽침지법(葉浸漬法)보다 분무법(噴霧法)에서 감수성(感受性)이 높았으나 목화진딧물과 콩진딧물은 살충제(殺蟲劑) 종류(種類)에 따라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특(特)히 목화진딧물은 phenthoate+dimethoate에서, 콩진딧물은 penvalerate에서 현저(顯著)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보였다. 3) 진딧물 종간(種間)에서도 살충제(殺蟲劑)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는데, 콩진딧물이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에 비(比)하여 감수성(感受性)이 높았다. 특(特)히 pirimicarb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 콩진딧물보다 목화진딧물에서 감수성(感受性)이 크게 저하(抵下)되었다. 4) 3종(種) 진딧물 중(中) 살충제(殺蟲劑) 스크리닝에서는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콩진딧물의 선택(選擇)이 바람직스러우며 진딧물 감정방법(檢定方法)에서는 엽침지법(葉浸漬法)과 분무법(噴霧法) 중(中) 처리(處理)가 용이(容易)하고, 변이(變異)가 적은 결과(結果)를 얻을 수 있는 엽침지법(葉浸漬法)의 선택(選擇)을 추천(推薦)한다.

  • PDF

사철나무혹파리의 생태(生態) 및 방제연구(防除硏究) (Study on Ecology and Control of Euonymus Gall Midge, Masakimyia Pustulae Yukawa et Sunose)

  • 김완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39-442
    • /
    • 1996
  • 본 연구(硏究)는 조경수(造景樹)로 많이 식재(植栽)되고 있는 사철나무에 피해(被害)를 주어 탄저병 감염(感染)이 잘되고 조기낙엽현상(早期落葉現象)이 일어나 미관(美觀)을 크게 해치는 사철나무혹파리에 대한 생태(生態) 및 약제방제방법(藥劑防除方法)을 연구(硏究)한 결과이다. 1. 사철나무혹파리의 우화시기(羽化時期)는 4월하순(月下句)~5월하순(月下句)(춘천지역(春川地域))이며, 성충(成蟲)의 체장(體長)은 평균(平均) $1.88{\pm}0.43mm$, 성충(成蟲)의 수명(壽命)은 약 11시간(時間), 성충(成蟲)의 성비(性比)는 ♀ 56%, ♂ 44%, 포란수(抱卵數)는 평균(平均) $90{\pm}28.01$개(個), 알의 모양은 장타원형으로 평균(平均) 길이 $0.32{\pm}0.013mm$, 유충(幼蟲)의 길이는 평균(平均) $1.64{\pm}0.25mm$였다. 용화(蛹化) 기간(期間)은 3월중순(月中句)부터 시작되며 용기간(蛹期間)은 약 40~45일(日)로 당해(當該) 년도(年度) 춘기(春期) 기온(氣溫)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2. 방제농약(防除農藥)으로는 카보 3%입제(粒濟)를 피해목(被害木) 주변(周邊)에 $1m^2$당(當) 200g씩을 3월중순(月中句)에 1차 매립(埋立)하여 주고 성충(成蟲) 우화(羽化)시작 후 1주일 정도 지난 후에 2차(次) 매립(埋立)처리한 시험구(試驗區)에서 96.2% 이상(以上)의 구제효과(驅除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의 pyrethroids약제에 대한 감수성 및 전기적 신경 반응 비교 (Toxic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Activities of Pyrethroids between Larvae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함선희;안희근;양정오;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7-202
    • /
    • 2009
  • 본 실험은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에 처리방법에 따른 살충 효과를 토대로 신경계를 작용점으로 하는 pyrethroid계 약제를 이용하여 신경반응을 비교해 보았다.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모두 충체분무처리시 세 약제에서 50%이하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엽면침지시 배추좀나방은 50ppm에서 deltamethrin은 100%, fenvalerate는 80%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permethrin은 63.3%로 나타났다. 하지만 파밤나방은 모든 농도에서 control과 비슷한 낮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세 약제가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신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기생리반응을 통해 신경감수성을 살펴본 결과, 배추좀나방은 deltamethrin은 $10^{-7}M$, fenvalerate는 $10^{-5}M$, permethrin은 $10^{-3}M$에서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파밤나방은 이 세 약제에서 모두 둔감한 반응결과를 얻었다.

복숭아혹진딧물 야외개체군의 λ-cyhalothrin, imidacloprid, 그리고 flupyradifurone에 대한 저항성 모니터링과 점 돌연변이 분석 (Resistance Monitoring and Analysis of Point Mutations to λ-cyhalothrin, Imidacloprid, and Flupyradifurone in Field-collected Populations of Myzus persicae (Hemiptera: Aphididae))

  • 문하현;이유노;강동현;김세은;김현경;구현나;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33-42
    • /
    • 2024
  •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은 다식성으로 담배, 감자, 고추, 배추, 복숭아 등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대표적인 농업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복숭아혹진딧물 야외개체군의 λ-cyhalothrin, imidacloprid 및 flupyradifurone에 대한 약제 저항성 발달 수준과 점 돌연변이(R81T, L1014F, M918L)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qRT-PCR을 통해 사이토크롬 P450 유전자인 CYP6CY3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λ-cyhalothrin은 저항성비(Resistance Ratio, RR)가 12개 모든 지역이 > 200으로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Imidacloprid와 flupyradifurone은 YS, UR, HY, 그리고 WJ 개체군에서 > 200의 저항성비로 높은 저항성을 나타냈다. R81T는 12개 집단 중 약 50%, L1014F는 약 33.3%, M918L은 100%에서 발현하였다. 또한 qRT-PCR을 통해 imidacloprid 저항성 개체에서 subunit CYP6CY3의 발현량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M918L 점 돌연변이는 λ-cyhalothrin 저항성 진단마커로, R81T와 CYP6CY3의 높은 발현은 imidacloprid 저항성 진단마커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살충제 저항성 목화진딧물에 대한 afidopyropen과 chlorfenapyr, cyantraniliprole의 혼합효과 평가 (Combined Effect of Afidopyropen, Chlorfenapyr and Cyantraniliprole to Insecticide-resistant Cotton Aphid, Aphis gossypii (Hemiptera: Aphididae))

  • 강동현;이유노;문하현;김세은;구현나;김현경;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53-61
    • /
    • 2024
  • 살충제 저항성 목화진딧물 집단(완주, 춘천, 고성)에 대한 3종(afidopyropen, chlorfenapyr, cyantraniliprole) 약제별 감수성과 혼용에 따른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3개 야외집단에 대해서 3약제 모두100배 이상의 저항성비를 보였다. 혼합제의 협력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반수치사농도(LC50)을 이용한 조합지수(CI), %M(synergism), 연합독성계수(CTC), 와들리 비율(WR), 상승비율(SR)와 사충률을 이용한 아보트 비율(AR)로 비교하였다. Afidopyropen + chlorfenapyr은 모든 야외집단에 대해서 살충활성의 증가를 보였고, chlorfenapyr + cyantraniliprole, afidopyropen + cayntraniliprole은 완주, 춘천 집단에 대해서 살충활성의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chlorfenapyr + cyantraniliprole (CI, 1.63; %M(synergism), 30; CTC, 64.0; WR, 0.6, AR, 0.54)과 afidopyropen + cyantraniliprole (CI, 6.7; %M(synergism), 1; CTC, 19.8; WR, 0.2, AR ≤ 0.55)은 고성 집단에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포장조건에서도 afidopyropen + chlorfenapyr, chlorfenapyr + cyantraniliprole, afidopyropen + cyantraniliprole은 99% 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보여 향후 살충제 저항성 목화진딧물 방제용 혼합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시금치 해충 흰띠명나방(Spoladea recurvalis)의 살충제 감수성 (Evaluation of Susceptibility of Spoladea recurvalis (Lepidoptera: Crambidae) to Five Insecticides in Spinach)

  • 이영수;이희아;김소희;최종윤;이현주;이상우;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529-537
    • /
    • 2022
  • 시금치의 주요 해충인 흰띠명나방(Spoladea recurvalis) 유충의 살충제 5종에 대한 감수성을 검정하였다. Lufenuron EC, chromafenozide EC, chlorantraniliprole WP, tebufenozide WP, pyridalyl EW는 각각 2(12.5 ppm), 4(12.5 ppm), 8(2.5 ppm), 4(20.0 ppm), 8(12.5 ppm)배의 희석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추천농도로 경엽처리 후 7일이 경과된 시금치 잎에 흰띠명나방 유충이 72시간 동안 노출되었을 경우 chromafenozide EC, chlorantraniliprole WP, tebufenozide WP, pyridalyl EW의 살충률은 각각 98.3%, 100%, 95.0%, 100%로 나타나 높은 잔효성을 보였다. 흰띠명나방에 대한 방제효과를 2개소(화성, 연천)에서 포장검정 결과, 5종의 약제 모두 2개소에서 약제처리 7일 경과 후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2배량에서도 약해가 없어 향후 흰띠명나방 방제약제로 시금치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발 내건제 Keltrol-F를 이용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에 대한 엽면살포 방제 효과 (Leaf Spray Control Efficacy of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Supplemented with the Selected Antidesiccant, Keltrol-F, on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ubner))

  • 이성섭;김용균;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99-205
    • /
    • 2000
  •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지상부 해충에 대한 야외 방제 효과검증을 위해 화학 방제가 곤란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을 대상으로 엽면 살포시 시험을 실시하였다. 지상부 살포시 건조에 따른 선충의 생존력 감소를 막기 위해 바람직한 내건제들이(Alkyl glucoside, CMC, glycerol, Keltrol-F, Kunipia-G 및 Laponite LXG) 우선 비교 분석되었다. 이들 내건제 가운데 Keltrol-F(0.1%)가 선발되었다. 이 농도의 내건제가 포함된 선충을 밀도별로 파밤나방이 서식하는 포크에 엽면 살포 처리하여 1 ml당 5,000마리의 감염태 선충의 유효 방제 밀도를 결정하였다. 이 선충 밀도로 포장에 적용하였을 때 87.8%dml 파밤나방 방제 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