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 color spac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7초

On the Consideration of New Color Space for Next Generation Media

  • Park, Du-Sik;Choi, Seo-Young;Lee, Ho-Young;Kim, Yun-Tae;Hong, Ji-Young;Kim, Chang-Yeon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065-1068
    • /
    • 2009
  • The current study introduces a new color space applicable to next-generation media such as UHDTV and 3D-TV systems that are in the middle of development. Display referred approach was taken into account rather than scene referred approach for deriving a new RGB-primary set forming the new color space. The reproducible color range generated by the newly suggested RGB-primary set encompasses almost entire real-world surface colors with a very good efficiency.

  • PDF

색상 군집화를 이용한 입술탐지 알고리즘 (A Lip Detection Algorithm Using Color Clustering)

  • 정종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7-4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색상 군집화를 이용한 입술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RGB 색상 모델로 주어진 입력영상에서 Ada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추출한 후, 얼굴영역을 Lab 컬러 모델로 변환한다. Lab 컬러 모델에서 a 성분은 입술과 유사한 색상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반면 b 성분은 입술의 보색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Lab 컬러로 표현된 얼굴영역에서 a와 b 성분을 기준으로 최단 이웃(nearest neighbour)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피부 영역을 분리한 후, K-means 색상 군집화를 통해 입술 후보 영역을 추출하고, 마지막으로 기하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입술영역을 탐지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강건하게 입술을 탐지함을 보인다.

멀티프라이머리 디스플레이를 위한 3D-LUT 색 신호 분리 방법 (Color decomposition method for multi-primary display using 3D-LUT in linearized LAB space)

  • 강동우;조양호;김윤태;최원희;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6호
    • /
    • pp.9-1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멀티 프라이머리 디스플레이(multi-primary display; MPD)에서 색 재현을 위해 선형 LAB 색공간에서 3차원 took-up-table(3D-LUT)을 이용한 색신호 분리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인간 지각의 3가지 속성을 반영하는 선형 LAB 색공간에서 작성된 MPD 색역의 경계를 적은 용량의 메모리를 가지는 3D-LUT로 작성한다. 이때 색역 경계점의 자극치와 MPD의 색신호의 선형관계를 이용하여 3D-LUT에는 휘도 및 색상에 대한 채도와 색신호 조합이 저장된다. 작성된 3D-LUT에 기반하여 입력 자극치에 대응하는 MPD 색신호를 주변 색역 경계점의 색신호 변화를 고려하여 색역 경계점과 입력의 채도비로 보간한다. 그 결과, MPD 색신호가 연속적 계조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선형 LAB 색공간에서 색역 경계 LUT를 사용하여 연산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MPD의 부드러운 색신호 변화를 유도하였다.

여객선의 선원 작업공간 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lor Design with Passenger Ship's Working Space)

  • 김홍태;박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4-65
    • /
    • 2020
  • 현대화펀드를 통한 여객선 건조 지원을 통해 거주구 실내공간 디자인 수준은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선원이 활동하는 작업공간은 크게 개선되지 않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여객선 선원 작업공간 중 조타실과 기관실의 색채환경을 조사한다. 선박 작업공간 환경의 실내디자인 특수성을 제시하고 이에 맞는 색채환경, 제안하는 색값을 통해 선원의 정신건강 증진과 안전한 근무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있다.

  • PDF

동일인 인식을 위한 컬러 공간의 탐색 및 결합 (Color Space Exploration and Fusion for Person Re-identification)

  • 남영호;김민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782-1791
    • /
    • 2016
  • Various color spaces such as RGB, HSV, log-chromaticity have been used in the field of person re-identification. However, not enough studies have been done to find suitable color space for the re-identification. This paper reviews color invariance of color spaces by diagonal model and explores the suitability of each color space in the application of person re-identification. It also proposes a method for person re-identification based on a histogram refinement technique and some fusion strategies of color spaces. Two public datasets (ALOI and ImageLab) were used for the suitability test on color space and the ImageLab dataset was used for evaluating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for person re-identific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RGB and HSV are more suitable for the re-identification problem than other color spaces such as normalized RGB and log-chromaticity. The cumulative recognition rates up to the third rank under RGB and HSV were 79.3% and 83.6%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fusion strategy using max score showed performance improvement of 16% or mor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some other methods that use single color space in person re-identification.

A Quantitative Measure in Uniform Color Space for Dynamic False Contours on PDP

  • Park, Seung-Ho;Kim, Choon-Wo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2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617-620
    • /
    • 2002
  • Quantitative analysis of dynamic false contours on PDP is essential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lgorithms for false contour reduction. It also serves as an optimization criterion for selecting the subfield pattern. In this paper, a color difference in uniform color space is defined as a new measure for dynamic false contours. Unlike the measures in previous works, it accounts for the channel dependencies among the RGB color channels.

  • PDF

색각 이상자들을 위한 컬러 영역 분할 기반 색 변환 기법 (A Novel Color Conversion Method for Color Vision Deficiency using Color Segmentation)

  • 한동일;박진산;최종호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5호
    • /
    • pp.37-44
    • /
    • 2011
  • 본 논문은 제 1 색각 이상자 (Protanopia)와 제 2 색각 이상자 (Deuteranopia)들을 대상으로 컬러 영역 분할을 이용한 CIE Lab 컬러 공간 혼동선 분리 기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hue 성분을 이용하여 유사한 컬러 정보를 가지는 인접한 픽셀들로 그룹화 하여 영역을 분할한다. 이를 위하여 Region growing 기법을 사용하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seed point는 low pass filter를 거친 hue히스토그램에서 peak점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사용한다. 또한 색각 이상자의 혼동선 Map을 구축하기 위하여 RGB 3차원 공간에 512개의 가상의 박스를 구축하여 같은 혼동선에 존재하는 박스를 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하였다. 이후 분할된 영역들이 같은 혼동선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여 인접하는 모든 영역들이 다른 혼동선에 존재하도록 CIE Lab 색 공간에서 색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색각 이상자들에게 최상의 컬러 구분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학 인테리어 디자인 실습실의 벽면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Planning of University Interior Design Lab)

  • 이주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3-196
    • /
    • 2006
  • The meaning of the color which has from modern interior space has played important role, i.e. color itself Is the concept creation tool as well as the unique expression sphere in field of interior space far away from fixed idea relevant to the existing color which was only simple decoration or secondary element in space. Thus, this current work expresses that the color is related with decoration effect as well as basic designed-conceptual work process including the space is formed. Furthermore, through the side-composition with color, It activates the various space aspect perceptually, which created the colorful environment in using lightning, reflection of glass and penetrated nature etc. The keyword on color concept is as like various aspects, third dimension, non-materiality and symbolical meaning. In addition, it provides the color space equipped with functionality and artistry capable to arouse the diverse sensual capacity to space users on default of color image language.

  • PDF

인지적 색 차이 기반의 이미지 품질 평가 기법 및 왜곡 종류에 따른 평가 시스템 제안 (Perceptual Color Difference based Image Quality Assessment Method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tortion)

  • 이지용;김영진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0호
    • /
    • pp.1294-1302
    • /
    • 2015
  • 현재까지 인간 시각 체계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한 이미지 평가 기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SSIM은 인간의 시각 체계가 이미지의 구조적 정보에 예민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구조적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인간 시각 체계를 만족시키는 평가 기법이다. 하지만 SSIM은 이미지의 색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SI 색 공간을 활용한 SHSIM 기법이 제안되었으나 두 컬러 이미지 간 인지적 색 차이를 충분히 반영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IE Lab 색 공간을 도입하여 대응 되는 픽셀들의 인지적 색 차이를 계산하여 이미지 평가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연구를 더 확장하여, SVM 분류기를 활용하여 왜곡 종류에 따라 최적의 평가 수식을 적용하는 최적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을 평가하기 위해, 이미지 평가분야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LIV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네 종류의 평가 기준들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하는 기법이 다른 기법들보다 인간 시각 체계와 더 상관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위관측기록지 이미지에서 그래프 영역 검출 기법 (The Detection Scheme of Graph Area from Sea Level Measurements Recording Paper Images)

  • 유영중;김영주;박성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555-256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수작업을 최소화하면서 조위 기록지로부터 조위 기록 그래프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가 그래프 상의 하나의 픽셀을 선택하면, 선택된 픽셀과 나머지 픽셀들과의 LAB 색상 공간상에서의 관계를 이용해 자동으로 대부분의 배경 픽셀들을 결정한다. 배경 픽셀들이 결정되면, 각 세로줄에서 그래프 영역으로 판단되는 한개의 픽셀을 추출하고, 이 픽셀을 시작 위치로 하여 나머지 그래프 영역을 추출한다. 실험 결과는 다양한 종류의 조위 기록지로부터 최소한의 수작업만으로 조위 기록 그래프 영역을 검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