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T convergence

검색결과 854건 처리시간 0.025초

IoT시대의 기업 융합보안 전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nterprise security convergence strategy in the IoT(the Internet of Things) Era)

  • 노종호;이종형;권헌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3-39
    • /
    • 2017
  •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본격화와 더불어, 융합보안이라는 개념은 어디서나 쉽게 접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융합보안이라는 개념이 IoT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이에, 기존의 융합보안 개념을 IoT 특성을 고려하여 보완된 개념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융합보안의 개념 모델 재정립과 기업의 융합보안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필요한 거버넌스 체계와 기술적 요인에 대해 기술하였다.

IoT기반 클라우드 융합환경에서 안전한 접근제어를 위한 인증서 관리기법 설계 (A Design of Certificate Management Method for Secure Access Control in IoT-based Cloud Convergence Environment)

  • 박중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7-13
    • /
    • 2020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IT기술인 사물인터넷은 타산업과 융합되어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oT 융합기술은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에 따른 통신환경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다. 하지만 빠르게 발전하는 IoT 융합기술에 대한 보안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IoT는 디지털 윤리와 개인정보보호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타 산업에 IoT 도입에 따른 위협요소 대책안을 마련해야한다. 보안사고 발생 시 정보유출, 이미지 실추, 금적적인 손해, 인명피해 등 다양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IoT기반 클라우드 융합 환경에서 안전한 접근 제어를 위한 인증서 관리기법을 제안한다. 디바이스 및 사용자 등록, 메시지 통신 프로토콜, 디바이스 갱신 및 관리 기법을 설계하였다. 공격기법 및 취약점에 따른 안전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PKI 기반 인증서 관리기법 대비 효율성 평가결과 약 32%의 감소된 수치를 확인 할 수 있었다.

IoT 환경을 위한 게임 기획 (A Game Design for IoT environment)

  • 이면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33-138
    • /
    • 2015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실세계에 있는 RFID 테그, 센서와 모바일 폰 등의 다양한 사물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고 협력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현재 IoT는 현재 헬스케어, 홈케어, 자동차, 교통, 건설, 농업, 환경, 엔터테인먼트,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 초기 단계에 있는 IoT 환경에서 게임을 기획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를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IoT 기술을 소개하고, 둘째, IoT 환경의 게임 기획 요소와 고려사항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IoT 기술을 이용한 게임 기획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로 다른 IoT 장치간 효율적인 접근제어 기법 (An efficient access control techniques between different IoT devices in a cloud environment)

  • 정윤수;한군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7-63
    • /
    • 2018
  • IoT 장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IoT 장치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접근제어에 대한 방안은 아직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IoT 장치의 안정적인 접근을 수행할 수 있는 계층적 기반의 다단계 속성 접근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IoT 장치의 원활한 접근을 돕기 위해서 IoT Hub을 두어 IoT 장치에 고유한 ID 키(보안 토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 있도록 하는 X.509 인증서 및 개인 키를 IoT Hub에서 인증하도록 하여 IoT 장치의 개인키를 IoT 장치 외부에서 알 수 없도록 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방법은 기존 기법보다 인증 정확도가 평균 10.5% 향상되었으며 처리 시간도 14.3% 낮은 결과를 얻었다. IoT 속성 수에 따른 IoT Hub의 오버헤드는 기존 기법보다 9.1% 낮은 결과를 얻었다.

태양 에너지 수집형 IoT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효율적인 오디오 딥러닝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 기법 (Efficient Data Preprocessing Scheme for Audio Deep Learning in Solar-Powered IoT Edge Computing Environment)

  • 유연태;이창한;허석문;유나경;김기훈;이찬서;노동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1-83
    • /
    • 2023
  • 태양 에너지 수집형 IoT 기기는 주기적으로 재충전되는 태양 에너지의 특성상,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기보다는 수집된 에너지를 최대한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데이터 기밀성과 프라이버시, 응답속도, 비용 등의 이유로 클라우드가 아닌 데이터 소스 근처에서 머신러닝을 수행하는 엣지 AI에 대한 연구도 활발한데, 그 중 하나는 여러 IoT 장치들이 수집한 오디오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AI 응용들을 IoT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IoT 기기들은 에너지의 제약으로 인하여, 엣지 서버(IoT 서버)로의 센싱 데이터 전송만을 수행하고, 데이터 전처리를 포함한 모든 AI 과정은 엣지 서버에서 수행한다. 이 경우, 엣지 서버의 과부하 문제 뿐 아니라, 학습 및 추론에 불필요한 데이터까지도 서버에 그대로 전송되므로 네트워크 과부하 문제도 야기한다. 또한, 이를 해결하고자,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각 IoT 기기에 모두 맡긴다면, 기기의 에너지 부족으로 정전시간이 증가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IoT 기기의 에너지 상태에 따라 데이터 전처리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기기들의 정전시간 증가 문제를 완화시키면서 서버 집중형 엣지 AI 환경의 문제들(엣지 서버 및 네트워크 과부하)을 완화시키고자 한다. 제안기법에서 IoT 장치는 기기가 기본적으로 동작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외의 여분의 에너지 양을 예측하고, 이 여분의 에너지가 있는 경우에만 이를 사용하여 기기에서 전처리 과정, 즉 수집 대상 소리 판별과 잡음 제거 과정을 거친 후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IoT기기의 정전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에너지 적응적으로 데이터 전처리 위치(IoT기기 또는 엣지 서버)를 결정하여 수행한다.

소사이어티 5.0 기반 IoT 사용자에 대한 다중 접근방식의 프라이버시 접근 모델 (A Privacy Approach Model for Multi-Access to IoT Users based on Society 5.0)

  • 정윤수;연용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8-24
    • /
    • 2020
  • 최근 일본을 중심으로 소사이어티 5.0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소사이어티 5.0은 IoT 센서를 이용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소사이어티 5.0 기반의 IoT 사용자에 대한 다중 접근방식의 프라이버시 접근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 모델은 가상 환경에 IoT 장치의 중요 정보를 서로 동기화하는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였다. 제안 모델은 IoT 정보의 가중치를 확률 기반으로 누적 처리함으로써 IoT 정보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IoT 정보에 속성 정보를 연계 처리되도록 세분화하여 IoT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성능평가 결과, IoT 장치 수와 IoT 허브장치 수에 따라 IoT 장치의 효율성이 평균 5.6% 향상되었다. 정확도는 정보 수집 및 처리에 따라 평균 15.9% 향상되었다.

파스칼 삼각 이론 기반의 IoT 장치간 효율적인 인증 설립 기법 (Efficient Authentication Establishment Scheme between IoT Device based on Pascal Triangle Theory)

  • 한군희;정윤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5-21
    • /
    • 2017
  • 최근 4차 산업 혁명이 사회적으로 대두되면서 IoT 관련 제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IoT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센서의 종류와 기능은 점점 다양화되고 있어 IoT 장치의 상호 인증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IoT 장치들이 서로 상호 연계하여 원활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파스칼 삼각형 이론을 이용한 효율적인 이중 서명 인증 키 설립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IoT 장치간 인증 경로를 2개(주경로와 보조 경로)로 구분하여 IoT 장치의 인증 및 무결성을 보장한다. 또한, 제안 기법은 IoT 장치를 인증할 때 추가적인 암호 알고리즘이 필요하지 않도록 키를 생성하기 때문에 적은 용량을 필요로 하는 IoT 장치에 적합하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 기법은 IoT 장치의 지연시간을 기존 기법보다 6.9% 향상되었고, 오버헤드는 기존 기법보다 11.1% 낮은 결과를 얻었다. IoT 장치의 인증 처리율은 기존 기법보다 평균 12.5% 향상되었다.

IoT 사용자의 빅데이터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IoT 정보 보안 모델 (An IoT Information Security Model for Securing Bigdata Information for IoT Users)

  • 정윤수;윤덕병;신승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8-14
    • /
    • 2019
  •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IoT 기술은 산업, 경제, 의료서비스 및 교육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IoT 장비를 통해 처리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는 아직까지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 무결성과 기밀성 문제가 큰 이슈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장비를 통해 처리되는 사용자의 빅데이터 정보에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스테가노그래피 기반의 IoT 사용자의 빅데이터 보호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사용자의 동의 없이 IoT 장비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빅데이터 정보를 불법적으로 악용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안 모델은 IoT 사용자의 빅데이터에 서명과 인증 정보를 하이브리드 암호 방식으로 사용한다. 제안 모델은 IoT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빅데이터에 대한 무결성 및 기밀성을 보장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IoT 사용자의 빅데이터는 스테가노그래피 기반의 암호 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서명 정보를 암호화하였기 때문에 제 3자가 사용자의 정보를 악의적으로 사용되지 못한다.

IoT 계층별 보안위협 분석 및 대응기술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curity Threat Analysis and Response Technology by IoT Layer)

  • 원종혁;홍정완;유연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49-157
    • /
    • 2018
  •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IoT 환경에서의 보안위협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 SDN Controller 기능을 활용한 침입감시 대응기술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IoT 계층별 보안위협에 따른 대응기술 및 적용되는 보안기술의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향상된 IoT 보안위협 대응기술 구현 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결과는 기존의 IoT망의 네트워크스위치 장비에 OpenFlow 기반의 SDN Controller를 추가하여 샘플링 기법을 통한 탐지방법의 실효성을 연구하였다. 이 방법은 기존 IoT 기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IDS 및 IPS와의 연동만으로도 네트워크 전체의 모니터링 및 공격에 대한 탐지가 가능해 졌다. 이와 같이 향상된 보안위협 대응기술을 적용하면 IoT 보안위협 불안감 해소와 서비스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암호키 기반 IoT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crypto key-based IoT network security system)

  • 전지수;강동연;한성화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9-350
    • /
    • 2022
  • IT 융합 연구가 계속 진행되면서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의 범위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IoT 서비스는 목적에 맞는 단말을 사용한다. 이러한 IoT 단말은 단말 자체에 대한 인증 기능이 요구된다. 또, 개인정보 등의 중요 정보를 취급하는 IoT 서비스에서는 전송 데이터의 보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IoT 서비스에 대하여 단말을 인증하고 단말간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암호키 기반의 IoT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을 구현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IoT 서비스는 그 자체적으로 단말을 인증할 수 있으며, 전송 데이터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IoT 서비스이므로 암호 알고리즘 적용 추가적인 효율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