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earth science classroom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3초

지구계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과 지향: 사례연구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about Earth Systems Education: A Case Study)

  • 이정아;맹승호;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07-719
    • /
    • 2007
  • 교육활동에서 교사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지향은 교육의 실천적인 맥락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작동한다. 따라서 과학교사의 지구계 수업에 대한 인식과 지향을 분석하는 것은, 지구계 교육의 목표가 현실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구현될지 가늠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두 명의 과학교사가 작성한 교수 학습계획안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들이 지구계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의 지향을 수업에 대한 일반적 관점과 통합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구계 교육의 궁극적 겨냥점인 '전지구적 과학소양'에 대한 교사의 충분한 이해가 선행될 때 그 취지가 충분히 반영된 지구계 수업이 실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전 지구적 과학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통합을 포함한 다양한 통합의 상(像)이 교사에게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 요구되었다. 아울러 현장에서 지구계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구계 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in Korean Science Classrooms

  • Shin, Myeong-Kyeong;Yager, Robert E.;Oh, Puil-Se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1-73
    • /
    • 2003
  •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Transcripts from Korea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were examined while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on classroom discourse was carried out. When it is assumed that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can be categorized into different patterns by considering together the apparent exchange structures and pedagogical functions, various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were revealed. Although most patterns found illustrate the centrality of the teacher, a few of them are considered alternatives to the typical IRE discourse. A framework for classifying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is suggested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discussed.

Cases of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2-92
    • /
    • 2003
  • This qualitative research describes unique features of seven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Description of excellence in effectiv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will provide some insights into required inservice initiatives and support systems for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1) practicing classroom supervision, (2) participating in voluntary communities of teachers, (3) playing instructional leader roles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4) continuing one's studies at a graduate school. One of the common features of these exemplary teachers was that they can both articulate what makes teachers professionals and practice in accordance with their perspectives. These exemplary teachers not only improved their own classroom practices, but also participated actively in various professional communities to share their practical knowledge with their colleagues. The teachers have formed special-interest groups to investigate better ways of science teaching. They also took an active role in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Teachers' quality practices lie at the heart of classroom change. However, it'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re must be a support system that sustains and encourages teachers' initiatives. The implications for the support system to encourag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are discussed.

고등학교 지구과학 탐구활동에서 학습자의 특성과 상호작용 양식에 따른 반성적 탐구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Reflective Inquiry according to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Modes of Small Group in an Inquiry-based High School Earth Science)

  • 정진우;박미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6-380
    • /
    • 2009
  • 본 연구는 수업의 3가지 맥락(자료, 과제, 역할)에서 학습자의 특성과 그룹의 상호작용에 따른 그룹과 개인의 반성적 탐구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반성적 탐구활동을 위한 소그룹 구성과 교사의 지도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 1개 학급을 선정해서 반성적 탐구활동수업을 실시하고 수업을 녹화 전사해서 언어행동분석틀과 수업상황의 3가지 맥락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학생개인과 그룹의 반성적 탐구는 학생들의 개별특성 그 자체보다는 다튼 학생과 학급에서 어떤 관계를 가지느냐에 더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등학교 과학실험수업의 탐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strument for Assessing Inquiry Level in Secondary School Science Laboratory Classrooms)

  • 이근준;정진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507-518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에서의 실험수업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다. Dana(2001)가 개발한 상황적 실험활동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실험수업의 탐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만들었다.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들과 여러 차례의 협의를 거쳤으며, 15명의 과학교육 전공 대학원생들에게 의뢰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자와 평가자 2인이 3개의 전사된 수업을 읽고 난 후, 함께 녹화된 실험 수업을 보여 수준을 달리 하였을 때 도구의 내용을 수정하는 방법으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평가도구를 4명의 중학교 초임과학교사의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평가도구는 중등학교의 실험수업 탐구수준을 결정하는데 좋은 도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중학교 초임과학교사의 탐구수준은 확인수준과 구조화된 탐구주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A Descriptive Study on Students' Talk During the Presentation of Their Science Projects

  • Oh, Phil-Seok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6-40
    • /
    • 2005
  • Based on the Vygotskian perspective that a learner's thinking is constituted in his or her talk and the assumption that student talk in the classroom may occur in more than one way, this study examined discursive practices of students in Korean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Data came from $11^{th}$ grade earth science classrooms where the Group Investigation (GI) method was implemented. Data source included verbatim transcripts developed from video recordings of class sessions in which students presented their science projects to the whole class and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during the presentations. The analysis of the videotape transcripts revealed five different modes of student talk, including 1) retrieving information, 2) reformulating information, 3) building on one's own experience, 4) elaborating current understanding, and 5) negotiating meanings with others. Considering that each of the five modes had different value for learning science, it was recommended that the teacher should engage students in more active modes of discourse and guide them into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science.

ICT를 활용한 자기 주도적 소집단 협동학습의 효과 - 중학교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n Self-directed small group-cooperative learning using ICT - Focus o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

  • 심기창;김희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1-47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for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information literacy(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between small group-cooperative instruction of ICT practical environment and explanatory instruction using ICT of general classroom in middle school science education. The 138 students(7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 two group, experimental group(68) and controlled group(70). Experimental small group consisted of 5-6 students who had different levels and the ability of each the group was equal. The teaching of experimental group was made in the science lab which was equipped with computers to connect super high-speed Internet. The teaching of control group was made in general classroom. Under these two environment, this study was executed during 10 weeks. As the result, Small group-cooperative learning using ICT was more effective in diminishing the gap of information literacy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small group learning using ICT was also more effective than general classroom instruction.

  • PDF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교수활동에 대한 지향과 실행: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를 중심으로 (Orientations and Execution of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Motivating and Understanding Students)

  • 권홍진;김찬종;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9-301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 중등 과학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대해서 어떠한 지향을 하고 있으며, 그것이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중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미만의 과학 교사 6명이다. 자료 수집은 수업 관찰 및 녹화, 구조화된 심층 면담과 우선순위 면담, 수업 자료를 통해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면담 자료를 전사한 후, 분석틀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임 과학 교사들은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관해 '관리 중심 과학 수업'에서부터 '전통적 과학 수업'까지 지향하고 있었으며, '구성주의적 과학 수업'은 지향하지 못하였다. 지향하는 바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한명의 교사는 전문 단계의 실행 수준을 보여주었지만, 나머지 교사들은 초보 단계의 실행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 교사들에게 동기 유발과 학생 이해에 관한 구성주의적 과학 수업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지구과학에서의 가상 현실의 사용에 따른 예비 과학교사의 학습환경 인식 연구: 시험적 적용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 Earth Science with Using Virtual Reality (VR): An Exploratory Case)

  • 신명경;김희수;김종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9-27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교양지구과학과목을 수강하는 36명의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가상현실(VR)의 사용을 한 차시에 걸쳐 시도하였다. 수업을 하기 전과 후에 구성주의 학습환경 조사(CLES)를 실시하였다. CLES의 주된 초점은 수업이 학생중심 수업환경을 얼마나 잘 보조하고 지원하는가다. 학생의 자신의 수업환경에 대한 사전 및 사후검사는 여섯가지 하위 영역으로 나뉜다.: 학생적절성, 비판적 시각, 교실통제의 나눔, 학생 간의 타협, 과학적 불확정성, 태도이다. 아울러 가상현실에 대한 미래교사의 인식에 대한 설문지도 실시하였다. 미래의 과학교사들이 가상현실 자료를 교실에서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주도의 수업환경을 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수업에로의 변화를 도모하는 것과 같은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측면을 제안하여가상현실의 잠재력에 대한 보다 완벽한 이해를 꾀하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