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Library Linked Dat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초

Deploying Linked Open Vocabulary (LOV) to Enhance Library Linked Data

  • Oh, Sam Gyun;Yi, Myongho;Jang, Wonghon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3권2호
    • /
    • pp.6-15
    • /
    • 2015
  • Since the advent of Linked Data (LD) as a method for building webs of data,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apply and implement LD in various settings. Efforts have been made to convert bibliographic data in libraries into Linked Data, thereby generating Library Linked Data (LLD). However, when memory institutions have tried to link their data with external sources based on principles suggested by Tim Berners-Lee, identifying appropriate vocabularies for use in describing their bibliographic data has proved challenging.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otential role of Linked Open Vocabularies (LOV) in providing better access to various open datasets and facilitating effective linking. The paper will also examine the ways in which memory institutions can utilize LOV to enhance the quality of LLD and LLD-based ontology design.

편목의 관점에서 본 링크드 데이터: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Linked Data in Library Cataloging)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71-95
    • /
    • 2019
  • 이 연구는 링크드 데이터로의 이행(移行)이 이미 시작된 상황에서, 우리 도서관목록의 체질 개선과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강화를 위해 링크드 데이터에 어떻게 접근하여 전략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편목의 관점에서 링크드 데이터 모델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2) 링크드 데이터와 관련한 지금까지의 성과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미(歐美) 도서관계의 내밀한 경험과 노력을 추적해 가면서 (3) 향후 링크드 데이터 모델로의 체제 전환을 위해 우리가 검토하고 준비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처럼 이 연구는 링크드 데이터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우리 도서관계에서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웹 환경에서 도서관이 상생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도서관 링크데이터(Library Linked Data) 현황분석과 통합 LLD 설계 및 확산방향에 대한 고찰 (Analyzing Current State of Library Linked Data, Designing an Integrated LLD, and Thoughts on Ways to Expand LLD)

  • 오삼균;김성훈;장원홍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1-35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래 W3C의 특별 작업반 형태로 운영되어 온 도서관 링크데이터(LLD : Library Link Data) 관련 국제 활동상황을 분석하고, LLD가 도서관 서비스에 미칠 혜택을 사례연구를 통해 우선 숙고한 후, 보다 의미 있는 LLD를 위한 글로벌 식별체계, 이용 가능한 어휘와 데이터셋의 연결 문제 및 RDF, SKOS, Microformats, RDFa 등의 LLD 적용 방안을 논하는 것이다. 아울러 LLD 수용 및 LLD 기반 신 정보서비스 구축의 장애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분석의 바탕 위에 LLD 기반 신 디지털정보시스템 설계 및 LLD 확산을 위한 권고사항을 제시한다.

링크드 데이터에서 인물 정보의 식별 및 연계 범위 확장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링크드 데이터를 중심으로 (Expanding the Scope of Identifying and Linking of Personal Information in Linked Data: Focusing on the Linked Data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 이성숙;박지영;이혜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7-2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링크드 데이터를 대상으로 인물 정보가 표현되고 연계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는 링크드 데이터에서도 인물을 표현하는 어휘와 연계되어 기술되고 있는 반면에, 주제로 표현된 인물은 개념으로만 취급되고 있었다. 또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과정에서 기존의 전거 정보를 변환한 것 외에는 별도의 부가 정보를 추가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뿐 아니라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도 서지 정보에 포함시키고, 저자로서의 인물정보와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를 연계할 때 링크드 데이터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인물과 관련된 부가 링크 정보를 함께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지데이터 검색의 접근점을 확장하는 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링크드오픈데이터 기반 스마트 라이브러리의 참조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ference Model of Smart Library based on Linked Open Data)

  • 문희경;한성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666-1672
    • /
    • 2016
  • 최근 스마트 기술이 다양한 정보시스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기존 도서관 서비스 분야는 디지털도서관을 넘어 스마트 도서관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환경에서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 그리고 사용자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도서관 서비스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요구된다. 기존 도서관 서비스는 서로 다른 이기종의 도서관 시스템간의 의미적 상호운용성이 저해되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콘텐츠 제공과 시스템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서비스의 통합에 중점을 두어 미래 도서관 시스템의 원형으로 링크드오픈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라이브러리 제안한다. 링크드 오픈데이터 기반 스마트 라이브러리는 첨단 정보기술이 모여진 혁신적인 시스템이다. 우리는 링크드오픈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 라이브러리를 위한 다양한 요구사항에 따라 시스템 환경을 설계하였다. 이용자의 요구사항과 정보기술의 에코시스템을 고려하여 스마트 라이브러리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또한 기능적 요구사항을 수용하고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스마트 지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참조 프레임워크를 보여준다.

링크드 데이터 기반 근대문학자료의 서비스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Method of Modern Literature Based on Linked Data)

  • 박진호;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5-24
    • /
    • 2021
  •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근대문학자료 서비스를 중기 및 장기적으로 링크드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하여 서비스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근대문학자료 서비스를 단순히 현재의 기술적 트렌드인 링크드 데이터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외부의 다양한 데이터, 정보원과 지속적인 연결관계를 갖고 자동화된 기계처리가 가능한 고품질의 원천데이터를 만들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근대문학자료의 서비스 활성화와 유관기관과의 효율적인 데이터 연계를 해결하기 위해서 링크드 데이터를 채택한 해외의 다양한 도서관 및 서지 서비스 사례들을 먼저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검토한 시사점을 기반으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관리, 이용자서비스 관점에서 근대문학자료 서비스의 개편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기록물 전거통제 기반 Linked Data 구축에 대한 연구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Linked Data from Authority Data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 박옥남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Linked Data Cloud를 위한 단계로 국가기록원 전거데이터 셋을 Linked Data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 전거 데이터의 구조 및 검색시스템을 분석한 후, 전거데이터 셋을 RDF/OWL로 모델링하는 과정을 거쳐 Linked Data로 구축하였다. 또한 기록물의 Linked Data화를 위해 Dublin Core, SKOS(Simple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를 활용하였고 온톨로지 설계도구로 TopBraid Composer TM을 사용하였다. 구축된 RDF/OWL 데이터는 시각화화면을 통해 전거데이터의 자유로운 확장, 전거데이터 용어간의 탐색, 용어의 상세 전거데이터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기록물과 연계를 통해 기존 기록물 검색에서 한계로 지적되었던 기록물과 전거데이터간의 연계의 부족을 보완하였다.

ISNI Korea 컨소시엄의 저작권 권리 단체 데이터 공동 활용을 위한 기술요소 도출 연구 (A Study on Derivation of Technical Elements for Joint Use of Copyright Rights Group Data by ISNI Korea Consortium)

  • 박진호;곽승진;이승민;오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79-392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인명, 단체명에 대한 등록 책임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운영중인 ISNI Korea 컨소시엄의 데이터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요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ISNI Korea 컨소시엄의 경우는 서지 관련 개인, 단체명 정보 외에 다양한 창작물 관련 정보 등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제공기관 협의체인 ISNI Korea 컨소시엄인 저작권 단체의 메타데이터 현황과 ISNI의 링크드 데이터 명세서를 검토하여 향후 필요한 기술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메타데이터 측면에서는 데이터 입수, 정제, 저장, 식별자 관리, 컨소시엄 메타데이터 관리로 총 5개, 링크드 데이터 관점에서 RDF 데이터 관리(저장소), RDF 데이터 발행, RDF 데이터 검색, RDF 데이터 조회, RDF 데이터 다운로드, 온톨로지 조회, 표준용어 조회, 매핑 정보 관리 총 8개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BIBFRAME 구축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Analyzing BIBFRAME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BIBFRAME Application Plans in Korea)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9-78
    • /
    • 2018
  • 본고는 링크드데이터를 위한 도서관 분야의 온톨로지 BIBFRAME 개발에 따라 국내에서 BIBFRAME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사례조사로 BIBFRAME을 개발한 미의회도서관과 BIBFRAME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LD4P를 분석하고, 설문조사에서는 국내 목록사서를 대상으로 링크드데이터 관련 용어의 이해도, 링크드데이터 구축을 위해 필요한 조건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BIBFRAME을 도입하기 위한 적용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이름전거, 주제명 등의 기존 전거데이터를 링크드데이터로 출판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서관에서 통제어휘로 사용하거나 데이터 값으로 사용하는 용어집도 링크드데이터로 생성해야 한다. 둘째, 국내에서 BIBFRAME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확장 모델링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KORMARC과의 매핑 테이블 작성과 변환기 및 입력기의 시스템 개발도 요구된다. 셋째, BIBFRAME과 같은 링크드데이터 구축이 사서의 고유 업무가 될 수 있도록 사서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BIBFRAME 구축을 위한 실질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