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disciplinary education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학문 통합적 과학 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제IV보)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nter-Disciplinary Science Education(IV))

  • 방담이;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15-12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통합적 접근 과학 교육에 대한 초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학문 통합적 접근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의 필요성 및 구체적인 접근 시기 및 방법, 장애 요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45.9%의 과학 교사가 학문 통합적 교육에 대해 알고 있으며 61.2%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와 입시부담을 고려할 때, 학문 통합적 교육이 중,고등학교 보다 초등 저학년에 더 적합하며 시행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학문 통합적 교육의 접근법에 대해서는 57.6%의 교사가 주제 중심 접근을 선택하였으며, 16.5%의 교사가 문제 중심 접근을 선택하였다. '주제 중심'을 선택한 교사들은 수업 자료의 구성 및 시행이 수월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고, '문제 중심'을 선택한 교사들은 문제를 중심으로 한 학문 통합적 접근이 교육적으로 필요하며 효과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학문 통합적 교육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전공 교과 외의 타 교과에 대한 이해 부족'과 '교육 자료 구성을 위한 시간적 여유 부족'을 가장 큰 요인으로 선택하였는데 이는 학문 통합적 교육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수업 전략 및 교육 자료의 안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공학·과학·미학·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간 지식융합을 위한 수렴영역 분석 (Analysis on the Convergence for Knowledge Fusion in the Field of the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박성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031-104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n the convergence for knowledge fusion in the filed of the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or the study,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convergence in the basis of the inter-disciplinary. In addition, interviews with 5 professors in the field of the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analyzed. The keys of analysis were perspective of academic discipli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professors recognized the inter-disciplinary of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ut, there were some barriers engineering of professors in inter-disciplinary.

개선된 학부 의공학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을 위한 새로운 과목의 제안 (Enhanced Undergraduate Software Education Curriculum for Biomedical Engineering: a Proposal for a New Class)

  • 박현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9-284
    • /
    • 2011
  • Biomedical engineering is a discipline where engineering principles and techniques are applied to the medical field. Biomedical engineering lies between traditional engineering and medicine and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in its nature. Current Korean undergraduate biomedical engineering curriculum is a simple list of traditional engineering courses combined with basic medical/life science courses. There have been efforts to improve biomedical engineering education to reflect its inter-disciplinary nature. Enhanced software course for biomedical engineering is proposed as a part of effort to overhaul the undergraduate biomedical engineering curriculum. In this newly proposed course, students will learn MATLAB and LabVIEW, which are the most widely used software tools in biomedical engineering.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s a Thematic Approach)

  • 박만구;장혜원;김은혜;조두경;김윤선;유대현;남미선;김주숙;박원규;탁병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79-9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주제 중심의 수학교과서를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여 차후 수학교과서 개발에 유의미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 탈학문적(extra-disciplinary) 융합의 형태로,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 '더불어 사는 삶'이라는 주제 중심의 수학교과서를 개발하였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주제별 2개 반, 총 6반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 주제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의 성취도 평균이 높았으나 '더불어 사는 삶' 주제는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의 성취도 평균이 낮았다. 반면 주제 중심 문항 점수의 경우,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삶'에서는 실험반의 점수가 비교반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더불어 사는 삶'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수학 태도 검사 결과는 세 주제에서 사전, 사후 모두 실험반의 평균이 비교반보다 높았다. 그리고 주제 중심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정규교육과정에 포함시키려는 노력, 교사를 위한 자료의 제공, 융통성 있는 사용 등을 위한 연구가 지속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융합적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실행 -조사연구 및 자기연구- (Elementary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nd Practice on Convergent Science Teaching: Survey and Self-Study)

  • 이수아;전영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9-374
    • /
    • 2020
  • 본 연구는 조사연구와 자기연구의 복합 형태로 구성되었다. 조사연구로서 초등 교사의 융합 수업 및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대표하는 사례로서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융합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로서 나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살펴보고, 속력을 주제로 수학-과학-체육의 가족 유사성에 근거한 융합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지도한 양상을 자기연구로 실행하였다. 초등 교사들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개방형 검사 문항을 초등 교사 28명에게 서면 질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에 참여했던 초등 교사들은 융합 수업을 교과 활용적 접근 또는 다학문적 접근의 융합으로 생각하였다. 융합 지식을 개별 교과의 집합체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융합된 지식은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습득할 수 있다는 인식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 역시 비슷한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자기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나는 가족유사성의 범주별 분석 결과와 그것에 근거한 융합 지식 체계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활동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수학의 단위, 비와 비율의 개념은 과학의 속력 개념과 연계되어 있어서 두 교과의 개념을 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체육 활동은 수학과 과학 개념을 융합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맥락을 제공하여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수업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가족유사성에 근거한 간학문적 융합 지식 체계와 교사인 나의 인식론적 신념 간의 간극과 해결 양상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대학교 화학 실험 수업 전략의 개발 및 효과 (제II보)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Using Inter-Disciplinary Analogy to Enhanc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Examination of Its Effectiveness (II))

  • 방담이;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857-874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지향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 전략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학업적 자기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에 비유 활동의 PDCA 네 단계 모형을 활용한 '학문 통합적 비유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탐구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이 모형에 따라 구체적인 대학교 화학 실험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예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수업 전략을 한 학기 동안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영역에서 창의적 사고력 하위 범주 중 독창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 자료 해석 및 자료 변환의 영역에서 비판적 사고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 조절에 대해서는 확인된 조절과 통합된 조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창의적 인성에 대해서는 모든 하위 영역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식기반사회 공학교육의 발전방향 탐색: EAC를 넘어 EAL로 (A Search for Directions in Engineering Education Developmen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in Terms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An Exploration of Ethics Across the Living Beyond Ethics Across the Curriculum)

  • 편경희;송동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68-7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directions in engineering education developmen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in terms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having been recognized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field between engineering and philosophy, is a field that has been a major issue in countries that execut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has been a peculiar research field focused on EAC(Ethics across the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has deduced several results by critically reviewing the extant EAC-related literatures. First, accomplishments by various researchers that may well quoted as the leader of engineering ethics study and education or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of Kanazawa Institute of Technology in Japan are considerably substantial. However, the EAC discussions thus far still raise numerous barriers and unsolved issues. Second, the discussion of EAC thus far comprehends limitations such as a shortage of the recognition of inter-disciplinary study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insufficient participation by education majors. Third, the engineering and philosophy field experts who have been leading EAC discussions have been pursuing integrated education courses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Fourth, EAC discussions may expand by again illuminating the intent of integrated education courses in terms of 'education and the study of education', and this new facet can be summed up with a new term, EAL, which stands for 'Ethics across the Living.'

등속도 운동에서 일차함수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관점을 기반으로 (A Case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Linear Function in Constant Velocity Movement: Focus on Integrated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Science)

  • 신은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419-4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학과 과학의 연결성을 고려한 수학학습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에, 중 고등학교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수학과의 목표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외국의 통합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근간하여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유형, 수학과 과학의 간교과형 통합교육 방법을 논의하였다. 문헌연구에 기반을 두고 수학과 과학에서 공통이 되는 개념, 원리, 기능을 중심으로 한 간교과형 통합교육 방법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이를 수학 시간에 활용할 것을 권하였다. 그 후에 수학과 과학의 간교과형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연구도구로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학생들은 등속운동을 탐구하면서 일차함수가 발생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시간과 속도_. 시간과 이동거리의 관계식과 그래프를 개발하고, 이 식과 그래프를 연결하여 기울기의 실제적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었다.

  • PDF

한국 교육복지 연구 동향 (Trends in Education Welfare Research in Korea)

  • 진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0-269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 교육복지 연구를 분석하여 학문적 위치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과 함의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석사,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총 596편의 연구 주제, 대상, 방법에 대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복지 연구가 사회복지학 뿐 아니라 교육학 등 인접 학문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제도화 관련 연구는 감소하는 반면에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대상은 중고생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방법이 주도적이나 질적 연구의 비율이 전반적인 사회복지의 연구 동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제언으로는 다학문적 접근의 필요성과 특정 주제에 지나치게 편중되지 않는 주제의 다양성과 포괄성을 제시하였다.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Development of a Theoretical Model for STEAM Education)

  • 김성원;정영란;우애자;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88-40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미래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도입된 융합인재교육(STEAM 융합 교육)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융합인재교육의 방향성을 구체화하며, 교사들이 현장에서 융합인재교육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Ewha-STEAM 융합모형을 소개하였다. Ewha-STEAM 융합모형은 미래 융합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 지식과 핵심 역량을 도출하여 융합인재교육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핵심 지식이란 창의 융합형 인재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 지식을 의미하며, 여러 학문을 연계하는 교과기반 통합 개념과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학문을 융합하기 위해 요구되는 각 학문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같은 소양 지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핵심 역량이란 창의 융합형 인재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 역량으로, 각 교과를 기반으로 하되 여러 학문 영역에 전이되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과기반 통합 역량과 미래 사회에서 새로움을 창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나가기 위해 요구되는 창의 인성 역량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거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하는 세 가지 융합요소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요소는 융합 단위로서 학교 현장의 수업 운영 방식을 고려하여 개념/탐구과정, 문제/현상, 체험활동의 세 단개로 나누었다. 두 번째 요소는 융합 방식으로 서로 다른 교과목을 어느 정도 융합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융합 정도에 따라 다학문적, 간학문적, 탈학문적 융합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 세 번째 요소는 융합 맥락이다. 글로벌 사회에서의 융합은 개인차원을 넘어, 지역 사회, 나아가 전 세계적인 맥락에서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적 맥락, 지역 사회적 맥락, 세계적 맥락의 세 단계로 나누었다. Ewha-STEAM 융합모형은 앞으로 융합인재 교육의 방향성과 잠재성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내고, 양질의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개발된 융합 프로그램을 평가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