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BACO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발전정책: KOBACO와 CCTV 운영체제 비교를 중심으로 (Development Policy of Korea and China Public Service Advertising: Focusing on Comparison of KOBACO and CCTV Operating System)

  • 김나미;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171-182
    • /
    • 2014
  • 사회의 여러 가지 공공문제가 부각될수록 공익광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각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특성에 따라 공익광고의 주제가 다르며, 독특한 공익광고 운영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정치, 사회, 문화 등의 차이로 인해 공익광고의 운영체제가 다를 것이라는 가정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운영 주체인 KOBACO와 CCTV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익광고 운영체제를 3가지 범주(공익광고 운영현황과 공익광고의 주제 및 공익광고 관리감독)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문헌분석과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자료에 근거하여 5가지 공익광고 발전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제작전략과 제도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방송광고산업(放送廣告産業) 정부규제(政府規制)의 문제점(問題點)과 개선방안(改善方案)(II)

  • 유승민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6권2호
    • /
    • pp.51-89
    • /
    • 1994
  • 본(本) 논문(論文)은 졸고(拙稿)(1989)에 이어 정부규제(政府規制)의 폐해가 특히 심각한 방송광고산업(放送廣告産業)에 초점을 두고 한국방송광고공사(韓國放送廣告公社)(KOBACO)라는 규제기구(規制機構)가 중심이 된 각종 규제(規制)의 쟁점(爭點)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규제(規制)가 폐지 혹은 완화되어 방송광고(放送廣告)의 시장기능(市場機能)이 활성화(活性化)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조속(早速)한 시일내(時日內)에 규제개선(規制改善)이 필요한 정책과제(政策課題)는 방송광고시간규제(放送廣告時間規制)의 단계적 완화, 토막광고규제(廣告規制)의 단순화, 중간광고(中間廣告)의 허용, CATV 등 신규방송매체(新規放送媒體)의 확충, 규제요금(規制料金)의 단계적 인상, 매체별(媒體別) 시급구분(時級區分)의 자율성 확대를 통한 요금체계(料金體系)의 합리화, "rotation time"제(制) 도입, KOBACO의 수탁수수료(受託手數料) 폐지, 민간대행수수료(民間代行手數料)의 인상, 계열(系列) 비계열(非系列)의 수수료차별화(手數料差別化) 폐지, 복수대행(複數代行)자유화, 한국언론회관(韓國言論會館)의 정부광고독점대행권(政府廣告獨占代行權) 폐지, 방송광고사전심의제(放送廣告事前審議制) 폐지, 매체(媒體)의 대행사(代行社) 소유(所有) 지배(支配) 경영(經營) 차단 등이다. 한편 시청률조사(視聽率調査), ABC 등의 조기정착과 광고산업에 대한 공정거래법(公正去來法)의 적용 등은 시장기능(市場機能)의 전제(前提)가 되는 정책과제로서 제시되었다. 또한 KOBACO 독점대행권(獨占代行權)의 완전폐지, 방송광고요금(放送廣告料金)의 완전자율화, 시간규제(時間規制)의 추가적 완화 등은 이러한 규제개선을 완결시키는 과제로서 제시되었다. 본(本) 논문(論文)은 이러한 정책과제가 효율적으로 추진되려면 경제행정규제완화위원회(經濟行政規制緩和委員會)와 공정거래위원회(公正去來委員會)가 중심기구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규제기능이 사라진 KOBACO의 위상변화는 본(本) 논문(論文)이 고려하지 않았던 지출기능(支出機能)의 평가에 따라 결정될 것이지만, 규제폐지에 관한 한 그 존재의의는 사라진다.

  • PDF

셋톱박스 오디언스 타겟팅을 위한 세션 기반 개인화 추천 시스템 개발 (Personalized Session-based Recommendation for Set-Top Box Audience Targeting)

  • 차지수;정구섭;김우영;양재원;백상덕;이원준;장서호;박태준;정찬우;김우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2호
    • /
    • pp.323-338
    • /
    • 2023
  • 셋톱박스 오디언스(TV 시청자) 타겟팅의 핵심은 오디언스의 시청패턴을 분석하여 광고의 효과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오디언스에게 맞춤형 광고를 내보내는 것이다. 세션 기반 추천 시스템은 인터넷 광고 추천, 유저 검색 기록 기반 추천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TV 광고의 측면에서 셋톱박스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을 이유로 연구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오디언스 개인의 식별정보가 있는 데이터에서, 오디언스의 선호가 반영되는 시청 패턴을 모델링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와 방송3사(SKB, KT, LGU+)와의 협업을 통해 익명화된 오디언스 4,847명의 6개월간 시청 데이터를 확보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유저-세션-아이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개인화 세션 기반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여 성능 검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셋톱박스 오디언스 데이터셋과 그 외 검증을 위한 2개의 데이터셋에서 제안된 모델이 비교 대상 모델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V-人SIDE_코바코 오의상 영업1국장 - 벤처여, 미디어 날개를 달아라_KOBACO, 우수 중소기업 광고지원 확대

  • 벤처기업협회 편집실
    • 벤처다이제스트
    • /
    • 통권129호
    • /
    • pp.48-48
    • /
    • 2009
  • 기술력은 뛰어났지만, 다양한 마케팅 툴을 필요로 하는 중소벤처기업에게 즐거운 소식이 있다. 바로 한국방송광고공사(이하 코바코)가 최근 우수 중소기업에 대해 파격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밝힌 것. 무겁기만 했던 중소기업의 어깨에 날개를 얹어준 코바코 오의상 영업1국장을 만나 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 PDF

Exploring the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Combating Advertising Fraud and Preserving Brand Reputation in the Korean Advertising Landscape

  • Seung-Chul Yoo;Yoontaek 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06-311
    • /
    • 2023
  • As digital advertising continues to dominate the advertising industry and experience substantial growth, associated criminal activities such as advertising fraud and brand safety risks have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Despite the severity and extent of these crimes, the response in Korea has been lackluster, often perceiving them merely as losses in advertising expenses incurred by corporation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se issues have direct repercussions on the end-consumer in the form of increased prices for goods and services. Furthermore, illegal and intrusive advertisements not only cause inconvenience to the viewer, but may also indiscriminately target cognitively vulnerable groups, such as children and the elderly, with the intention of manipulating advertising metrics and artificially inflating performance indicators. In this study, we aim to explore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advertising fraud and brand safety, and to evaluate the current measures taken in the Korean market. Additionally, we will delve into the implications of related policies and emphasize the necessity of digital advertising literacy in addressing these issues.

워터마크를 이용한 TV방송 광고모니터링 시스템 (Monitoring System for TV Advertisement Using Watermark)

  • 신동환;김경순;김종원;최종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5-18
    • /
    • 2004
  • In this paper, it is implemented the monitoring system for TV advertisement using video watermark. The functions of an advertisement monitoring system are automatically monitoring for the time, length, and index of the on-air advertisement, saving the log data, and reporting the monitoring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video watermark used in this paper is tested for TV advertisement monitoring. This test includes LAB test and field test. LAB test is done in laboratory environment and field test in actually broadcasting environment. LAB test includes PSNR, distortion measure in image, and the watermark detection rate in the various attack environment such as AD/DA(analog to digital and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noise addition, and MPEG compression The result of LAB test is good for the TV advertisement monitoring. KOBACO and SBS are participated in the field test. The watermark detection rate is 100% in both the real-time processing and the saved file processing. The average deviation of the watermark detection time is 0.2 second, which is good because the permissible average error is 0.5 second.

  • PDF

TV광고 모니터링을 위한 비디오 워터마킹 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Video Watermarking System for TV Advertisement Monitoring)

  • 신동환;김성환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1호
    • /
    • pp.206-213
    • /
    • 2007
  • In this paper, The monitoring system for TV advertisement is implemented using video watermark. The functions of the advertisement monitoring system are monitoring the time, length, and index of the on-air advertisement, saving the log data, and reporting the monitoring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video watermark used in this paper is tested for TV advertisement monitoring. This test includes LAB test and field test. LAB test is done in laboratory environment and field test in actually broadcasting environment. LAB test includes PSNR, distortion measure in image, and the watermark detection rate in the various attack environment such as AD/DA(analog to digital and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noise addition, and MPEG compression. The result of LAB test is good for the TV advertisement monitoring. KOBACO and SBS are participated in the field test. The watermark detection rate is 100% in both the real-time processing and the saved the processing. The average deviation of the watermark detection time is 0.2 second, which is good because the permissible average error is 0.5 second.

새로운 방송 환경에서 방송광고 공용인프라 활용 (Application Plan of Public Infrastructure for Broadcasting Advertising Industry in the New Circumstance)

  • 차유철;이수범;이희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95-101
    • /
    • 2012
  • 새로운 미디어 환경의 도래와 복수 미디어랩의 등장을 앞두고 방송광고의 공용인프라 구축과 활용에 대해 광고업계와 학계의 관심과 노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조성되는 방송광고 환경에 따라 기존 코바코 코덱스의 가치를 분석하고 코덱스를 방송광고산업의 공용인프라로 사용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코바넷과 코덱스 시스템은 첫째, 방송광고 거래 시스템 인프라 둘째, 광고콘텐츠 활용 인프라 셋째, 광고산업 진흥 인프라 넷째, 새로운 수익창출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변화되는 방송광고 환경에서 방송광고 인프라 활용의 선행적인 연구로 업계와 학계에 시사점과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 이용자의 광고 회의주의와 광고 회피 현상에 대한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dvertising Skepticism and Avoiding of Youtube Users based on Media Platform)

  • 선민재;김준석;나운봉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61-76
    • /
    • 2020
  •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면서 온라인 광고 시장의 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성장세에 비해 소비자들의 온라인 광고에 대한 신뢰도는 기존 매체보다 매우 낮은 편이며 광고 회피 현상도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광고 회피의 요인에는 매체, 광고의 유형, 소비자의 특성 등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소비자의 광고 회의주의에 대한 영향력이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와 광고주에게 광고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광고 회의주의를 중심으로 광고 소구, 관여도, FCB Grid 이론을 적용했으며 소비자의 광고 회피를 낮출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Kobaco의 2차 자료를 활용했으며 연구 2에서는 1차 자료의 Process macro 조절 회귀분석을 통해 광고 회의주의가 광고 태도 형성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또, FCB Grid 모델에서 ANOVA 분석을 통해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에게 어떤 광고 유형이 긍정적인 광고 태도를 나타내는지 측정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광고 회피도가 높은 소비자는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제품에 대한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지는 않았지만 연령이 높아지고, 온라인 동영상 시청시간이 낮아질수록 광고 회피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의 결과 감전전이 소구가 정보 소구보다 광고 태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 회의주의와 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관여도가 낮고, 감정전이 소구가 높은 상황일 때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의 광고 태도가 낮은 소비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FCB Grid 모델에서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은 저관여와 고관여 제품에서 감정전이 소구 방식의 광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와 광고주들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 회피 현상의 요인인 광고 회의주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며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광고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