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th Edi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5초

KDC 제6판 건축학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방안 (A Study on Improvements of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Fields in the 6th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김송이;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27
    • /
    • 2014
  • 한국십진분류법(Korea Decimal Classification) 5판에서는 건축학 분야가 건축공학과 건축술이라는 두 항목으로 나뉘어 분류되었으나 2013년 6판에서는 '건축, 건축학'으로 통합되었다. 본 연구는 KDC 5판과 KDC 6판의 비교 분석과 DDC, NDC, UDC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개정된 KDC 6판의 건축학 분야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 십진분류법과의 비교 분석결과 건축학은 항목 통합으로 인한 재분류의 필요성, 이전보다 길어진 건축사 분류번호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한국 전통 건축에 대한 분류 전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KDC 제5판의 주기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tes Analysis of KDC 5th Edition)

  • 정옥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7-228
    • /
    • 2011
  • 분류표에서 주기는 분류항목과 기호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분류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향상시켜 준다. KDC에서도 여러 가지 유형의 주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학문의 진전과 확대를 따르기에는 주기의 이용이 상당히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KDC에 적합한 주기유형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KDC의 주기유형의 변천과 DDC23판, NDC신정9판, KDC5판의 서문에 제시하고 있는 주기를 분석하고, 각 분류표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주기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여 KDC5판의 주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DC 제5판 철학류 항목 전개에 관한 소고 (An Analysis of the Class 'Philosophy' in the 5th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 강순애;김형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5-80
    • /
    • 2009
  • 이 논문은 KDC 제5판에서 개정된 철학류의 항목들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기존의 KDC 제1판부터 제4판까지 철학분류에서는 어떤 내용들이 전개되고 개정되고 변화되어왔는지 항목별로 비교한 결과 일부 용어의 변경이나 분류기호의 이동, 항목의 신설 및 삭제가 있긴 했지만 KDC 제1판의 기본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KDC 제5판에서는 형이상학과 인식론을 수정 전개하여 동위항목으로 배정하였고, 심리학 중에서는 자료가 늘어나는 양성심리, 발달심리, 상법 운명판단, 응용심리학을 확장 전개하였으며, 윤리학 도덕철학부분을 수정 전개하는데 역점을 두어 살펴본 것이다.

KDC 예술류(600) 분류항목전개의 변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Expansion of Classification Number of the Arts in KDC)

  • 정옥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09-122
    • /
    • 2010
  • 본 연구는 KDC 예술류의 분류항목의 전개가 초판에서 5판까지 개정되는 동안 어떻게 변천되었는지를 분석하여 KDC 예술류의 분류항목전개의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KDC 초판에서 5판까지 예술류에 사용된 용어의 변천, 보조표 및 주기의 변천과 분류항목전개의 변천을 분석하였다. KDC의 예술류는 3판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며, 분류항목전개의 변화는 4판과 5판에서 많이 이루어졌으나, 전판의 오류와 문제점이 완전히 개선되지는 않았으며, 포함주가 많아 분류항목의 전개가 다른 분류표보다 빈약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도서관분류법 제5판의 특성 분석 (Feature Analysis of Chinese Library Classification(5th Edition))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79-100
    • /
    • 2012
  • 중국도서관분류법(中國圖書館分類法)(CLC: Chinese Library Classification)은 중국에서 가장 널리 통용되는 국가 표준분류법으로 1975년에 초판을 발행한 이래 2010년에는 제5판을 출판함으로써 약 9년마다 개정을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CLC의 성립배경과 발전과정 그리고 제5판의 특성과 개정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과 문화적으로 오랜 관련성을 유지해온 중국의 대표적인 분류법을 고찰하고 한국십진분류법(KDC) 전개에 참고할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KDC 제5판 건축공학분야 분류체계 개선 방안 (The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DC 5th Edition of Architecture Engineering Classification System)

  • 김연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01-425
    • /
    • 2009
  • 이 연구는 건축공학 분야의 학문체계와 KDC, DDC, LCC의 분류체계 및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분야분류표의 건축공학 분야의 분류체계에 대해 비교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KDC 건축공학 분야의 분류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KDC 제5판의 건축공학 분야는 학문발전의 추세를 반영하는 분류항목의 추가, 건축구조공학 분야의 등위류 분류용어의 적절한 전개, 세부 주제의 추가 전개, 적절한 분류용어의 선택, 분류기호, 영문표기의 오류, 분류항목의 상관색인 누락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KDC 제5판 교육학분야 분류체계 개선 방안 (The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DC 5th Edition of Education Classification System)

  • 김연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33
    • /
    • 2010
  • 이 연구는 교육학 분야의 학문체계와 KDC, NDC, DDC, LCC의 분류체계 및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분야분류표의 교육학 분야의 분류체계에 대해 비교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KDC 교육학 분야의 분류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KDC 제5판의 교육학 분야는 학문발전의 추세를 반영하는 분류항목의 추가, 교육학 세부 영역의 등위류 분류용어의 적절한 전개, 세부 주제의 추가 전개, 분류기호의 오류 및 분류항목의 상관색인 누락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기독교 분야 내부보조표 설정에 관한 연구 -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uilding Internal Tables in Christianity of the 5th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정유나;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5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의 기독교 분야에 내부보조표를 설정하여 체계적이고 상세한 전개가 가능하도록 분류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독교의 학문적 범주와 분류체계 분석, 내부보조표에 대한 분석, 이를 바탕으로 한 내부보조표의 설계 및 적용 후 평가를 수행하였다. 학문적 범주를 설정하기 위해 기독교 개론서의 목차를 분석하였으며 분류표 개발을 위해 DDC, UDC, NDC, LCC, 유니온 신학분류법, 한국교회문헌분류법의 분류체계와 내부보조표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성경, 설교, 예배, 교회사 분류항목의 신설과 내부보조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도서관의 실무자와 학계 전문가에게 평가받고 수정 보완하였다. 이러한 내부보조표의 설정은 상세 분류를 통해 검색의 효율성을 높이고 향후 다른 분야의 내부보조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한국십진분류법 역사(900) 분야 개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vision of the History Class(900) for the KDC 6th Edition)

  • 곽철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9-16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십진분류법(KDC) 제5판"이 발간됨에 따라 역사(900) 분야에 대한 개정된 내용을 조사 분석하여, "한국십진분류법(KDC) 제6판"의 개정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주요 분석 내용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지역구분에 대한 부분으로 지역구분표의 확장, 지역구분에서 계층구조의 강조, 북한 지역을 행정구역 명칭으로 변경, 외국의 주요 국가에 대해서 세부적인 지역구분, 중앙 및 서남 아시아 국가들의 위치 조정 등이 포함되었다. 둘째, 대한민국의 시대구분을 확장하였다. 셋째, 중국과 일본의 항목 주기를 간소화하였다. 넷째, 용어의 조정으로 중국 및 일본의 지명과 인명을 자국발음으로 변경하였고, 외국 지명에 대해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을 지양하고 원음 그대로 적용하였다. 6판의 개정방향으로 한국지역구분에서 계층구조를 적용한 광역단위 전개, 해당 국가의 수도를 중심으로 한 지역전개, 자국에서 사용하는 지명표기, 시대별 연도구분을 제시하였다.

음식 문화 분야에서 KDC의 변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and Improvements in Food and Culture in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이미화;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7-137
    • /
    • 2010
  • 본 연구는 음식 문화 분야에 관한 한국십진분류법(KDC)의 역사적 발전을 고찰하고 음식 문화의 다양한 주제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KDC를 중심으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KDC 안에 반영된 음식 문화 관련 기호와 항목명의 변천 과정과 더불어 KDC 5판으로 실제 음식 문화 관련 자료를 분류할 때의 문제점을 짚어본 후에 음식 문화 분야를 위한 KDC 5판의 개선 사항을 제시하였다. 음식 문화 분야에 있어서 KDC의 문제점은 분류항목명 및 포함주기의 부족으로 한식 관련 분류항목의 부족과 다양한 국가별 음식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고, 색인 대상 및 구조가 검색하기 어려우며, 주기의 내용이 부족하고, 서양식 분류항목명을 번역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음식체계에 부합하지 않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의 대표적인 분류 체계에 나타난 자국의 음식 문화와 외국의 음식 문화에 대해 비교하면서 분류항목명 및 포함주기의 내용 확장, 색인 대상 및 구조 변경, 주기의 상세화, 서양식 분류항목명의 변경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