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t grouting method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사각(四角)제트 그라우팅 공법에 의한 지반차수 특성 (Square Jet Grouting to Reduce Permeability)

  • 곽수정;백홍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188-197
    • /
    • 2005
  • Square patterned jet grouting technique is the soil improvement method that shakes the special end monitor left and right like as tail fin and mixing the soil and cement paste after cutting the soil in square shape by injecting the cement paste from installed two nozzles. The structure shape by jet grouting technique can be construct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like as square, circle, and sector form designed by an engineer. Also, it can be constructed without waste material and reduced a construction time of work economically.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Square Jet Grouting to reduce permeability is estimated by FEM analysis and in-situ test in many cases which are various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nd breadth of grouting structure.

  • PDF

연약 지층 터널의 보강공법에 관한 FEM 해석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FEM ANALYSIS ON GROUND REINFORCEMENT USING HORIZONTAL JET GROUT ROOFING IN SOFT GROUND TUNNELING)

  • 김주봉;문상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1-56
    • /
    • 1993
  • This paper presents the FEM anlysis results perform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Horizontal Jet Grout Roofing, and of ground improvement methods for tunneling in soft ground. Horizontal Jet Grount Roofing Method is applicable to ensure the stability of tunnel face in non-cemeted alluvial strata under high ground water pressure. For applying this method, to ensure the reliability, the Horizontel Jet Grout Roofing should be double lined with pre-grouting to reduce the water inflow during the jet grouting.

  • PDF

고압분사주입공법에 의한 지반개량사례연구(I) -구조물 기초지반의 지지력증대효과 (Case Studies on Ground Improvement by High Pressure Jet Grouting(I) Effect in the Improvement of Bearing Capacity for Foundation Ground)

  • 윤중만;홍원표;유승경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4호
    • /
    • pp.33-46
    • /
    • 1996
  • 지지력이 부족한 지반에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기초지반의 변형으로 인하여 구조물에 침하나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초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고압분사주입공법으로 지중에 지반개량체를 조성하여 기초보강말뚝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2중관 고압분사주입공법에 의해 기초지반에 시공된 지반개량체에 대하여 실내시험 및 현장말뚝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지반보강효과 및 지지력을 검토하였다. 시험결과 지반개량체는 원지반의 특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충분한 지반보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장타설말뚝으로서 충분한 지지력을 유지하고 있어 구조물의 침하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압분사주입공법으로 보강된 석회암공동의 거동특성 (The Behaviour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Limestone Cavities by High Pressure Jet-Grouting)

  • 홍원표;홍건표;여규권
    • 지질공학
    • /
    • 제18권1호
    • /
    • pp.7-16
    • /
    • 2008
  • 석회암지역은 외부의 압력에 의한 파쇄대와 용해성공동 등과 같은 지질학적인 결함을 대부분 갖고 있다. 특히, 장대교량을 건설할 경우 지질학적인 결함을 갖고 있는 석회암공동의 처리는 꼭 필요하다. 석회암 공동에서 기초의 침하량을 줄이고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대책공법으로 고압분사주입공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압분사주입공법은 석회암공동에 대한 보강공법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연구실적과 기술적인 자료의 축적이 부족한 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고압분사주입공법에 의하여 보강된 석회암공동 구간에 대하여 강도특성과 변형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하중전이시험이 수반된 정재하시험에 의하여 지지력특성도 논의하였다.

공동현상 이론을 고압분사주입공법에 적용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nhanced Jet Grouting by Cavitation Theory)

  • 이상익;김창종;오세헌;김영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43-50
    • /
    • 2005
  • 고압분사주입공법은 지반개량, 차수벽, 흙막이벽, 기초 보강말뚝 등에 사용되고 있다. 고압분사주입공법은 사질토지반에 대해서는 지수목적으로, 연약한 점성토 지반에서는 지반강화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 적용되고 있는 경우의 대부분은 지반조건에 따른 강도증가 효과를 경험적으로 파악하여 설계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고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압분사주입공법의 지반교란에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공동현상(cavitation) 이론을 응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공동현상(cavitation)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지반조건, 주입압력 및 주입시간 등을 변화시켜가며 점성토 및 사질토 모형지반에 대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공동현상(cavitation)을 적용한 경우 점성토 및 사질토 지반 모두 좋은 결과를 보여, 실제 공법에 적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압분사주입공법으로 보강된 개량체의 특성 및 흙막이벽의 변형해석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round Improved by High Pressure Jet-Grouting and Analysis of Deformation of Propped Retaining Walls)

  • 심태섭;주승완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8-105
    • /
    • 2000
  • Recently, the construction method of high pressure jet-grouting is in wide-use, for the purpose of structure foundation ground, reinforcing of ground behind propped retaining walls and cut-off in order to perform saf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excavation work. This study was performed a serious of tests of field permeability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upon ground improved established on the ground behind propped retaining walls and examined proper jet mechanism by changing the construction parameter value of high pressure jet-grouting. In addition, we got the conclusion like the followings as a result of inspecting the condition of earth pressure distribution and deformation, using elasto-plastic method and FEM. 1. In that characteristics of strength of ground improved, with the same condition of construction parameter,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sand gravel is shown bigger than that of silty sand by about 1.6 times and cut-off effect is shown to have effect of reducing the permeability of original ground by about 10$^{-2}$ ~10$^{-3}$ cm/s. 2. As a result of analysis of figures of horizontal displacing quantity of propped retaining walls materials regarding before and after High pressure jet- grouting through FEM, the reducing quantity of 0.1~0.3mm in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is shown.

  • PDF

고압분사주입공법에 의한 지반개량사례연구(II) -흙막이벽 배면지반보강 및 차수효과 (Case Studies on Ground Improvement by High Pressure Jet Grouting(II) Effect on the Ground Reinforcement and Cut off of Ground Water Behind Temporary Retaining Walls)

  • 윤중만;홍원표;정형용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5호
    • /
    • pp.5-16
    • /
    • 1996
  • 지하수위가 높고 느슨한 사질토지반에서 가설흙막이벽을 설치하여 지하굴착공사를 실시할 경우 굴착저면에서 보일링현상이 발생하여 굴착공사 뿐만 아니라 인접구조물에 상당한 피해를 주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흙막이벽 배면지반의 강도를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흙막이벽의 차수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고압분사주입공법을 실시하여 차수벽을 설치하는 보조공법인 널지 이용되고 있다. 고압분사주입공법에 의해 가설흙막이벽 배면지반에 시공된 지반개량체의 지반보강효과 및 차수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각종 실내시험 및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지반개량체는 지반조건과 시공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충분한 흙막이벽 배면지반의 보강 및 벽체의 강성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반개량체의 투수계수는 원지반의 투수 계수보다 10-2~10-3cm/s정도 작아서 흙막이벽의 차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JM 주입공법의 현장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JM for Ground)

  • 천병식;최춘식;노종륜;이승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437-442
    • /
    • 2005
  • The high pressure jet grouting method is mainly used in the grouting. But, this method has problems that the scale and strength of improved body is not constant with ground condition. Considering these problems, triple rod MJM that results in the high-strength effect by the technology of the injected ${\phi}7mm$ cement mortar was developed. In this MJM, the unconfined strength is estimated with the various combination ratio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 strength improvement effect of improved body, was checked through the field test. It is known that the application of MJM was verified with ground and construction condition.

  • PDF

국내의 석회암 공동지역 기초지반보강법에 대한 평가 (The Evaluation of reinforcing method for the pier foundations on the karstic areas containing the solution cavities in Korea)

  • 임수빈;노승한;제갈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499-509
    • /
    • 2005
  • We have many foundations which were constructed on the karstic areas where solution cavities and fractured zone may form under, or close to foundations. The fact that the ground under the pier foundations was reinforced with the three axial high pressure jet grouting is confirmed through out about two hundred design reports. It is necessary that evaluation of a simple application of high pressure jet grouting method on the karstic areas containing solution cavities. In this study, the improved situation and reinforcing methods of the ground under the pier foundations are proposed based on the evaluation of design reports for the express highway and No.38 national roads.

  • PDF

원심모형실험을 통한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연직 지지력 평가 (Evaluation of Axial Bearing Capacity of Waveform Micropile by Centrifuge Test)

  • 장영은;한진태;김재현;박헌준;김상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8호
    • /
    • pp.39-4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jet grouting 공법을 적용한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지지력 향상 효과 및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말뚝의 형상에 따른 거동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 마이크로파일, 파형이 없는 jet grouted 말뚝 및 네 종류의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모델을 제작하여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일반 마이크로파일 대비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지지력 향상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특히 파형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말뚝의 지지력 개선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의 재하시험에 의한 지지력 예측 및 평가 방법을 토대로 파형 마이크로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안을 검토한 결과 P-S 곡선법과 25.4mm 전침하량기준이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거동을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