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unripe peach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산 복숭아 유과의 품종별 항산화 활성 및 미백활성 평가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Korean Unripe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 김경희;김다미;유성률;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6-1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유과 과육의 품종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 과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24~9.95 mg/g의 함량을 나타내며 마도카에서 가장 낮고 몽부사에서 가장 높았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몽부사의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educing power에서의 항산화 실험 결과 역시 몽부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에서는 홍백에서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능을 보였으나 6품종간의 유의적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복숭아 유과과육은 항노화 및 미백활성으로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 물질로 잠재적인 기능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복숭아 유과 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smetic Materials Using Unripe Peaches Seed Extracts)

  • 김다미;김경희;김영식;고종호;이경행;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0-1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유과 씨의 품종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 tyrosinase 저해활성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폴리페놀 화합물과 총 항산화력 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씨의 추출수율을 관찰한 결과, 몽부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20~6.16%의 수율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8.33~27.08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천중도의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활성에서는 용택골드, 천중도백도에서 높은 tyrosinase 저해능을 보였으나, elastase 저해활성에서는 마도카에서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elastase 저해능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활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항산화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 또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복숭아 유과 씨는 항노화, 미백, 주름방지로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 물질로 잠재적인 기능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산 복숭아 유과의 품종별 성분 분석 및 품질특성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nripe Korean Peaches According to Cultivars)

  • 김다미;김경희;최인자;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21-226
    • /
    • 2012
  • 복숭아 유과의 이용 가능성 탐색을 위하여 복숭아 유과과육의 품종에 따른 성분 함량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용택골드, 천중도백도, 마도카, 몽부사, 장택백봉, 홍백)의 외형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마도카가 가장 크고 몽부사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몽부사에서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조단백 함량은 장택백봉 가장 높아 조단백 함량이 가장 낮은 마도카와 유의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지방 및 조탄수화물 함량에서는 품종 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조회분 함량은 마도카에서 0.69%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의 pH를 측정한 결과 다른 품종과 비교하여 천중도백도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당도 실험 결과에서는 홍백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당도를 나타냈다. 색도 중 L값은 장택백봉에서 가장 높았고, a값은 전체적으로 -5 이하의 음의 값을 보이며 홍백에서 가장 높았으며, b값은 마도카에서 가장 높았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의 경도는 홍백, 장택백봉, 천중도백도, 마도카, 용택골드, 몽부사 순으로 전반적으로 백도가 황도에 비해 높은 경도를 보였다. Vitamin C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품종에 따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환원당 함량은 6.34% 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여 가공품 및 식품산업 소재로 사용되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사료되었다. 따라서 현재 복숭아 유과가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전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해 볼 때 산업적 가치가 높다 사료되므로, 복숭아 유과의 기능성 및 생리활성 규명 등을 통한 미이용 폐자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미숙 복숭아의 성분 연구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Unripe Peaches)

  • 이주백;정헌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9-83
    • /
    • 2008
  • 4월 20일과 5월 2일 적과된 미숙 복숭아의 식품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평균중량은 각각 $4{\sim}6g$, $10{\sim}15g$이었다. 유기산 함량은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cir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유기산의 구성비가 변화하였다. 적과시기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에서 arabinose가 검출되었으며, 부위별로 유리당 조성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4월 20일과 5월 2일 과육부 당의 주체는 arabinose와 sucrose이었으며 과피부의 당의 주체는 각각arabinose와 glucose 및 sucrose 이었다.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aspartic acid로서 함량이 가장 높아 전체 아미노산의 $22{\sim}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proline, glutamic acid, serine, leucine, Iysine의 순으로 나타났다 무기물 중 K의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고 다음으로 Ca, Mg, Na 순이었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 장아찌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in Unripe Peaches Jangachi according to Cultivar during Storage)

  • 홍민서;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77-1583
    • /
    • 2012
  • 영양생리학적 활성은 우수하나 전량 폐기 처분되고 있는 복숭아 유과의 이용 증진을 위해 품종별 복숭아 유과로 장아찌를 담아 상온에서 60일간 저장하면서 품질평가(pH, 염도, 당도, 색도, 경도, 효모 및 곰팡이수의 변화,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장아찌의 pH는 모든 품종의 장아찌와 침지액에서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장아찌육의 염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고, 침지액염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모든 품종에서 장아찌와 침지액 모두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색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모든 품종에서 L값은 감소, a값은 증가, b 값은 감소하였다. 경도는 저장 30일까지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였으며, 효모 및 곰팡이 수는 저장기간 동안 2.30~5.55 log CFU/g 범위 내에서 증감을 반복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마도카와 장택백봉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과일 내의 pectin 함량 및 성숙도에 따른 pectin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Chemical and Gelation characteristics of Pectins Obtained from Ripened and Unripened Crabapples)

  • 문수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39
    • /
    • 1981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pectin contents of various fruits(Cherry, strawberry, plum, peach, apricot, apple, crabapple)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operties of pectin and pectin gel during crabapple ripening. Methoxyl content, molecular weight and intrinsic viscosity were measured in ripened and unripened crabapples.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pectin gel, percent sag was measured by exchange Ridgelimeter, hardness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jellies were measured by a penetrometer and a texturometer.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ctin contents of various fruits were 1.16% for cherry, 3.17% fir strawberry, 4.29% for plum, 5.51% for apricot, and pectin contents of peaches and apples varies depends on varieties from 4.54% to 5.61% to 6.52, respectively. The pectin contents of unripened and ripened crabapple wee 9.21% and 9.84%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pectin content increased with fruit maturity. 2. The methoxyl contents, which was 6.61%~6.95%, was very low and i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fruit ripening. Further, a decrease in acetyl content, intrinsic viscosity, molecular weight occurred during the ripening of crabapples. 3. The percent sag of crabapple jellies increased with fruit maturity from 5.26% to 5.79%, and the corresponding jelly grade decreased in ripened crabapple. 4. The hardness of jellies determined by a penetrometer was 79.15 pp.U. for ripened crabapple jelly, 90.62 pp.U. for unripe ned crabapple jelly. 5. In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gels measured by a texturometer, the gels made from unripened crabapple were shown to have the highest values in hardness, cohesiveness, adhesiveness and gummi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