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Session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6초

공정성 기반의 세션간 공유 대역폭의 효율적 분배 기법 (An Efficient Distribution Method of Inter-Session Shared Bandwidth Based on Fairness)

  • 황길홍;구명모;김상복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905-912
    • /
    • 2004
  • 세션간 공유 대역폭의 공정성을 위한 연구로 LVMPD(Layered Video Multicast with Priority Dropping)가 있다. 이 기법은 어느 한 세션에서 혼잡 발생 시 공정성에 의해 혼잡이 없는 다른 세션의 최상위 레이어도 같이 드롭된다. 따라서, 혼잡이 없는 세션은 여분의 대역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정성에 의해 발생하는 여분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분배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현재 수신자가 수신하는 최상위 레이어와 요구하는 상위 레이어를 고려하였다. 송신자는 수신자가 혼잡상태 일 때 패킷 제거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혼잡이 없는 세션의 수신자가 상위 레이어를 요구 시 레이어 추가/드롭 플래그에 값을 부여한다. 스위치는 패킷 제거 우선순위가 부여된 패킷을 제거하고, 혼잡이 없는 세션을 위해 레이어 추가/드롭 플래그가 부여된 패킷을 전송한다. 따라서, 혼잡이 없는 세션의 수신자들이 상위 레이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세션간 공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2P IPTV 서비스를 위한 세션 제어 메카니즘 (Session Control Mechanism for Peer-to-Peer IPTV Services)

  • 박승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5C권2호
    • /
    • pp.87-92
    • /
    • 2008
  • 본 논문은 P2P(Peer to Peer)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위한 세션 제어 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델에 근거한 IPTV 세션 제어 절차에 대해 논한다. 별도의 전용망에 의해 관련 트래픽이 처리되는 공중 IPTV(Public IPTV)와 달리 P2P IPTV 트래픽은 인터넷 접속 트래픽의 일부로 망에 의해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P2P IPTV 세션 제어는 IPTV를 구성하는 TPS(Triple Play Service) 트래픽을 기존 인터넷 트래픽과 분리하여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하고, 분리된 TPS 트래픽을 차별화하여 처리하는 QoS(Quality of Service) 제어 기능을 포함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P2P IPTV 세션 제어는 불특정 다수에 의한 비디오 전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적절한 멀티캐스트 제어 기능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본 논문의 P2P IPTV 세션 제어 모델은 상호 연동성(Inter-operability)이 보장되는 P2P IPTV 플랫폼의 조기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표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그리고 COPS(Common Open Policy Service)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설계되었다.

Reliability Study of Measuring Range of Motion Glenohumeral Joint Internal Rotation With Pressure Biofeedback Stabilization

  • Hwang, Ui-jae;Ha, Sung-min;Jeon, In-chul;Jung, Sung-hoon;Choi, Kyu-hwan;Kim, Su-jung;Kwon, Oh-yu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2-70
    • /
    • 2015
  • 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assess reliability of range of motion (ROM) measurement of glenohumeral internal rotation (GIR) with a pressure biofeedback stabilization (PBS) method and to compare the reliability between manual stabilization (MS) and the PBS method. In measurement of pure glenohumeral joint motion, scapular stabilization is necessary. The MS method in GIR ROM measurement was used to restrict scapular motion by pressing the palm of the tester's hand over the subject's clavicle, coracoid process, and humeral head. The PBS method was devised to maintain consistent pressure for scapular stabilization during GIR ROM measurement by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GIR ROM was measured by 2 different stabilization methods in 32 subjects with GIR deficit using a smartphone clinometer application. Repeate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two test sessions by two testers to confirm in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After tester A performed measurements in test session 1, tester B's measurements were conducted one hour later on the same day to assess the inter-rater reliability and then tester A performed again measurements in test session 2 for confirming the intra-rater reliabilit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2,1) was applied to assess the inter-rater reliability and ICC (3,1)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two methods. In the PBS method, the intra-rater reliability was excellent (ICC=.91) and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good (ICC=.84). The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PBS method was higher than in the MS method. The PBS method could regulate manual scapular stabilization pressure in inter- and intra-rater measuring GIR ROM.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recommend that the PBS method can provide reliable measurement data on GIR ROM.

Tree-based Navigation Pattern Analysis

  • Choi, Hyun-Jip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8권1호
    • /
    • pp.271-279
    • /
    • 2001
  • Sequential pattern discovery is one of main interests in web usage mining. the technique of sequential pattern discovery attempts to find inter-session patterns such that the presence of a set of items is followed by another item in a time-ordered set of server sessions. In this paper, a tree-based sequential pattern finding method is proposed in order to discover navigation patterns in server sessions. At each learning process, the suggested method learns about the navigation patterns per server session and summarized into the modified Rymon's tree.

  • PDF

IMS 확장을 통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서비스 연속성 지원 (Supporting Service Continuity in Ubiquitous Network Environment with IMS Extension)

  • 임종철;배현주;김상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B권12호
    • /
    • pp.1148-1159
    • /
    • 2012
  •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이 다수 개가 되고, 수많은 단말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는 NGN에서는 단말 이동성 지원 뿐 만 아니라 서비스 연속성 지원 또한 매우 중요하다. NGN에서는 기본 전화 서비스 뿐 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IMS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NGN에서의 서비스 연속성 지원을 위해 현재의 IMS에서도 단말 간 진행 중인 세션을 이동할 수 있는 이른 바 IUT(Inter-UE Transfer)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IMS 서비스 연속성 제공 기능은, 현재 세션을 유지하고 있는 단말 및 세션을 이동할 목표 단말이 모두 같은 사용자의 단말이어야 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단말 디스커버리 기능과 IMS UE의 기능을 확장하였고, IMS 확장이 기존 방법에 비하여 얼마나 오버헤드가 생길 것인지 분석하였다.

소뇌와 뇌교의 정상 자기공명분광 소견: 같은 장비내 및 다른 장비간의 결과 비교 (Normal MR Spectroscopic Findings of the Cerebellum and Pons: Comparison of the Results between Intra-Unit and Inter-Unit Studies)

  • 최준일;장기현;송인찬;도강현;이준우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5권2호
    • /
    • pp.123-129
    • /
    • 2001
  • 목적 : 정상 성인에셔 소뇌와 뇌교의 MRS의 정상 소견과 대사물질비의 정상값을 구하고, 같은 장비에서 반복 시행한 결과의 차이와 다른 장비간의 결과의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9명의 정상 자원자(평균연령 23세)를 대상으로 두 개의 서로 다론 1.5T MR 장비 (A, B 장비)에서 각각 두 번씩 총 4회의 MRS를 양측 소뇌 반구와 뇌교에셔 시행하였 다. 스핀에코 단일화적소기법을 이용하였고 소뇌에서는 $2{\times}2{\times}1.5{\;}em$의 voxel 크기를, 뇌교 에서는 $1.5{\times}1.5{\times}1.5{\;}cm$의 voxel을 적용하였다. TR/TE는 2000/288 msec, Averaging 은 128회로 하였다. 소뇌와 뇌교의 NAA/Cho, NAA/Cr, NAA/(Cho+Cr), Cr/Cho 비를 peak height와 peak area로 각각 구하여, 같은 장비 내 (intra-unit) , 그리고 다론 장비간 (inter-unit)의 정상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결과 : A 장비에서 첫번째로 시행한 peak height NAA/Cho, NAA/Cr, NAA/(Cho+ Cr), CriCho 비의 평균값(표준편차는 소뇌에서 각각 $1.08{\pm}0.16,{\;}1.44{\pm}0.286,{\;}0.61{\pm}0.09,{\;}0.76{\pm}0.13$ 였고, 두번째 시행한 결과와 비교할 때 장비내 차이는 3-7% 였다. B장비에서 시 행한 2회의 검사 사이에서는 22% 의 차이를 보인 Cr/Cho를 제외하면 1-9% 의 장비내 차이 를 보였다. A, B 두 장비 간 차이는 1-26%였다. 뇌교에서는 A장비 첫번째 peak height 측정 치는 $1.51{\pm}0.35,{\;}3.35{\pm}0.78,{\;}1.02{\pm}0.16,{\;}0.47{\pm}0.14$로서, 소뇌보다 NAA/Cho, NAA/Cr, NAA!(Cho+Cr) 비가 유의하게 높았다. 장비내 차이는 A장비에서 2-21 %였고, B장비에서 4-18%였다. A, B 두 장비간 차이는 1-18% 였다. peak area로 구한 대사산물비의 평균값은 peak height 의 그것에 비해 전반적으로 두 장비에서 높거나 광범위한 변이를 보였다. 결론 : 소뇌의 NAA/Cho과 NAA/Cr의 평균값이 뇌교의 그것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같은 장비 내에서 반복 시행한 평균값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장비에서 반복 시행한 장비간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 따라서 , MRS 검사를 소뇌나 뇌교의 어떤 절환에 적용하기 전에 각 장비 마다 정상 기준치를 반드시 얻은 후에 이상여부를 판 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 PDF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세션 키 설정 방안 (A Session Key Establishment Scheme in Mobile Ad-Hoc Networks)

  • 왕기철;정병호;조기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4호
    • /
    • pp.353-362
    • /
    • 2004
  •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는 무선채널을 통해 데이타가 전송되고 중앙의 관리기관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가용자원이 빈약하고 여러 가지 보안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임의의 두 노드간에 안전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통신부하가 작은 세션 키 설정 방법이 요구된다. 그러나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기존의 키 설정 방법들은 모든 노드들에게 동일한 그룹 키를 분배하거나 효율적인 공개키 관리를 위한 방법들에 집중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들간에 안전하게 그리고 작은 부하로 세션 키를 설정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제안하는 방법은 비밀 분산기법과 Diffie-Hellman 키 교환 방법을 이용한다. 클러스터내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 각 노드들은 클러스터내에서는 부분 비밀키를 사용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에 자신의 클러스터 헤드와 세션 키를 생성한다. 또한 다른 클러스터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서 각 노드들은 상대방 노드의 공개키와 Diffie-Hellman 키 교환 방법을 이용하여 세션 키를 설정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실험을 통하여 클러스터 헤드 인중기반의 방법(1)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IEEE 802.16e 네트워크에서 익명성을 제공하는 사업자간 로밍 인증 및 키 설정 프로토콜 (An Inter-provider Roaming Authentication and Key Establishment Protocol Providing Anonymity in IEEE 802.16e Networks)

  • 박영만;박상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1C호
    • /
    • pp.1023-102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6e 네트워크에서 통신 사업자간 로밍을 위한 새로운 인증 및 키 설정(AKE: Authentication and Key Establishment)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두 개의 다른 인증 credentials를 사용하여 사용자(user) 및 단말(device) 인증을 함께 수행하며 사용자 익명성과 키 설정을 제공한다. 또한, 제안된 프로토콜에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HN)와 외부 네트워크(Foreign Network: FN) 사이의 메시지 교화 횟수는 단지 2 라운드(round) 수가 필요하다.

뇌졸중 환자의 수동적 어깨 관절 가동범위 측정에 관한 스마트폰과 측각기의 측정자내, 측정자간 신뢰도 연구 (Intra-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Measuring Passive Range of Shoulder Motion With Smartphone and Goniometer in Patients With Stroke)

  • 박일우;임원빈;박규남;이충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shoulder passive range of motion measurement using the "Clinometer + bubble level",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to compare with the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measurement using a goniometer. Twenty six patients with stroke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wo raters measured the passive range of motion of four types of shoulder movements (forward flexion; FF, abduction; ABD, external rotation at $90^{\circ}$ abduction; ER90 and internal rotation at $90^{\circ}$ abduction; IR90) using a goniometer and a smartphone to determine within-day inter-rater reliability. A retest session was performed thirty minutes later to determine within-day intra-rater reliability. The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 and the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SEM). The ICC (2,1) for the inter-rater reliabilities of the goniometer and smartphone were good in FF and ABD [ICC (2,1)=.75~.87] and excellent in ER90 [ICC (2,1)=.90~.95]. The intra-rater reliabilities for the goniometer and smartphone were good or more than good, with an ICC (3,1) value >.75, the exception was IR90 measured by rater 2 on the smartph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artphone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tool for measurement of passive shoulder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stroke.

M2M 환경에서 장치간 상호 인증 및 정형검증 (Inter-device Mutual authentication and Formal Verification in M2M Environment)

  • 배우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219-223
    • /
    • 2014
  • 최근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술이 발전함으로 M2M(Machine-to-Machine)이 산업분야에서 관심이 되고 있다. 기기간 통신인 M2M은 재난, 안전, 건설, 보건복지, 기상, 환경, 물류, 문화, 국방, 의료, 농.축산 등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공간 등에 설치되어 운용된다. 이는 사람을 대신해 장비들이 자동으로 상황에 맞추어 통신을 하고 어느 정도의 조치는 자동으로 취해지도록 함으로써 사람을 대신한 정보 관리 및 장비 운영을 할 수 있다. M2M이 디바이스간 통신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격자의 공격에 노출되어 운영되는 보안적 문제로 정당한 장치인지 상호인증 등 적절한 보안이 필요하다. 관련하여 최근 보안적으로 안전한 많은 프로토콜이 연구 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M2M 보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essionKey, HashFunction, 및 Nonce 를 적용하였으며 보안취약성을 보완한 안전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프로토콜을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처럼 수학적 정리증명으로 안전함을 주장하지 않고 Casper/FDR을 이용하여 정형검증 하였으며 실험결과 제안프로토콜이 안전함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