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phenylalanine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4초

Rhodotorula glutinis의 L-Phenylalanine Ammonia-Lyase의 역반응을 이용한 L-Phenylalanine 생성 (Reverse Reaction of L-Phenylalanine Ammonia-Lyase derived from Rhodotorula glutinis for the Production of L-Phenylalanine)

  • Kang, Bong-Kyung;Park, Jin-Young;Kiomin Ch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0-83
    • /
    • 1987
  • Rhodotorula glutinis IFO 0559에서 유래하는 L-phenylalanine ammonia lyase(EC 4. 3. 1. 5)를 이용하거나, 유도된 세포자체를 이용하여 trans-cinnamic acid로부터 L-phenylalanine을 생합성할 때 극단적인 반응액이 미치는 효소 및 세포의 안정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안정제를 첨가한 60%의 glycerol은 효소의 안정화에 효과를 보였으며 trans-cinnamic acid에서 L-phenylalanine으로의 전이율은 80%까지 되었다. 이에 아울러 전이율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wavelength scanning 방법을 개발하였다.

  • PDF

Intrasporangium속 방선균의 Phenylalanine 분지대사 경로의 조절 (Regulation of Phenylalanine Specific Pathway in a Species of Intrasporangium)

  • 조원대;최용진;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8-245
    • /
    • 1988
  • 토양에서 분리 동정한 phenylalanine 생산균인 Intrasporangium속 방선균의 phenylalanine 생합성 분지경로의 대사조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chorismate mutase와 prephenate dehydratase를 부분정제한 결과 chorismate mutase는 prephenate dehydratase와 전혀 별개의 단백질로서 두 종의 isoenzyme, chorismate mutase I (CM I)과 chorismate mutase II (CMII)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CMI은 최종대사산물인 L-phenylalanine, L-tyrosine 및 L-tryptophan에 대해 완전내성을 보였으나 CMII는 1.5mM tyrosine에 의해서 약 50% 활성 저해를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prephenate dehydratase는 0.02 mM phenylalanine 존재하에서 95% 이상의 활성 저해를 나타냈으나 이와 같은 L-phenylalanine 활성 저해효과는 positive effector인 L-tyrosine과 L-methionine에 의해 크게 감소되었다. 또한 chorismate mutase 생합성은 feedback repression을 받지 않는데 비해 prephenate dehydratase는 1mM phenylalanine 존재에 의해 약 94%의 효소합성 저해를 나타냈다. 그러나 5mM tyrosine을 동시에 첨가했을 때는 전혀 저해효과를 인식할 수 없었다. 따라서 Intrasporangium속 방선균 역시 대다수의 다른 미생물 균종과 마찬가지로 phenylalanine 분지 경로에서 prephenate dehydratase에 의해 촉매되는 두번째 반응이 가장 중요한 대사조절 단계가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L-Phenylalanine이 시호 캘러스의 Saikosaponi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Phenylalanine on the Saikosaponin Content of Bupleurum falcatum Callus)

  • 성락선
    • 생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4-358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L-phenylalanine on the saikosaponin content of callus induced from Bupleurum falcatum leaf segments. In the fresh and dry weight of callus, the addition of 2,4-D than L-phenylalanine was significantly effective. However, the L-phenylalanine treatment rather than 2,4-D was effective for high saikosaponin accumulation in the callus of Bupleurum falcatum.

  • PDF

Escherichia coli K-12 대사조절 변이주에 의한 L-페닐알라닌 생산 (L-Phenylalanine Production by Regulatory Mutants of Excherichia coli K-12)

  • 이새배;박청;원찬희;최덕호;임번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4-179
    • /
    • 1990
  • L-Phenylalanine을 대량생산하는 균주를 얻기 위하여 Escherichia coli K-12로부터 여러대사조절 변이주를 분리하였다. MWEC 83은 L-phenylalanine을 7.4 g/l 생산하는 tyrosine, tryptophan 이중 영양요구성 변이주이다. Tyrosine과 tryptop phan의 첨가없이 L-phenylalanine을 생산하기 위하여 MWEC 83으로부터 복기변이주 MWEC 101을 분리하였다. 또한 MWEC 101 균주로부터 여러 analog와 valine 내성주를 분리하였다. MWEC 101-5는 포도당 15%로 배양 54시간에 17.9 g/l의 L-phenylalanine을 생산하는 최고 우량균주이다. MWEC 101-5의 chorismate mutase와 prephenate dehydratase 효소환성은, 효소반응 혼합액 속에 2mM phenylalanine에 대하여 효소활성이 저해되지 않았다.

  • PDF

미생물발효에 의한 L-Phenylalanin생산에 미치는 배지성분의 영향 (Effects of Medium Components on Microbial Production of L-Phenyralsnine)

  • 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6권3호
    • /
    • pp.321-325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매생물발효에 의한 L-phenylalanine생산에 미치는 배지조성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탄소원의 선택은 L-phenylalanine생산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았다. 자당, 포도당, 과당 혹은 그 혼합물을 탄소원으로 사용할때에 비해 당밀을 사용하는 것이 L-phenylalapine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주었다. 최소배시의 사용시 미량의 염류들이 요구됨을 확인하였으나, 과량으로 첨가하면 더이상의 효고는 없었다. 또한 세포의 증식과 아미노산의 생산에 있어 적정량의 biotin과 thiamine이 필요함도 알I 수 있었다. Corynehacterium 균주외에 L.phenylalanine생산주로 알려진 조절기작을 상실한 영양요구성 변이주인 Brev-ihacterium lactofermenticum과 Arthrohacter citreus의 생산능을 조사해본 결과, Corynehacterium에 비해 생산성이 낮았으며 역시 영양요구 성질을 잃어버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Fungi, 이스트, 그리고 streptomyces에서 L-phenylalanine ammonia-lyase의 활성도 비교 (L-phenylalanine ammonia-lyase activity of fungi, yeasts and streptomyces)

  • 장지영;구양모;김공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0-277
    • /
    • 1988
  •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soil (150 strains), fungi (39 strains), yeasts (9 strains) and Streptomyces species (39 strains) were assayed for L-phenylalanine ammonia-lyase(PAL) activity. 17 strains of fungi and 46 strains of soil isolates were proved to produce PAL, Aspergillus panamensis, Penicillium varioti and 11 soil isolates showed comparatively large PAL activity. When PAL activity was assayed with cell-free extracts of these 13 strains and 7 strains of Rhodotorula and Rhodosporidium geni, Rhodosporidium toruloides (IFO 0559) showed the highest PAL activity with 0.333 units per g of the wet cell weight.

  • PDF

배지응고제가 시호캘러스의 Saikosaponin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lling Agents on the Saikosaponin Content of Bupleurum falcatum Callus)

  • 성락선
    • 생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9-365
    • /
    • 1996
  • In order to product the saikosaponin which is one of the secondary product from Bupleurum falcatum efficiently through the tissue culture, several levels of agar and gellan gum as the gelling agent, 2,4-D as the growth regulator, and L-phenylalanine as the precursor were used with single or combination treatment on MS basal medium. Gellan gum was more effective than agar as the gelling agent in fresh and dry weight increase of callus induced from Bupleurum falcatum leaf segment. Gellan gum medium supplemented with L-phenylalanine produced 1.6 times of fresh weight more than that of agar. The fresh weight was remarkably high in gellan gum when the calli was treated with the combination of 2,4-D and L-phenylalanine similar to the single treatment of 2,4-D or L-phenylalanine. However, the saikosaponin content in callus was high in gellan gum with the single treatment of L-phenylalanine. Especially, the saikosaponin content in gellan gum supplemented with 1.0mg/L L-phenylalanine was 2 times(2.4 mg/g) higher than that in agar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2,4-D(0.9 mg/g).

  • PDF

L-페닐알라닌 대량생산을 위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구성 (Construction of Plasmids for Overproduction of L-Phenylalanine)

  • 이새배;박청;원찬희;최덕호;임번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9-173
    • /
    • 1990
  • E. coli를 이용하여 L-phenylalanine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pMW10, pMW11과 pMW 12를 구성하였다. L- Phenylalanine 생산을 위한 유전자 $aroF^{FR}$, $pheA^{FR}$은 E. coli MWEC 101-5 균주로부터 분리하였다.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함유하고 있는 E.coli 대사 조절변이주들의 L-phenylalanine 생산생과 안전성을 조사하여 $aroF^{FR}$, $pheA^{FR}$유전자들의 효율을 알아보았다. MWEC 101-5/pMW 11 균주에서는 24.3 g/I의 L-phenylalanine이 생산되었으나, 플라스미드의 안정성은 73.8%였다. 본 균주의 prephemte dehydratase, 고유 활동도는 E. coli K-12에 비하여 26배 증가된 것이다.

  • PDF

Rhodotorula glutinis IFO 0559에 의한 trans-cinnamic acid로 부터 L-phenylalanine 생산에 미치는 비수용성 유기용매 첨가의 영향 (The effect of nonaqueous organic solvents on the production of L-phenylalanine from trans-cinnamic acid by Rhodotorula glutinis IFO 0559)

  • 이윤동;이왕식;방원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4호
    • /
    • pp.376-381
    • /
    • 1988
  • Rhodotorula glutinis IFO 0559에 의한 transcinnamic acid와 암모니아로부터 L-Phenylalanine 생산의 최적 조건을 검토하였다. L-phenylalanine 생산은 반응액으로 200mM transcinnamic acid, 4M $NH_4OH$, 250mM$(NH_4)_2SO_4$, 0.005% cetylpyridiniurn chloride (pH 10.5), 50mg/m1건조균체를 사용하였을 때 최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비수용성 유기용매중에서 petroleum ether가 가장 효과적인 유기용매이였으며 반응액에 50% 첨가시 가장 효과가 좋았다. 최적 반응조건하에서 12시간 반응후 L-phenylalanine이 21.19생성되었으며, 이때의 trans-cinnamic acid의 전환율은 63.9%이었다.

  • PDF

고페닐알라닌혈증 환아들에게 BH4 부하검사 이전에 시행되는 페닐알라닌 부하의 효과에 대한 고찰 (A Study on Effectiveness of Conventional Phenylalanine Loading before BH4 Loading Test in Children with Hyperphenylalaninemia)

  • 박영천;김강인;이정호;이동환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6-92
    • /
    • 2016
  • 목적: $BH_4$ 부하검사는 PKU와 $BH_4$ 결핍증을 감별하고, PKU 환자 중 $BH_4$ 반응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프로토콜로 페닐알라닌 부하와 $BH_4$ 부하검사는 환자의 편의 및 입원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한 검사방법이다. 하지만 페닐알라닌 부하의 용량이나 부하 후 $BH_4$ 투여시간이 임상적으로 적절한지에 대하여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순천향대학교 소아청소년과 유전대사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 중 100 mg/kg의 페닐알라닌을 복용 후 $BH_4$ 부하검사를 시행한 6명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기존의 페닐알라닌 부하 방법의 효용성을 연구하였다. 방법: 2004년 7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유전대사 클리닉에서 추적관찰하고 있는 총 207명의 환자 중 100 mg/kg의 페닐알라닌을 복용 후 $BH_4$ 부하검사를 시행한 6명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모두 제한식사를 시행하고 있었으며 100 mg/kg의 페닐알라닌을 복용 후 3시간 뒤 20 mg/kg의 $BH_4$를 부하하였다. $BH_4$를 부하한 시점을 Basal로 하여 1, 2, 4, 6, 8, 12, 24시간에 혈중 페닐알라닌 수치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6명의 최고 페닐알라닌 농도의 평균은 $20.0{\pm}11.70mg/dL$ 이었다. 1명은 페닐알라닌 복용 후 7시간 째, 다른 1명은 5시간 째, 나머지 3명은 4시간째에 최고농도에 도달하였다. 3시간 만에 최고 농도에 도달한 환자는 1명이었다. 페닐알라닌 부하 후 페닐알라닌 수치가 $400{\mu}mol/L$ 이상으로 상승한 환자는 6명 중 4명(66%)이었다. 나머지 2명의 환자는 페닐알라닌 수치가 각각 6.1 mg/dL ($366{\mu}mol/L$), 5 mg/dL ($300{\mu}mol/L$)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100 mg/kg의 페닐알라닌 복용 후에 3시간째에 최고 농도에 도달한 환자들은 6명 중 1명(16%)이고 $400{\mu}mol/L$ 이상 페닐알라닌 수치가 올라간 환자는 4명(66%)이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검사 방법으로 페닐알라닌 농도가 $400{\mu}mol/L$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은 환자가 있었고 3시간 보다 더 늦게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페닐알라닌은 200 mg/kg이상 증량하여 복용하고 적어도 페닐알라닌 복용 4-6시간 후에 $BH_4$ loading을 하는 것이 적절한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