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Contents

검색결과 2,505건 처리시간 0.025초

공무원들의 지식콘텐츠 획득 현황과 방안 (Knowledge Contents Acquisition in Public Organizations)

  • 이향수;이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15-322
    • /
    • 2011
  • 유형 또는 무형의 지식콘텐츠는 공사부문을 막론하고 모든 조직에서 중요한 전략적 자원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지식콘텐츠의 획득활동은 조직성과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자원의 유입을 의미하며, 또한 획득 활동을 기반으로 공유나 활용 등의 기타 지식활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부조직의 지식콘텐츠 획득활동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통해 공무원들의 개별적 특성과 지식콘텐츠 획득활동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방정부 공무원들의 지식콘텐츠 획득활동정도는 보통수준이며, 형식적이며 소극적인 지식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조직 지식콘텐츠 획득활동에 있어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디지털콘텐츠 프레임워크와 혁신확산기반 지식콘텐츠 모델과 지식관리지수 (A Study on the Knowledge Contents Mdel and KMI based Digital Contents Framework and Diffusion of Innovation)

  • 장우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9-381
    • /
    • 2002
  • 21세기 무한경쟁의 시대에 지식을 창조, 획득하고 관리하는 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 즉 모든 지식정보자원을 디지털화한 디지털지식콘텐츠를 누가 많이 확보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할 것이다. 여기에서 핵심적인 미래산업이 될 디지털콘텐츠 산업발전 조성과 그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콘텐츠관리와 유통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문적 연구와 현장조사를 토대로 디지털콘텐츠 프레임워크와 혁신확산을 기반으로한 지식콘텐츠 의사결정과 단계적 모델, 지식관리매트릭스와 지식관리지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식정보체계 (Knowledge Hierarchy for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 김상헌;김나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711-722
    • /
    • 2011
  •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창조 기반으로서 지식정보의 계층구조를 논하였다. 지식정보는 자료, 정보, 지식, 지혜의 계층구조를 가지며, 학술논문, 연구보고서, 고문헌등의 디지털 자원과 문화유산을 포함 지식콘텐츠로 표현된다. 문화콘텐츠는 역사학이나 민속학 등 인문학의 지식과 문화 자원들이 가진 잠재적, 원형적 가치에 창조성과 실용성을 가미하여 만들어낸 산출물이다. 이 과정에서 지식콘텐츠는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공유 소통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식콘텐츠의 구성과정은 자료-정보-지식-지혜로 이어지는 지식정보의 계층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역사분야의 지식정보화 사업을 중심으로 문화유산으로부터 콘텐츠 개발 현황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지식정보화와 문화콘텐츠 개발이 별개의 과정이 아니라 상호 협력하고 공생해야 하는 연속적인 과정임을 밝혔다. 이 결과로 문화유산이 지식정보로 정리되고 문화콘텐츠 창조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도서관 자원관리의 변화와 웹기반 멀티미디어 지식컨텐츠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in Library Resources Management and Scheme of Web-based Multimedia Knowledge Contents Management)

  • 문경화;남태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1-14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멀티미디어 정보환경에서 자원관리 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도서관의 장서관리가 지식컨텐츠관리로 변화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효율적인 웹 컨텐츠관리는 개인별 맞춤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이용자 만족을 최대화 할 수 있다. 특히, 메타브라우징 방식을 이용한 컨텐츠 맞춤화 서비스는 이용자 개인이 일하는 핵심컨텐츠만을 집중 서비스함으로서 이용자 만족의 극대화에 기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이 이용자의 만족을 강화하기 위한 웹 기반 멀티미디어 지식컨텐트 관리방안에 대해서 관리요소와 서비스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 PDF

듀이의 활동중심 탐구과정에 담긴 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통합 (Exploring the Integr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in Dewey's Activity-based Inquiry Process)

  • 권정선;허경섭;김회용
    • 교육철학
    • /
    • 제52호
    • /
    • pp.81-10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ritically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n knowledge uncombined with our lives and to explore directions for the integr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n practical knowledge. For this, firstly,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Traditionalism and Progressivism as exclusively opposite approach to education, in particular, the aspect of contents and methods. Next, it explored to define Dewey's activity-based inquiry process. Finally, it show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could not be separated in Dewey's activity-based inquiry process. As a result,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in educational practice were experiences as things integrated. Therefore, knowledge for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s meaningful results that learners have experienced. Once the learners recognize the value and meaning of knowledge, they will be able to internalize the genuine knowledge, moreover they will be self-directed learners. In other words, if learners could discovered their own meaning and value of knowledge in the inquiry process, they have sustainable needs, trying to be involved in the new process based on the knowledge they earned.

금융기관의 지식정보콘텐츠관리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Knowledge & Information Contents Management of the financial Institution)

  • 장우권;김현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44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지식정보콘텐츠가 어떻게 생성되고 관리되는지를 실증적 접근으로 현장조사와 그에 대한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의 은행에 대한 연구영역은 1)고객, 2)정보자료실, 3)문서관리(기록관리)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1)고객에 대한 지식정보콘텐츠는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나, 분류체계의 통일성 결여로 체계적인 지식정보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2)정보자료실에 대한 인식의 결여로 이용의 문제, 정보콘텐츠 생산과 활용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3)지식정보공유와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이유는 조직구성원의 지식정보공유의 인식결여와 문서관리와 정보자료실이 별개라는 인식의 결과였다. 이에 대한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온라인 글쓰기 콘텐츠가 대학생의 학습전략, 성취동기, 지식공유태도에 미치는 영향: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online writing contents on the learning strategy, achievement motivation, knowledge sharing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차승봉;박혜진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12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online writing contents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strategy, achievement motivation, and knowledge sharing attitudes. Online writing contents were developed in the 4th class and operated as a extracurricular. The contents were developed in 25 minutes and included quizzes for learning activities. Changes in learning strategy, achievement motivation, and knowledge sharing attitude were analyzed for 149 students who finally completed online writing contents operated as a extracurricula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line writing cont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strategy, achievement motivation, and knowledge sharing attitude. Online contents is not limited by time and space, and since i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learning plan, the utilization effect is attracting at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studies such as developing contents tailored to the needs of students and analyzing their effects.

초등 과학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성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x Education Contents Available to Elementary Science Class)

  • 유태양;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13-21
    • /
    • 2010
  • This study reflects the demand of content elements related to "Human Reproduction"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verifies its effec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sex education contents available to elementary science class. The developed contents is composed of three sections in reference to the contents guideline for teachers. The contents include anatomical knowledge related to human reproduction and reflect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sex ethics. The first section: "How was I born?", second section: "Amazing changes in my body" and third section: "Healthy body, healthy mind."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changes in sex knowledge and attitude after applying the content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class. Thus, the developed contents made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in elementary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of human reproduction. However, it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contents by the grade and gender. In conclusion, if the sex education content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ctively applied, it is expected to provide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knowledge of the anatomic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ts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and responsibility for sex ethic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o be used as effective education programs and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 PDF

Patented Knowledge And Its Commercialization

  • Jeong, Eui Ky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2호
    • /
    • pp.38-47
    • /
    • 2013
  • We examine whether the attributes of patented knowledge have any impact on its chances of commercialization.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the scope and cumulativeness of patented knowledge would positively affect the likelihood of its commercialization.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patents data on the US biotechnology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We found support for the prediction that the scope of patented knowledge increases the likelihood of commercialization, but we didn't find support for the cumulativeness aspect.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irms that develop patentable knowledge, license-out patents, license-in patents from external sources, or debate about patenting strategy.

지식의 구조 재음미 : 통합적 지식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considered : Integrated Knowledge)

  • 안효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361-37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 of new curriculum which has always problems even though it is revised repeatedly and to propose an fundamental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study, the cause of these problems considered the wrong point grasping th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s. In other words, the 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s is understood as the point of utility rather than the curriculum are constructed as the form reflecting nature of knowledge. According to do this, Bruner's structure of knowledge is of help. The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is well known existing is understood as manifest aspect but from now on, we have to be concerned about tacit aspect.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knowledge has characteristics as an integrated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