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ve len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5초

Interactive lens through smartphones for supporting level-of-detailed views in a public display

  • Kim, Minseok;Lee, Jae Yeol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2권2호
    • /
    • pp.73-78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pproach to providing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lens among multi-users for supporting level-of-detailed views using smartphones in a public display. In order to provide smartphone-based lens capability, the locations of smartphones are effectively detected and tracked using Kinect, which provides RGB data and depth data (RGB-D). In particular, human skeleton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Kinect 3D depth data to calculate the smartphone location more efficiently and correctly with respect to the public display and to support head tracking for easy target selection and adaptive view generation. The suggested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lens using smartphones not only can explore local spaces of the shared display but also can provide various kinds of activities such as LOD viewing and collaborative interaction. Implementation results are given to show the advantage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인터렉티브 3D 플로팅 영상 포인팅 장치의 구현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3D floating image pointing device)

  • 신동학;김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481-148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3D환경에서의 사용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인터렉티브 3D 플로팅 영상 포인팅 장치를 제안한다. 이 장치는 플로팅 렌즈 배열을 사용한3D플로팅 영상 재생 시스템과 실시간 손가락 검출 기반의 버턴형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3D 공간에 플로팅 된 영상 배열에서 원하는 영역을 지시하고, 2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인식하여 원하는 이벤트를 발생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유용함을 보이기 위해서, 실험적인 장치 구현을 수행하고 기초적인 실험 결과를 보고한다.

3D 집적 영상을 이용한 인터렉티브 시스템 (Interactive system using 3D integral imaging technique)

  • 신동학;김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503-506
    • /
    • 2008
  • 3D 집적 영상 기술은 연속적인 시점, 완전 시차와 풀칼라 영상을 공중에 표현하는 유망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 대의 카메라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인터렉티브 3D 집적영상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장치는 기존의 3D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단순한 한대의 카메라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가능성을 보이기 위해서, 실험적인 장치 구현을 수행하고 기초적인 실험 결과를 보고한다.

  • PDF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한 인터렉티스 3D 집적 영상 시스템 (Interactive 3D Integral Imaging System using Single Camera)

  • 신동학;김은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0C호
    • /
    • pp.829-835
    • /
    • 2008
  • 최근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방법으로 잘 알려진 3D 집적 영상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3D 집적 영상 기술은 연속적인 시점, 완전 시차와 풀 칼라 영상을 공중에 표현하는 유망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 대의 카메라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인터렉티스 3D 집적 영상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장치는 기존의 3D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단순한 한 대의 카메라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가능성을 보이기 위해서, 실험적인 장치 구현을 수행하고 기초적인 실험 결과를 보고한다. 우리가 아는 한 제안하는 방법은 3D 집적 영상 시스템에 최초로 인터렉션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무선 WiGig 전송 연구 (Generation of Forensic Evidence Data from Script)

  • 최상현;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56-359
    • /
    • 2017
  • 교육부의 운영계획에 따라서 학교당 1~2개 교실에 전자칠판(IWB, Interactive White Board)이 보급되었다. 따라서, 두상투영기(OHP, Overhead Projector)와 스크린 대신에 실물화상기와 전자칠판이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다. 하지만 촬상소자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활용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획득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전자칠판이나 대형 TV로 무선 통신으로 지연시간 없이 전송할 수 있도록 와이기그(WiGig, Wireless Gigabit) 기술을 이용한다. 또한 스마트폰 카메라에 넓은 화각(FOV, Field of View)의 렌즈를 탑재하여 출시하는 것에 반하여, 현미경 렌즈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특정 부분을 400배까지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결과로 교육 및 연구 현장에서 실시간 400배 확대의 활성화 자료로서 사용될 것이다.

  • PDF

장르유사도와 선호장르를 이용한 협업필터링 설계 (Collaborative Filtering Design Using Genre Similarity and Preffered Genre)

  • 김경록;변재희;문남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59-168
    • /
    • 2011
  • 전자상거래와 소셜미디어 서비스의 활성화에 따라, 집단지성을 개인 맞춤 서비스에 활용하는 추천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발달과 모바일 환경의 발달에 따라 단말의 제약성에도 불구하고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위치기반 서비스와의 결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화의 장르유사도와 선호장르를 이용한 추천시스템을 제안한다. 영화 장르 유사도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이를 모바일실험 환경에서 서비스 될 수 있도록 설계하고 프로토 타이핑 한 후에 MovieLens 데이터를 적용하여 평가한다.

Registration of 3D CT Data to 2D Endoscopic Image using a Gradient Mutual Information based Viewpoint Matching for Image-Guided Medialization Laryngoplasty

  • Yim, Yeny;Wakid, Mike;Kirmizibayrak, Can;Bielamowicz, Steven;Hahn, James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4권4호
    • /
    • pp.368-387
    • /
    • 2010
  •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the registration of 3D CT scans to 2D endoscopic images during the image-guided medialization laryngoplasty. This study aims to allow the surgeon to find the precise configuration of the implant and place it into the desired location by employing accurate registration methods of the 3D CT data to intra-operative patient and interactive visualization tools for the registered images. In this study, the proposed registration methods enable the surgeon to compare the outcome of the procedure to the pre-planned shape by matching the vocal folds in the CT rendered images to the endoscopic images. The 3D image fusion provides an interactive and intuitive guidance for surgeon by visualizing a combined and correlated relationship of the multiple imaging modalities. The 3D Magic Lens helps to effectively visualize laryngeal anatomical structures by applying different transparencies and transfer functions to the region of interest.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readily extended for image-guided surgery of real patients.

소집단 토론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 유형 및 특징 (The Patter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teractive Argumentation in the Small-group Discussions)

  • 이선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9-88
    • /
    • 2006
  •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의 유형 및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자료수집은 중학교 과학 수업의 토론 과정을 관찰 하고 녹취하여 이루어졌으며, 전사된 자료는 Toulmin의 논증틀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로서, 토론 과정에서 이견과 이유의 조합에 따라 나타나는 논증 유형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유형은 이견이 거론되지 않은 채 이유와 주장의 제시로 이루어지는 논증 유형으로, 학생들의 주장에 서로 갈등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이다. 둘째 유형은 이견이 제기되지만 합당한 이유가 뒷받침되지 못하여 주장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우이다. 마지막 유형은 이견이 제시되고 그에 대한 이유를 찾아감으로써 협력적 논증을 통해 주장이 명료화되는 경우이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들 간의 토론의 현황을 이해하고 질적 개선을 위한 논의와 시사점이 탐색되었다.

Rethinking Path Dependency and Regional Innovation - Policy Induced 'Government Dependency': The Case of Daedeok, South Korea

  • Lee, Taek-Ku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1권2호
    • /
    • pp.92-106
    • /
    • 2012
  •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behaviours of high-tech start-up firms in response to the policy interventions undertaken to promote regional innovation in South Korea since 1997. High-tech start-ups and their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re increasingly considered by policy makers and academics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generation of innov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is study started from a basic concern of why government intervention does not necessarily result in an increase of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To explain this concern, we constructed a new conceptual framework of 'government dependency' and apply this to 'Daedeok,'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South Korea, to explore the reproduction of path dependency as an impact induced by innovation policy. This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by remodeling path dependency approaches through a systemic and interactive lens. An empirical study used qualitative interviews of start-up founders to delineate the emergence of a new development path and the extent to which dependency was reproduced in the Daedeok regional innovation system. Empirical analysis suggested that 'reliance' and 'persistence' were the crucial factors i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the government dependency. Some firms accepted dependency as reliance, but others regarded it as policy utilization. Thus, a critical juncture could not be clearly identified in actors' behaviour. It was also unclear if dependency had hindered innovation, but it was shown that the region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strongly influenced the reproduction proces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construct of government dependency can also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policy learning as well as the success of government interventions.

집적 영상 시스템을 위한 향상된 이미지 매핑 방법 (Enhanced Image Mapping Method for Computer-Generated Integral Imaging System)

  • 이빛나라;조용주;박경신;민성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3호
    • /
    • pp.295-300
    • /
    • 2006
  • 집적 영상(Integral Imaging)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수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3차원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무안경식 양안시차 디스플레이 방식 중 한가지이다. 집적 영상 시스템은 3차원 정보를 조금씩 다른 방향에서 제한된 크기로 촬영된 이미지인 기초영상(Elemental Image)의 형태로 저장한다. 그리고 이런 이미지들을 다시 렌즈 어레이를 통해서 보여주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3차원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기초영상은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해서 만들어낼 수도 있는데 이런 집적 영상 방식을 CG(Computer Generated) 집적 영상 시스템이라고 한다.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해 기초영상을 만드는 과정을 이미지 매핑(Image Mapping)이라고 한다. 이제까지 제안된 이미지 매핑 방식에는 PRR(Point Retracing Rendering), MVR(Multi-Viewpoint Rendering), PGR(Parallel Group Rendering)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런 방식들은 계산양이 많거나 렌즈 어레이 개수의 증가에 의해 생성 속도에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어, 아직 가상현실 같은 실시간 CG(Computer Graphics) 응용 분야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속도 향상을 이룬 VVR(Viewpoint Vector Rendering)이라는 향상된 이미지 매핑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VVR 개념을 설명한 후 VVR을 사용한 집적 영상 시스템을 구현하여 MVR 방법과 비교 분석한 실험결과와 추후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