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National Library

검색결과 2,088건 처리시간 0.032초

정보의 상호협력을 위한 네트웍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Inter-library Cooperation's Network in the Information of Library Materials)

  • 권기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권
    • /
    • pp.39-60
    • /
    • 197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odel of inter-library cooperation's network in the information of library materials. Results of this study are 1. The YT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Central National I, ibrar:; should be unified. 2. The unified organization should be organized its cooperative quarter for itself (in the Central National Library). .And every library should he organized his quarter and personnel for the inter-library cooperation. 3. The cooperatior, organization in the re~ion should organized by the Regional Central Public Library. 4. In case of the Central National Library, financial problems required of the performance in the inter-library cooperation should he charged equally among the Central National Library, the library belong to the reader and the reader. In case of the regional Central Public Library, it should be charged equally arnozlg the regional Central Public Library, the library belon-g' to the reader and the reader. 5. The Regional Central Public Library in the seat of provincial government should be managed the cooperation's work of the individual library, and upward the unified Central Xarional Library should generalize. 6. The purchase of materials should be done by the character of the each library 1r:ith the assignment of the each subject should be decided in the meeting of the each library personne!. -2nd the budget for purchasing per the year should be decided on the minimum by the circumstances of the each library regionally. 7. The unified Regional Central Public Library in the seat of provincial government should be charged of the Union Catalog's expense regionally, and the Central National Library should be charged of that National Union Catalog's expense to cumulative the Fegional Union Catalog within a definite period of time. 8. Books without presentation of a specimen copy to the unified Central National Library should be purchased, and r.cr 'oe included to the National Union Catalog. 9. The cooperation of the each library should be decided on the law, and considered the character of the each region.

  • PDF

국가도서관 지역분관 건립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nch Establishment Planning of National Library)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1-34
    • /
    • 2006
  •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국가도서관은 정부가 설립 운영하는 국립도서관으로서, 자국에서 생산 유통되는 모든 유형의 정보자료를 수집 보존하여 당대의 국민에게 제공하고. 완벽하게 전수하여 후대의 접근과 이용을 보장해야 하는 책무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문화선진국은 석러 지역에 위치하는 분산형 국가도서관시스템을 운영하는데 비하여 한국은 서울중심의 완전 집중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집중형 국가도서관 시스템을 집중-분산형으로 재편하기 위한 논거를 도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국립 지역분관 건립을 위한 중장기기본계획을 제시하였다.

국가도서관장의 전문성 확보방안 연구 (A Study on Ensur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National Library Director)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87-106
    • /
    • 2011
  • 국가도서관은 자국에서 출판되거나 생산된 모든 중요한 출판물과 디지털 정보를 수집 보존할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장은 도서관 및 정보시스템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직무를 수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역대 국립중앙도서관장은 도서관 및 정보시스템 분야의 전문지식과 관리경력이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개방형 직위제, 책임행정기관화, 정무직화, 특수법인화의 측면에서 국립중앙도서관장의 전문성 강화 내지 확보방안을 제안하였다.

한국 국립대학 도서관의 발전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Policy of 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최정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6권
    • /
    • pp.105-135
    • /
    • 1979
  • This paper is intended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versity libraries in Korea. Nineteen national col-present status of four-year national college and unileges and universities based on a number of faculty member, enrollment, department, library staff, volumes in library, academic journals, book budget and facilities of library, and so we have to improve and develop a kind of problems with which national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are confronted as follows: 1) Establishment of a position for the INFORMATION SPECIALIST. 2) Reorganization of the organization of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y. 3) Securing a position for the EDUCATIONAL RESEARCHER. 4) Upgrading a part of temporary employees. 5) Securing a self-control of library's administration. 6) Revising rules for labor employees in library. 7) Revising a STANDARD STATEMENT FOR ESTABLISHMENT OF UNIVERSITY. (Books and academic journals) 8) ' ( Facilities of library ) 9) Increase of a budget of library and establishing for an article of library budget. 10) Establishment of a new department exclusively responsible for library administration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11) Giving a leading(proper) role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mong the other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12) Establishment of The master course of INFORMATION SCIENCE or THE RESEARCH CENTER FOR INFORMATION SCIENC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 PDF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Bibliographic Control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 정연경;최윤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43
    • /
    • 2010
  • 본 연구는 선진국의 국가대표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지통정 조직 및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서지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서지통정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에서 국립도서관의 정의와 역할, 서지통정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고 사례조사에서는 미의회도서관, 영국 국립도서관,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덴마크 왕립도서관, 한국의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현재 운영 중인 서지 통정 관련 부서의 운영 방안과 주요 업무를 분석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독립적인 서지통정 전담 부서의 설치, 둘째 서지데이터의 고품질화 및 유관 기관과의 협력 체제 강화, 셋째, 서지통정의 제반 연구 기능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네트워크시대 국가도서관의 협력과 미래 정책방향성에 관한 연구 - 국회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Collaboration of National Library and Policy Orientation in Network Era - focused o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

  • 박미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65-489
    • /
    • 2013
  • 본 연구는 국가도서관의 현재 자원들을 정보적, 인적, 공간적 차원에서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협력사업의 정책적 과제와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외국 사례, 국가도서관관련 법령과 국가정책, 관종별 도서관협력과 국회도서관의 자원별 대외협력사업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국가도서관 협력사업의 미래방향으로 가치개발, 특화콘텐츠확보, 해외네트워크 리더십확보 등 세 가지 정책방향성을 제안하였다.

국립세종도서관 핵심역량 및 미래 지향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연구 (A Study on Awareness Survey on Core Competence and Future Orient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윤희윤;오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221-239
    • /
    • 2023
  • 개관한 지 10년을 맞이하는 국립세종도서관은 정책정보 전문도서관으로서의 책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세종시민을 위한 공공도서관 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그럼에도 국립세종도서관이 계속해서 정책정보서비스와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가 적지 않다. 국립세종도서관이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핵심역량과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국립세종도서관의 현주소 및 이해집단의 선행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세종도서관의 현주소를 진단하여 SWOT 분석한 후 정책정보서비스와 관련된 이해집단(국립세종도서관 및 유관 정책기관 직원)을 대상으로 국립세종도서관의 핵심 역할과 정체성, 정책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책정보 특화도서관으로서의 핵심역량 제고 방안과 미래 지향성을 제시하였다.

주요 선진국의 국가도서관시스템 분석 (An Analysis of National Library System of the Major Advanced Countries)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5-31
    • /
    • 2006
  • 이 연구는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이라는 시대적 조류에 편승하여 현재의 '완전 집중형' 국가도서관시스템을 '집중-분산형'으로 재편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과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주요 문화선진국인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을 벤치마킹의 대상으로 삼아 각각의 분산형 국가도서관시스템 구성을 정밀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서는 국가도서관 지역분관 건립을 위한 중장기 기본계획(기본모형, 운영체계 및 역할분담 모형, 자료보존센터 모형 등)을 제시할 것이다.

주요 국가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Library Service Policy for the Disabled Persons in Developed Countries: Focusing on the U.S.A., the U.K., and Japan)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5-240
    • /
    • 2007
  •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장애인은 정보접근과 도서관 이용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국가차원에서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강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미와 일본의 국가도서관을 중심으로 장애인서비스를 위한 법제, 조직체계, 지원시스템 등의 정책을 정밀 분석한 다음에 새로 발족한 국립중앙도서관 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의 위상정립 및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주요 국가의 주제별 국가도서관 체계 및 격차 분석 (Analysis on Systematization and Gap of Subject-based National Libraries in Major Count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69-96
    • /
    • 2009
  • 지난 해 8월 대통령 소속의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가 수립 공표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국가 지식정보 활용을 위한 국가도서관 체계 재정립'이 주요 정책과제의 하나로 포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 및 국내의 주제별 국가도서관 체계를 집중 분석하고 그들의 상대적 격차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과 비교는 후속 연구과제인 '한국 국가도서관의 주제별 체계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논거로 삼는데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