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PEG forma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4초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종이기록물 영구보존용 마스터 파일로서 JPEG 포맷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JPEG Format as a Long-Term Preservation Master File for Paper Archives in the Central Archives of Korea)

  • 강현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89-510
    • /
    • 2016
  •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이 제정한 원내표준 NAK/G 8-1:2013(v.1.0)에는 종이기록물의 영구보존용 마스터 파일 포맷으로 TIFF, PNG, PDF/A, JPEG 2000 파일 등을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포맷들과 함께 마스터 파일의 요건을 갖춘 JPEG 포맷을 추가하는 표준화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JPEG 포맷이 갖고 있는 고유의 특징을 소개하고, 대표적인 마스터 파일 표준 포맷인 TIFF 포맷과의 특징 등을 비교 분석과정을 통하여, JPEG 포맷이 마스터 파일 포맷의 기능상의 요건이라는 대전제를 만족하므로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원내표준 내 JPEG 포맷을 추가하는 표준화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최근 가장 범용적으로 생산되어 지고 있는 JPEG 포맷을 영구보존용 마스터 파일 기본 요건을 충족하는 원내표준 포맷에 추가함으로써, 디지털화 된 종이기록물 원본의 진본성, 범용성, 편의성, 실용성 및 호환성 등 다양한 편익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표준 환경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JPEG 암호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ipher JPEG Imag)

  • 박용범;박종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308-312
    • /
    • 2002
  • 최근 인터넷 환경의 보급에 힘입어 멀티미디어 자료들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 표현 방법 중의 하나인 JPEG 파일의 경우에는 암호화나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접근권한등에 특별한 대안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JPEG 파일에 대하여 자료의 보안과 허가된 사용자만이 접근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암호화를 지원하며, 암호화 알고리즘은 간단한 비트교환부터 DES 등의 다양한 암호방법론이 적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데이터 암호화는 JPEG에서 복원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는 영역인 허프만 테이블과 비교를 위하여 이미지영역까지 확대하여 암호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 각각의 방법론들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임의의 환경 하에서의 가장 적합한 암호화 방법론의 선택기준을 살펴보았다.

  • PDF

다중 영상 및 텍스트 동기화를 고려한 Music Player MAF 의 확장 포맷 연구 (A study on Extensions to Music Player MAF for Multiple JPEG images and Text data with Synchronization)

  • 양찬석;임정연;김문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967-970
    • /
    • 2005
  • The Music Player MAF Player Format of ISO/IEC 23000-2 FDIS consists of MP3 data, MPEG-7 metadata and one optional JPEG image data based on MPEG-4 File Format. However, the current Music Player MAF format does not allow multiple JPEG image data or timed text data. It is helpful to use timed text data and multiple JPEG images in the various multimedia applications. For example, listening material for the foreign language needs an additional book which has text and images, the audio contents which can get image and text data can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whole story and situations well.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tailed file structure in conjunction with MPEG-4 File Format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alities, which carry multiple image data and text data with synchronization information between MP3 data and other resources.

  • PDF

고정 압축률에서의 JPEG2000 코덱을 위한 최적의 데이터 형식 모델링 (The Modeling of the Optimal Data Format for JPEG2000 CODEC on the Fixed Compression Ratio)

  • 강창수;서춘원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257-1260
    • /
    • 2005
  • This paper is related to optimization in the image data format, which can make a great effect in performance of data compression and is based on the wavelet transform and JPEG2000. This paper established a criterion to decide the data format to be used in wavelet transform, which is on the bases of the data errors in frequency transform and quantization. This criterion has been used to extract the optimal data format experimentally. The result were (1, 9) of 10-bit fixed-point format for filter coefficients and (9, 7) of 16-bit fixed-point data format for wavelet coefficients and their optimality was confirmed.

  • PDF

구내디지털방사선영상의 JPEG와 wavelet 압축방법 비교 (Comparison of JPEG and wavelet compression on intraoral digital radiographic images)

  • 김은경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4권3호
    • /
    • pp.117-122
    • /
    • 2004
  • Purpose : To determine the proper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ratio without image quality degradation in intraoral digital radiographic images, comparing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based JPEG with the wavelet-based JPEG 2000 algorithm.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 extracted sound teeth and thirty extracted teeth with occlusal caries were used for this study. Twenty plaster blocks were made with three teeth each. They were radiographically exposed using CDR sensors (Schick Inc., Long Island, USA). Digital images were compressed to JPEG format, using Adobe Photoshop v.7.0 and JPEG 2000 format using Jasper program with compression ratios of 5 : 1,9 : 1, 14 : 1,28 : 1 each. To evaluate the lesion detectabilit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three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ists. To evaluate the image quality, all the compressed images were assessed subjectively using 5 grades, in comparison to the original uncompressed images. Results: Compressed images up to compression ratio of 14 : 1 in JPEG and 28 : 1 in JPEG 2000 showed nearly the same the lesion detectability as the original images. In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image quality, images up to compression ratio of 9 : 1 in JPEG and 14 : 1 in JPEG 2000 showed minute mean paired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Images.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linically acceptable compression ratios were up to 9 : 1 for JPEG and 14 : 1 for JPEG 2000. The wavelet-based JPEG 2000 is a better compression method, comparing to DCT-based JPEG for intraoral digital radiographic images.

  • PDF

JPEG2000 코덱을 위한 최적의 데이터 형식 모델링 (The Modeling of the Optimal Data Format for JPEG2000 CODEC)

  • 강창수;서춘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42권4호
    • /
    • pp.7-14
    • /
    • 2005
  • 최근의 통신매체로는 함축적이고 인식이 용이한 영상/비디오가 매우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데이터는 그 양이 과다해 영상/비디오 데이터의 압축의 큰 연구과제가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압축 시 성능을 크게 좌우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의 최적화에 관련되고, 웨이블릿 변환과 이를 이용한 JPEG2000을 기반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 시 이용되는 데이터 형식을 결정하는데 있어서의 기준을 주파수 변환 및 양자화 과정에서의 데이터 손실 양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험적으로 최적의 데이터 형식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필터계수는 (1, 9)의 10-비트 고정소수점 형식, 웨이블릿 계수는 (9, 7)의 16-비트 고정소수점 형식이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고정 압축률에서의 JPEG2000 코덱을 위한 최적의 데이터 형식 모델링 (The Modeling of the Optimal Data Format for JPEG2000 CODEC on the Fixed Compression Ratio)

  • 서춘원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9-116
    • /
    • 2005
  • 최근의 통신매체로는 함축적이고 인식이 용이한 영상/비디오가 매우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데이터는 그 양이 과다해 영상/비디오 데이터의 압축이 큰 연구과제가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압축 시 그 성능을 크게 좌우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의 최적화에 관련되고, 웨이블릿 변환과 이를 이용한 JPEG2000을 기반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 시 이용되는 데이터 형식을 결정하는데 있어서의 기준을 주파수 변환 및 양자화 과정에서의 데이터 손실 양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험적으로 최적의 데이터 형식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필터계수는 (1, 9)의 10-비트 고정소수점 형식, 웨이블릿 계수는 (9, 7)의 16-비트 고정소수점 형식이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JPEG를 확장한 멀티 콘텐츠 저장 포맷 All-in-JPEG에 관한 예비 연구 (Preliminary Study on All-in-JPEG with Multi-Content Storage Format extending JPEG)

  • 김유진;김경미;유송연;박채원;황기태;정인환;이재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83-189
    • /
    • 2023
  • 본 논문은 JPEG 포맷을 확장하여 여러 장의 사진과 오디오, 텍스트 등 다양한 미디어를 담을 수 있는 새로운 JPEG 포맷, All-in-JPEG을 제안한다. All-in-JPEG는 기존 JPEG 파일에 이미지, 오디오, 텍스트를 추가 저장하고, APP3 세그먼트를 활용하여 메타 정보를 저장한다. All-in-JPEG을 사용하면,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연속 촬영한 많은 사진을 한 개의 파일에 저장할 수 있고, 연사된 사진들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사진 촬영 당시의 짧은 오디오를 함께 저장하거나 사진의 일부분을 움직이는 사진 등 생동감 있는 사진을 만들기 쉽다. 뿐만 아니라, 한 장의 All-in-JPEG 파일 속에 이미지와 음성, 그리고 일기 텍스트를 모두 저장하는 사진 일기 앱 등 다양한 응용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ll-in-JPEG 파일을 생성 편집하는 앱과 사진 일기 앱, 매직 사진 기능을 개발하여 All-in-JPEG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JPEG 재압축이 컬러 이미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JPEG recompression with the color image quality)

  • 이성형;조가람;구철희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5-68
    • /
    • 2000
  •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 is a standard still-image compression technique, establish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and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 The standard is intended to be utilized in the various kinds of color still imaging systems as a standard color image coding format. Because JPEG is a lossy compression, the decompressed image pixel values are not the same as the value before compression. Various distortions of JPEG compression and JPEG recompression has been reported in various papers. The Image compressed by JPEG is often recompressed by same type compression method in JPEG. In general, JPEG is a lossy compression and the quality of compressed image is predicted that is varied in according to recompression Q-factor. In this paper, four difference color samples(photo image, gradient image, gradient image, vector drawing image, text image) were compressed in according to various Q-factor, and then the compressed images were recompressed according to various Q-factor once again. As the result, this paper evaluate the variation of image quality and file size in JPEG recompression and recommed the optimum recompression factor.

  • PDF

JPEG 재 압축이 컬러 이미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JPEG recompression with the color image quality)

  • 이성형;구철회
    • 한국인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쇄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24
    • /
    • 2000
  • The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 is a standara still-image compression technique, established by the International for Standardization (ISO) and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 The standard is intended to be utilized in the various kinds of color still imaging systems as a standard color image coding format. Because JPEG is a lossy compression, the decompressed image pixel values are nto the same as values before compression. Image of JPEG compression is often made to JPEG recompression at saving to apply JPEG compression of color image. In general, JPEG is a lossy compression and compression image is predicted to be varied image quality according to recompressed Q-factor. Various distortions of JPEG compression and JPEG recompression has been reported in previous paper. In this paper, we compress four difference color samples (photo image, gradient image, vector drawing image, text image) according to various Q-factor, and then compressed images are recompressed according to various Q-factor once again. As the results, we inspect variation of quality and file size of recompressed color image, and ensure the optimum recompression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