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CR4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19초

KCR4와 KCR3.1의 단행본관련 목록규칙에 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ataloging Rules of the Monographic Publications in KCR4 & KCR3.1)

  • 강미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41-15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KCR4와 KCR3.1의 단행본에 관한 목록규칙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KCR4에 있는 단행본에 대한 규칙을 서지기술 사항별로 나누어 KCR3.1에 있는 규칙과 비교하여 가면서 규칙이 다른 조항들은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도서관에서 단행본자료를 편목하는데 유용한 참고도구로서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KCR4가 정보접근과 서지기술을 위한 확고한 표준이 되는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RDA와 KCR4의 기술규칙 분석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n Descriptive Rules of RDA and KCR4)

  • 박진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1-138
    • /
    • 2009
  • JSC는 2008년 11월 3일 AACR3를 대체하는 RDA의 최종안을 발표하였으며 2009년 3분기에 발매될 예정이다. RDA는 모든 매체에 대한 서지기술과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국적 내용의 표준을 지향하고 있으며 그 목표대로 국제적인 기술규칙으로 자리매김할 경우, KCR 4판 역시 국제적인 기술규칙에 준하는 개정이 불가피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CR 4판의 각 영역별로 RDA와 KCR4의 기술규칙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KCR4 개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목록규칙의 개정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the Revision of Korean Cataloguing Rul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23-143
    • /
    • 2013
  • 이 연구는 국내외 목록규칙의 흐름과 함께 KCR4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아울러 KCR4의 개정과 관련하여 목록전문가의 설문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한국목록규칙의 개정방향을 제안 하려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파리원칙 이후 최근의 국제적인 목록규칙 흐름은 국제목록원칙규범과 FRBR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RDA로 집약되어 있다. 둘째, 2003년 KCR4가 제정된 이래 KCR4는 제정 당시부터 전거제어 등에 관한 규정이 미비한 미완성의 규칙이었으며, 표목의 선정과 형식을 별도로 규정하지 않음으로 인해 도서관 현장에서는 혼란과 어려움이 있어 어떠한 형태로든 KCR4가 개정되어야 한다. 셋째, KCR4의 개정에 대한 목록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RDA와 같은 최근의 국제목록규칙의 흐름을 수용하고, 또한 접근점에 대한 내용추가, 전거제어를 위한 세부규칙 마련, RDA의 대폭적인 수용과 함께 자료유형별이 아닌 기술요소별로 규칙을 개정해야 한다고 응답하여 이러한 점이 개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집합물의 FRBR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 RDA, KCR4 목록규칙 기술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Description of RDA & KCR4 Cataloging Rules for FRBRizing the Aggregates)

  • 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46
    • /
    • 2018
  • 본고는 집합물의 FRBR 구현을 위해 집합물 모델링을 바탕으로 RDA, KCR4 목록규칙 기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FRBR과 LRM의 집합물 모델링을 분석하고, 이러한 집합물 모델링에 따라 RDA, KCR4의 집합물 관련 목록규칙을 비교하여, 집합물을 위한 RDA와 KCR4 목록규칙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객체지향모형으로 서지레코드를 기술하되, 가능한 집합저작과 수록된 개별저작을 모두 기술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한 개인이나 가족, 단체에 의한 집합물인 경우, RDA에서는 집합저작으로 전통적인 종합표제를 기술하는 것과 함께 개별저작을 기술하는 규칙을 마련해야 한다. KCR4에서는 집합저작과 개별저작을 기술하되 집합저작은 전통적인 종합표제를 사용하도록 규정해야 한다. 셋째, 여러 개인이나 가족, 단체의 집합물의 경우, RDA와 KCR4 모두 집합물의 표제가 있으면 집합저작과 개별저작을 같이 기술하고, 집합물의 표제가 없는 경우는 집합저작 보다는 개별저작을 기술하도록 한다. 넷째, 보유 집합물은 필요시 주된 저작의 표현형과 함께 집합저작, 보유 표현형으로 모두 접근할 수 있도록 규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집합물을 위한 RDA, KCR4 목록규칙 기술방안을 제시하여 집합물의 FRBR 구현을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RDA 자원유형의 KCR4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Resource Types of RDA to KCR4)

  • 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03-121
    • /
    • 2011
  • 본 연구는 RDA 자원유형을 KCR4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KCR4의 GMD는 내용과 용기의 용어가 혼합되어 적합한 용어를 선정하기 어렵고, FRBR 개념모형 구현도 용이하지 않다. SMD도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최신의 용어가 포함되지 않아 변경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 개발된 RDA 자원유형은 AACR2 GMD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의 측면을 고려하였고, 앞으로 목록분야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국내 목록환경에 RDA 자원유형의 적용가능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례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 한 개 기관을 대상으로 GMD 기술의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용어의 변경 및 사서 및 이용자가 원하는 용어의 방향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자원유형 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및 RDA 자원유형 이해정도를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자원유형 용어는 검색과 기술을 위해 구체적이고 이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변경이 필요하였다. RDA 적용 테스트에서는 자원유형에 따라 정답률에 차이가 있었다. 조사를 바탕으로 RDA 내용유형에 컴퓨터게임을, 용기유형에 DVD, CD-ROM, Blu-Ray, 컴퓨터파일을 추가하여 KCR4의 자원유형을 제안하였다. 기술방식과 화면출력에서도 RDA의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RDA 자원유형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여, KCR4 자원유형 개정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ISBD 통합판과 KCR4 기술규칙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cription Rules of ISBD and KCR4)

  • 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5-203
    • /
    • 2013
  • 본 연구는 ISBD 통합판과 KCR4의 데이터요소 및 기술규칙을 상호 비교하여 KCR4 개정시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ISBD와 KCR4의 기술요소를 영역별로 구분하여 상호 매핑테이블을 작성한 후 세부규칙을 상호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첫째, 자원유형을 기술시 내용유형과 매체유형의 기술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통표제와 종속표제의 세부규정을 추가해야 할 것이며, 셋째, 대등표제, 대등책임표시, 대등판사항, 대등발행지, 대등발행처, 총서대등표제 등 대등표시에 대한 규정을 추가해야 한다. 넷째, 내용측면에서 자료특성사항 기술을 규정해야 한다. 다섯째, 발행지 기술시 통일성을 위해 본국 중심의 목록을 가능한 배제해야 한다. 여섯째, 자원유형이 모두 통합된 수량, 기타형태사항, 크기, 딸림자료를 기술해야 한다. 일곱째, 주기의 규칙번호는 조기성을 갖도록 하며, 여덟째, 자원식별을 위한 표준번호 기술에 대한 세부 규정이 필요하다. ISBD와 KCR4 규칙을 상호비교 한 본 연구는 앞으로 KCR4의 목록규칙 개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 목록에서 표목의 취급 실태에 관한 연구 - B시의 대학도서관들을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Managing of Headings in Library Cataloging: On the Basi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 B City)

  • 도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71-1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편목 실무에서 표목의 취급 실태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표준목록규칙인 KCR4는 기본표목을 채택하지 않았으며, 표목의 형식에 관한 규정이 없는 규칙이다. 그러나 도서관의 편목 실무에서는 여전히 기본표목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아 도서관 간에 기본표목의 취급에 관한 통일성이 없고, 통일표목의 형식으로 표목을 작성하는 도서관의 경우에도 적용할 규칙이 없음으로써 그 형식의 일관성이 결여되었다. KCR4의 방침에 따라 기본표목을 채택하지 않는 방식으로 목록레코드를 통일할 수 있기 위해서는 KORMARC포맷의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 표목 형식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는 목록규칙에 관한 국제적 표준의 변화 추이에 따라 KCR4의 개정 방침이 확정될 때까지 과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목형식에 관한 규정이 제정될 필요가 있다.

  • PDF

한국목록규칙과 중국문헌편목규칙의 고전자료 목록기술규칙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lassical Data in KCR 4 and CCR 2)

  • 한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75-293
    • /
    • 2013
  • 이 연구는 고전자료 이용에 필요한 목록기술규칙의 이해와 동양 고전자료 목록(서지기술) 네트워크를 위하여 한국목록규칙 4판(KCR 4)과 중국문헌편목규칙 2판(CCR 2)에서의 고전자료의 목록기술 규칙을 다음과 같이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기술총칙의 비교를 위하여 기술의 대상과 기술사항의 구성, 기재순위와 구두점 그리고 기술의 정보원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KCR 4는 책임표시와 판사항의 정보원 규정이 상세하며, CCR 2는 출판 발행사항 및 총서사항의 정보원 규정이 상세하였다. 둘째, 세부사항의 비교를 위하여 표제와 책임표시사항, 판사항, 발행사항 및 형태사항 그리고 주기사항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판종의 기술과 발행사항의 경우 KCR 4가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으며, 주기사항의 경우 CCR 2의 제요가 특징적이었다.

KCR 4판 초안 제5장 ′악보′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the Chapter 5 ′music′ in the draft of KCR4)

  • 정재영;남태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2년도 제9회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146
    • /
    • 2002
  • KCR4판 초안의 제5장 '악보'부분에 대한 각 조문을 일본목록규칙(NCR, 1996), 영미목록규칙(AACR2R, 1998), ISBD(PM, 1991)와 비교해 그 차이점과 논란이 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 PDF

종교 저작에 대한 한국목록규칙의 개정 방향과 범위 탐색 (Exploring the Revision Direction and Scope of the Korean Cataloging Rules for Religious Work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53-177
    • /
    • 2021
  • 한국목록규칙(KCR)에 대한 전면적인 개정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다룬 부분은 종교 저작에 관한 규칙이다. 종교 저작은 음악작품이나 법률 저작과 함께 IFLA LRM 개념모형을 지향하는 새로운 목록규칙에서도 특별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KCR2 이후에 접근점에 대한 논의가 없었던 국내의 경우, 종교 저작에 관한 기술과 접근점 규정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는지, 한다면 어떠한 내용과 범위를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토대로 하여, (1) 최근 개정을 완료한 목록규칙인 RDA와 NCR에 수록된 종교 저작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2) 실제 사례를 통해 종교 저작에 적용된 접근점과 그 기능을 검토한 다음, (3) 종교 저작에 대한 KCR4의 개정 방향과 범위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종교 저작의 경우 동일 저작이 상이한 버전이나 표제를 가지는 경우가 많아 이를 집중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종교 저작의 유형별로 우선표제의 선정과 전거형 접근점의 작성 규칙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KCR 개정과정에서 후속 논의가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여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