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dney bean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18초

강낭콩 앙금 혼합율에 따른 양갱의 기계적.관능적 특성 (Instrument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Mixed with Kidney Bean Sediment)

  • 박선희;조은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7-253
    • /
    • 1995
  •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calorie of kidney bean sediment, amylogram,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of Yanggaeng mixed with kidney bean sedim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tein and fat contents were noticed among kidney bean sediment samples. The amylograms of sediment mixed with sugar and/or agar showed no peak and increase of viscos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When the Yanggaeng was prepared from the mixture of sediments of red bean and kidney bean, noticiable color changes were observed at 30% level of kidney bean sediment. Hardness and cohesiveness of Yanggaeng were increased but elasticity decreased as the proportion of kidney bean sediment increased. Sensory evaluation of Yanggaeng stored at $4^{\circ}C$ for 24 hr revealed that the product prepared from the mixture of red bean sediment (70%) and kidney bean sediment (30%)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compared with that from the 100% red bean sediment.

  • PDF

두류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 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4-339
    • /
    • 1993
  • 전분입자의 크기는 동부와 녹두가 좀 작았으며, 강남콩과 팥은 약간 더 컸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녹두와 강남콩이 시료 중 약간 더 많았으나 모두 $25{\sim}29%$의 범주였다. 강남콩전분의 팽윤력은 전 온도범위에서 다른 시료에 비해 아주 낮았다. Brabender Visco/amylo/Graph 결과는 동부, 녹두, 팥은 호화 점도도 크고, 노화시점도의 증가도 크지만, 강남콩은 점도의 증가가 아주 낮았다. 아밀로그램에서 점도의 변화양상은 아밀로오스 함량과는 관계가 없고, 아밀로오스의 크기나 전분립의 형태, 결정화 정도 등에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DSC에 의해 조사한 호화 양상에서 강남콩이 호화 개시온도가 다른 시료보다 더 높았으며 동부와 녹두는 대체로 낮은 편이었으나 이들의 호화엔탈피는 거의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부와 녹두전분의 특성은 거의 유사하였으며, 강남콩은 이들과 많은 차이를 보였고, 팥은 중간적 특성을 나타냈다.

  • PDF

두류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비교 -동부, 녹두, 강낭콩, 팥-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res of Various Bean Starches -Cowpea, mung bean, kidney bear and red bean-)

  • 손경희;윤계순;정혜정;채선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19
    • /
    • 1990
  • Cowpea, mung bean, Kidney bean and red bean are simular properties. In order to elucidate the similarity among these four starches,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were compared. Water binding capacity of kidney bean and red bean (199%) starches are higher than mung bean and cowpea. The solubility, swlling power and optical transmittance of the four starches showed a similar pattern, but kidney bean and red bean starches had a lower swelling power than cowpea starches. Cowpea, mung bean, kidney bean and red bean starches had the blue value of 0.41, 0.47, 0.42 and 0.50, the alkali content of 8.4, 8.0, 4.13, 4.13, the amylose content of amylose of 30,000, 29,268, 52, 173 and 33, 611 and glucose unit per segment of amylopectin of 27.6, 26.8, 18.35 and 12.9 respectively. The results of X-ray diffraction studies showed A pattern for four starches.

  • PDF

강낭콩 전분의 분자구조적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idney Bean Starch)

  • 김관;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21-527
    • /
    • 1996
  • 세 품종의 강낭콩 전분에 대하여 분자구조적 측면에서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과 ${\beta}$-아밀라아제 분해한도는 Pink종이 다른 종에 비하여 다소 높았다. 그리고 아밀로펙틴의 사슬분포는 ${\overline{DP}$60 이상의 초장사슬, ${\overline{DP}}45{\sim}60$인 B 사슬, 그리고 ${\overline{DP}}10{\sim}20$인 A 사슬로 분포하였으며, 그 분포도는 품종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Pink종은 B사슬, Red종은 초장사슬, 그리고 White종은 A 사슬이 다른 종에 비하여 더 많이 분포하였다. 전분의 딴 가수분해(2.2N HCI는 3 단계로 일어났으며, 각 품종간에는 가수분해 속도와 요오드 반응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전분은 산처리에 따라 아밀로오스와 무정형인 아밀로펙틴의 ${\alpha}$-1.6 결합이 점차 분해되어, 결국은 결정성을 가진 ${\overline{DP}}$ 20 정도의 사슬로 남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강낭콩은 품종에 따라 전분의 분자구조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산 두류(豆類)중 단백질의 분별(分別) 및 전기영동(電氣泳動)패턴 (Fractionation and Electrophoretic Pattern of Proteins in Some Korean Beans)

  • 강명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15-422
    • /
    • 1978
  • 한국산 두류중 대두를 제외한 팥, 녹두, 강남콩에 대한 일반성분의 분석, 용해도에 의한 단백질의 분별(分別) 정량(定量) 및 polyacrylamide gel disc electrophoresis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으로는 지방이 적어 1%미만이었고 탄수화물은 60% 내외로 많았으며 단백질은 $20{\sim}25%$ 이었다. 2) 단백질중 총 globulin 함량은 $46{\sim}59%$로 대두에 비해 적었고 녹두>강남콩>팥의 순이었다. Albumin은 대두와 비교할 때 강남콩만 비슷하였고 팥, 녹두는 떨어졌으며 대신 glutelin의 함량이 많아 $10{\sim}19%$의 범위에서 팥>녹두>강남콩의 순이었다. 3) 전기영동(電氣泳動) 결과 전(全)단백질을 pH 7.6 완충액으로 추출한 것은 팥, 녹두, 강남콩에서 각각 9, 12, 11개의 band를 보였으나 pH 4.8 완충액으로 추출한 것은 분리가 더 되 어 각각 13, 13, 12개의 band를 보였다. Water extract의 경우는 팥, 녹두, 강남콩에서 각각 10, 8, 9개의 band를 보였으며 이 중 albumin획분(劃分)은 각각 8, 9, 7개, globulin 획분(劃分)은 모두 4개의 band를 보였다. 세가지 두류의 globulin 획분(劃分)중 Rm 치 $0.05{\sim}0.07$사이의 band는 모두 water extract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물에 녹지 않는 globulin 고유의 band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분리 강남콩 단백질의 유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mulsifying Properties of Kidney Bean Protein Isolate)

  • 최희령;손경희;민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17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tudy the emulsifying properties of kidney bean protein isolate.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tes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 of pH, addition of NaCl, and heat treatment on the solbulity and emulsion capacity, emulsion stability, surface hydropobicity and emulsion viscosit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olubility of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affected by pH and showed the lowest value at pll 4.5 which is isoelectric point of kidney bean isolate. When the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heated, the highest value observed at pH 2 and pH 7 was 96.11%, 97.41% respectively. 2. The emulsion capacity of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each pH. With addition of NaCl, emulsion capacity decreased steadily. When heated thr highest value observed at pH 2 and pH 7 was 82.91 ml oil/100 mg protein ($60^{\circ}C$), 82.08 m1 oil/100 mg protein ($80^{\circ}C$) respectively. 3. The emulsion st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at pH 4.5 than that of pH 2 and pH 7 (p 0.05) When NaCl was added, emulsion stability was generally increased after 2hrs. When heated, the highest value observed at pH 2 and pH 7 was 21.25% ($80^{\circ}C$),23.7%($100^{\circ}C$) respectively after 2hrs. 4. Surface hydrophobicity increased sharply as 0.2 M NaCl was added to pH 4.5. When heated, the surface hydrophobicity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5. The highest value of emulsion viscosity was observed at pH 4.5 and pH 7 when 0.2 M NaCl was added. Under heat treatment, the highest value was 48,000 cps at pH 4.5 ($40^{\circ}C$). In the case of pH 7, the highest value was 105,000 cpa at $100^{\circ}C$.

  • PDF

두류 전분의 분자구조적 특성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 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4-269
    • /
    • 1993
  •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고유점도와 중합도는 강남콩이 다른 시료에 비해 작았다.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자량 분포의 연구에서는 전분의 경우 강남콩이 대체로 작은 분자들이 많음을 보여주었다. 아밀로오스의 분자량 분포는 특히 강남콩 아밀로오스가 분자량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부와 녹두는 강남콩이나 팥보다 컸고, 팥은 중간이었다. 아울러 아밀로펙틴의 경우 pullulanase로 분해시켰을 때 잘라지는 가지 부분들이 강남콩은 약간 짧았고 동부나 녹두는 강남콩보다는 길었으며 서로 비슷했다. 또한 동부나 녹두는 긴 사슬(DP 40 부근)에 비해 짧은 사슬(DP 15 부근)의 비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UV-B가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의 지방산 구성, 지질과산화 및 polyam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V-B on fatty Acid Composition, Lipid Peroxidation and Polyamine in Kidney Bean(Phaseolus vulgaris L.))

  • 김학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22-526
    • /
    • 2006
  • UV-B에 의한 강낭콩 식물의 피해양상, 지질과산화, 지질조성 변화와 UV-B에 대한 식물의 방어기작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3주간 UV-B 조사 실험을 수행하였다. UV-B 처리에 의해 초장이 약 22%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DA 함량은 UV-B 처리에 의해 약 50%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utathione 및 ascorbate acid 함량은 UV-B 조사에 의해 산화형이 증가하고 환원형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V-B 조사에 의한 지방산 구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당지질 및 인지질 모두 UV-B조사에 의해 포화지방산이 증가하는 것에 반해, 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낭콩 잎에는 주로 3종류의 polyamine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종류 모두 UV-B 조사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로 볼 때, UV-B 조사는 활성산소를 생성하여 생체막 지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scorbate acid, glutathione, polyamine 등의 항산화물질들이 이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콩 고물과 대두 고물의 미세구조와 조직감에 대한 연구 (Microstructure and Textural Properties of Cell Mass from Cooked Kidney bean and Soybean)

  • 김정교;도 변독;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4-170
    • /
    • 1987
  • 강남콩과 대두를 삶아 분리한 고물의 미세구조를 광학 현미경 및 SEM으로 조사하고 그 화학조성과 조직감 특성을 비교하였다. 강남콩 고물의 경우 각각의 세포가 잘 분리되었으나 대두 고물은 여러개의 세포가 결학된 덩어리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SEM 사진에 의하면 강남콩 고물을 구성하는 세포는 구형이었으나 대두 고물의 구성세포는 긴 자루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펙틴질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는 대두 고물의 경우 높은 접착성과 응집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