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Linked Data

검색결과 793건 처리시간 0.027초

기록물 전거통제 기반 Linked Data 구축에 대한 연구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Linked Data from Authority Data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 박옥남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Linked Data Cloud를 위한 단계로 국가기록원 전거데이터 셋을 Linked Data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 전거 데이터의 구조 및 검색시스템을 분석한 후, 전거데이터 셋을 RDF/OWL로 모델링하는 과정을 거쳐 Linked Data로 구축하였다. 또한 기록물의 Linked Data화를 위해 Dublin Core, SKOS(Simple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를 활용하였고 온톨로지 설계도구로 TopBraid Composer TM을 사용하였다. 구축된 RDF/OWL 데이터는 시각화화면을 통해 전거데이터의 자유로운 확장, 전거데이터 용어간의 탐색, 용어의 상세 전거데이터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기록물과 연계를 통해 기존 기록물 검색에서 한계로 지적되었던 기록물과 전거데이터간의 연계의 부족을 보완하였다.

Deploying Linked Open Vocabulary (LOV) to Enhance Library Linked Data

  • Oh, Sam Gyun;Yi, Myongho;Jang, Wonghon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3권2호
    • /
    • pp.6-15
    • /
    • 2015
  • Since the advent of Linked Data (LD) as a method for building webs of data,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apply and implement LD in various settings. Efforts have been made to convert bibliographic data in libraries into Linked Data, thereby generating Library Linked Data (LLD). However, when memory institutions have tried to link their data with external sources based on principles suggested by Tim Berners-Lee, identifying appropriate vocabularies for use in describing their bibliographic data has proved challenging.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otential role of Linked Open Vocabularies (LOV) in providing better access to various open datasets and facilitating effective linking. The paper will also examine the ways in which memory institutions can utilize LOV to enhance the quality of LLD and LLD-based ontology design.

Linked Legal Data Construction and Connection of LOD Cloud

  • Jo, Dae Woong;Kim, Myung 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1-18
    • /
    • 2016
  • Linked Data is a web standard data definition method devised to connect, expand resources with a standardized type. Linked Data built in various areas expands existing knowledge through an open data cloud like LOD(Linked Open Data). A project to link and service existing knowledge through LOD is under way worldwide. However, LOD project in domestic is being participated in a specific field to the level of research. In this paper, we suggests a method to build the area of technical knowledge like legislations in type of Linked Data, and distribute such Linked Data built to LOD. The construction method suggested by this paper divides knowledge of legislations in structural, semantic, and integrated perspective, and builds each of them by converting to Linked Data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Also, such built Linked Legal Data prepares to link knowledge in a standardized type by distributing them onto LOD. Built Linked Legal Data are equipped with schema for link service in various types, and give help increase understand the access type to existing legal information.

편목의 관점에서 본 링크드 데이터: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Linked Data in Library Cataloging)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71-95
    • /
    • 2019
  • 이 연구는 링크드 데이터로의 이행(移行)이 이미 시작된 상황에서, 우리 도서관목록의 체질 개선과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강화를 위해 링크드 데이터에 어떻게 접근하여 전략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편목의 관점에서 링크드 데이터 모델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2) 링크드 데이터와 관련한 지금까지의 성과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미(歐美) 도서관계의 내밀한 경험과 노력을 추적해 가면서 (3) 향후 링크드 데이터 모델로의 체제 전환을 위해 우리가 검토하고 준비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처럼 이 연구는 링크드 데이터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우리 도서관계에서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웹 환경에서 도서관이 상생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링크드 데이터에서 인물 정보의 식별 및 연계 범위 확장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링크드 데이터를 중심으로 (Expanding the Scope of Identifying and Linking of Personal Information in Linked Data: Focusing on the Linked Data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 이성숙;박지영;이혜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7-2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링크드 데이터를 대상으로 인물 정보가 표현되고 연계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는 링크드 데이터에서도 인물을 표현하는 어휘와 연계되어 기술되고 있는 반면에, 주제로 표현된 인물은 개념으로만 취급되고 있었다. 또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과정에서 기존의 전거 정보를 변환한 것 외에는 별도의 부가 정보를 추가했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자로서의 인물 정보뿐 아니라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도 서지 정보에 포함시키고, 저자로서의 인물정보와 주제로서의 인물 정보를 연계할 때 링크드 데이터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인물과 관련된 부가 링크 정보를 함께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지데이터 검색의 접근점을 확장하는 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국내 언론사 보건의료 뉴스의 Linked Open Data 구축 (Linked Open Data Construction for Korean Healthcare News)

  • 장종선;조완섭;이경희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9-89
    • /
    • 2016
  • 언론사들은 링크드 데이터(Linked Data) 기술을 활용하여 누적된 지적자산으로부터 새로운 가치를 찾는 노력을 하고 있다. 최근 들어 세계적인 언론 매체인 BBC에서는 링크드 데이터 모형을 이용해 자사의 뉴스 기사 가치를 지속해서 향상시키고 있다. 국내 인터넷 신문사들도 누적된 기사를 재활용하고, 이들로부터 새로운 가치를 찾아 뉴스 기사의 가치를 지속해서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건의료 관련 뉴스를 대상으로 링크드 데이터를 구축하는 연구를 소개한다. 기사문에서 보건의료와 관련된 개체명을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공개된 다른 정보들과 연결하며, 구조화하여 링크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구의 결과는 무분별하게 쌓여있는 뉴스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공개된 다른 정보들과 연결함으로써 기존에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인사이트를 찾는 기회를 제공하고, 뉴스 데이터가 재활용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PARQL 질의 언어를 이용하여 뉴스 데이터를 대화식으로 탐색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Linked Data 연계를 위한 SKOS 기반 용어 온톨로지 모델링 (Term Ontology Modeling for Linked Data using SKOS)

  • 김평;이승우;서동민;정한민;성원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6-458
    • /
    • 2010
  • 시맨틱 웹은 인간 중심의 데이터 표현을 위한 HTML 기반의 기존 웹과는 달리, 웹에서 데이터의 의미를 표현함으로써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상호 교환을 통한 데이터 통합, 재사용성 증대, 기계에 의한 자동화된 처리를 가능하게 해준다. 온톨로지는 데이터의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식별자(URI) 기반의 리소스 명명을 통해 데이터의 의미를 표현하며, Linked Data는 RDF 형식의 데이터 간 링크를 통해 웹 데이터 간의 연계 및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용어 정보의 효과적인 공유 및 연계를 위한 방법으로, SKOS 기반 용어 온톨로지 모델링을 통해 용어 정보가 Linked Data에 연계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 PDF

A linked data system framework for sharing construction defect information

  • Lee, Doyeop;Park, Chansi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32-235
    • /
    • 2015
  • Defect data contains experiential knowledge about specific work conditions. And the number of projects performed by a company is too limited for an individual to experience the various defects under the current complex construction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manage and prevent a reoccurrence of defects, a proper data feedback mechanism is required. However, most defect data are stored in unstructured ways, resulting in the fundamental problem of data utilization. In this paper, a new framework is proposed by using linked data technologies to improve defect data utilization. The target of this framework is to convert defect data to the ontology-based linked data format for sharing defect data from different data sources. To demonstrate it, some technical solutions are implemented by using real cases. The proposed approach can reduce data search time and improve the accuracy of search results as well. Moreover,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applied to other domains that need to refer to external sources such as safety, specification, product, and regulation.

  • PDF

Fully connecting the 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 and Informatics (OHDSI) initiative with the world of linked open data

  • Banda, Juan M.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7권2호
    • /
    • pp.13.1-13.3
    • /
    • 2019
  • The usage of controlled biomedical vocabularies is the cornerstone that enables seamless interoperability when using a common data model across multiple data sites. The 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 and Informatics (OHDSI) initiative combines over 100 controlled vocabularies into its own. However, the OHDSI vocabulary is limited in the sense that it combines multiple terminologies and does not provide a direct way to link them outside of their own self-contained scope. This issue makes the tasks of enriching feature sets by using external resources extremely difficult. In order to address these shortcomings, we have created a linked data version of the OHDSI vocabulary, connecting it with already established linked resources like bioportal, bio2rdf, etc.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enabling the interoperability of resources previously foreign to the OHDSI universe.

도서관 링크데이터(Library Linked Data) 현황분석과 통합 LLD 설계 및 확산방향에 대한 고찰 (Analyzing Current State of Library Linked Data, Designing an Integrated LLD, and Thoughts on Ways to Expand LLD)

  • 오삼균;김성훈;장원홍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1-35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래 W3C의 특별 작업반 형태로 운영되어 온 도서관 링크데이터(LLD : Library Link Data) 관련 국제 활동상황을 분석하고, LLD가 도서관 서비스에 미칠 혜택을 사례연구를 통해 우선 숙고한 후, 보다 의미 있는 LLD를 위한 글로벌 식별체계, 이용 가능한 어휘와 데이터셋의 연결 문제 및 RDF, SKOS, Microformats, RDFa 등의 LLD 적용 방안을 논하는 것이다. 아울러 LLD 수용 및 LLD 기반 신 정보서비스 구축의 장애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분석의 바탕 위에 LLD 기반 신 디지털정보시스템 설계 및 LLD 확산을 위한 권고사항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