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ngchorim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닥나무 열매(緖寶子)의 농축액과 조효소가 장조림의 맛과 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 or Crude Enzyme Extracted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on Tenderness and Palatability of Jangchorim)

  • 윤숙자;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17-622
    • /
    • 1997
  • 닥나무 열매가 쇠고기의 연화와 맛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닥나무 열매의 처리형태(농축액, 조효소)와 첨가량을 달리하여 쇠고기에 첨가하였을 때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단력은 닥나무 열매의 농축액와 조효소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쇠고기의 연화도가 증가하였는데 처리형태에 따라 살펴보면, 0∼8%의 농축액을 첨가하였을 때 4.8∼27%, 0∼1%의 조효소를 첨가하였을 때 7.8∼34.2%까지의 연화율을 나타내었다. 2. 중량감소율은 농축액의 형태로 첨가시는 닥나무열매를 첨가하는 양이 증가할수록 다소 감소하였으나 조효소형태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색도는 닥나무 열매를 첨가하여 조리함에 따라 장조림육 표면의 “a”값이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4. 유리아미노산을 보면 닥나무 열매의 농축액과 조효소 첨가시 단백질이 연화되어 국물속으로 용출되어 나오는 유리아미노산함량이 점차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농축액은 8%까지 첨가시 37%, 조효소는 1%까지 첨가시 31.2%의 증가율을 보였다. 5. 장조림육의 무기질 함량과 조성을 분석한 결과 농축액의 형태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대부분의 무기질이 감소하였다. 반면에 조효소 형태로 첨가하였을 때는 Na, K, P, Ca, Mg의 순으로 높은 함량분포를 보였으며 Mn과 Cu가 비교적 낮았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무기질들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6. 장조림육의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닥나무 열매 농축액과 조효소를 첨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농축액 첨가시에는 4% 처리구, 그리고 조효소 첨가시에는 0.1% 처리구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 닥나무 열매를 농축액이나 조효소의 형태로 첨가하는 양을 달리하여 장조림을 하였을 때 연화도와 기호도가 증가하였는데 처리형태에 따라 연화율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닥나무 열매의 알갱이와 분말첨가가 장조림의 맛과 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it or Powder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on Tenderness and Palatability of Jangchorim)

  • 윤숙자;김나영;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0-336
    • /
    • 1995
  • 닥나무 열매가 쇠고기의 연화와 맛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닥나무 열매를 알갱이와 분말 형태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쇠고기에 첨가하였을 때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단력은 닥나무 열매 알갱이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쇠고기의 연화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리형태에 따라서는 알갱이의 형태로 0∼20%까지 첨가함에 따라 6.2∼7.9%, 분말의 형태일 때가 10.2∼18.4%의 연화율을 나타내었다. 2. 장조림육의 조리손실은 닥나무 열매를 첨가하는 양이 증가할수록 다소 감소하였다. 3. 색도는 닥나무 열매를 첨가하여 조리함에 따라 장조림육 표면의 적색도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4. 아미노산은 닥나무 열매의 알갱이와 분말 첨가시 모두 단백질이 연화되어 국물속으로 용출되어 나오는 유리아미노산함량이 점차로 증가하였으며 알갱이 첨가군은 20% 첨가시 16.8%, 분말은 20% 첨가시 24.1%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증가를 나타내었다. 국물속으로 용출된 아미노산중 필수아미노산은 leucine, methionine, tryptophan, isoleucine 등이 순서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높은 함량으로 용출되었으며, 비필수아미노산은 모두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순으로 가장 많이 용출되었다. 5. 닥나무 열매의 알갱이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무기질들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는데 Na, K, P, Ca, Mg의 순으로 높은 함량분포를 보였으며 Mn과 Cu가 비교적 낮았다. 6. 장조림육의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닥나무 열매 알갱이와 분말 첨가시 모두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알갱이 형태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15% 첨가군, 분말형태일 때는 10%첨가군이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닥나무 열매의 형태에 관계없이 첨가량이 많을수록 연화도는 증가하였으나, 기호도의 경우는 알갱이 15%,분말 10%를 장조림에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