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HCP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인삼 Light Harvesting Chlorophyll Protein의 특성 및 엽소병에서 Singlet Oxygen($^1O_2$) Quenching (Characteristics of Light Harvesting Chlorophyll-Protein Complex and Singlet Oxygen ($^1O_2$) Quenching in Leaf-burning Disease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 양덕조;이성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58-164
    • /
    • 1989
  • 인삼엽소병(leaf-burning disease) 원인과 light-harvesting chlorophyll-protein(LHCP) complex의 solar energy 분배능력과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인삼 thylakoid의 chlorophyll-protein(CP) complex의 조성 및 특징을 조사하였다. 인삼의 CP-complex는 non-denaturing SDS-PAGE 방법에 의해 4개 bands로 분리되었으며 각 band는 Bassi와 Dunahay의 결과에 따라 CPI(PSI의 reaction center와 LHCP I antennae), CP I(PSI reaction center), LHCP II(LHCP II)의 oligoform), 그리고 LHCP II(PS II antennae; CP29, CP26)로 확인되었다. 인삼의 LHCP II 는 양지식물인 spinach, soybean과 비교해 볼 때 오히려 인삼의 band intensity가 더 높았으며, CP I band는 인삼에서만 분리되었다. 인삼 CP-complex band의 absorption 및 fluorescence spectra, chlorophyll a.b ratio 에서도 비교식물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Thylakoid membrane의 polypeptide 함량은 인삼에서 비교식물에 비해 현저히 낮은 polypeptide 함량은을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polypeptide pattern은 band의 수나 band intensity에서 비교식물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29-35 kD, 55 kD과 60 kD 근치에서 현저한 band intensity 차이를 확인하였다. Specific $^1O_2$에 의해 chl. a가 60%, chl.b는 90%, 그리고 carotenoid는 70%가 파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옥수수 유식물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형성에 미치는 식물호르몬 및 광선의 효과 (The Effect of Plant Hormones and Light Quality on the Formation of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in Maize Seedlings)

  • Dong-Hee Lee;Young-Sang Kim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79-289
    • /
    • 1993
  • 자연광 및 여러 파장의 광선과 NAA, GA$_3$, BA 등의 식물호르몬을 옥수수 유식물에 처리하여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연광하에서 3 종류의 호르몬 처리는 전체적으로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특히 LHCP-1과 LHCP-3의 형성을 촉진하였으나, 2 종류의 호르몬 조합은 엽록소-단백질 형성에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LHCP-1, CPA 및 LHCP-3 등의 광계 II 관련 엽록소 형성에 있어서 백색광은 자연광에 비하여 효과가 적었으나 적색광은 효과적이었다. 적색광하에서 식물호르몬의 단독처리는 엽록체 발달 초기에 광계 II의 엽록소-단백질의 양적 증가를 유도하였다. 한편, 적색광하에서 2 종류의 호르몬 조합 처리도 자연광하에서의 처리와는 대조적으로 광계 II의 엽록소-단백질 형성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광선처리의 효과가 호르몬처리 효과보다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형성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 PDF

가변 원형편파 모드 특성을 갖는 원형 링 슬롯 안테나 (Annular ring slot antenna with a variable circular polarized mode characteristic)

  • 김용진;김정한;이홍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호
    • /
    • pp.78-8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 원형편파 변환 특성을 갖는 reconfigurable 원형 링 슬롯 안테나를 제안한다. 제안된 안테나는 원형 링 슬롯과 원형편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4개의 튜닝 스터브로 구성되어 있다. 슬롯과 스터브 사이 각각의 경계면에 4개의 PIN 다이오드를 실장 하였으며 각각의 PIN 다이오드는 외부 DC전압으로 인해 동작되며 RHCP(Right Hand Circular Polarization) 모드 또는 LHCP(Left Hand Circular Polarization)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였다. 측정결과, 제안된 안테나는 임피던스 대역폭(VSWR${\leq}$2)이 LHCP 모드에서 570MHz(2.47-3.04GHz), RHCP 모드에서 560MHz(2.45-3.01GHz)로 나타났으며 중심주파수 2.63GHz에서의 최대 방사이득은 LHCP 모드에서 4.76dBi, RHCP 모드에서 3.1dBi를 얻었다. 또한 측정된 축비 대역폭은 RHCP, LHCP 모드에서 약 100MHz를 얻었다. 제안된 안테나는 편파변환 특성이 요구되는 환경의 위성통신, 무선랜 및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삼 틸라코이드에서 광계II의 LHCP 인산화와 형광 Quenching (LHCP phosphorylation and Chlorophyll-Fluorescence Quenching of PSII in Ginseng Thylakoid Members)

  • 양덕조;김명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24-128
    • /
    • 1992
  • 인삼의 엽소현상과 광계 II(photosystem II)의 광수확 엽록소-단백질 복합체(LHCP II)의 광에너지 분배 기작과의 관계를 구명코저 LHCP II의 인산화에 따른 형광 quenching과 광량별 인산화 정도, 그리고 단백질 조성을 조사하였다. 인삼은 DCMU의 존재 하에서 photosystem II의 형광발생량이 양지식물인 콩에 비해 많았으며, 인간화에 따른 형광 quenching율도 현저히 높았다. 또한, 강광(25k1ux 이상)에서 인삼은 인산화에 따른 형광 quenching율이 콩에 비해서 2배정도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엽록소-단백질 복합체(CP-complex)의 조성비율 및 LHCP II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의 앙과 수적인 면에서 비교식물과 큰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24~29kD 범위에서 인삼은 25, 26, 27kD의 major 밴드와 24, 25.3, 28.3kD의 minor밴드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광량에 의존적으로 인산화가 증가하는 인삼의 LHCP II 단백질은 24kD 이었다.

  • PDF

UHF RFID 리더기용 LHCP 안테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LHCP Antenna for UHF RFID reader)

  • 박성일;김선일;고영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3-3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원형편파를 가진 900MHz 대역 RFID 리더기 안테나를 설계 및 제안하고 실험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900MHz 대역 RFID 리더기 안테나는 좌선편파를 산출할 수 있는 용량을 구성한 단순한 방사기로 제안되었다. 또한, 설계 제작한 900MHz대역 RFID 리더기 원형편파 안테나는 1010MHz 중심주파수 대역에서 -38.28dB의 리턴로스 값을 가지며, 905~1030MHz에서 12.5% 대역폭을 갖는다. 제안한 LHCP 안테나 최대이득은 6dBi이고, 축비가 2이하에서 동작하는 원편파 안테나이다. 측정된 결과, 2기준 이하 축비값은 동작 주파수에서 양호하게 관측되었으며, 제안된 안테나는 무선통신에서 RFID응용을 위해 적합하다.

듀얼 대역 실내 중계기용 LHCP 안테나 개발 (Development of Indoor Repeater LHCP antenna with Dual Bands)

  • 박성일;김선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21-22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실내 중계기용 위성 DMB/WiBro 대역 안테나 및 PCS/WiBro 대역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한 위성 DMB/WiBro 대역 중계기 안테나 및 PCS/WiBro 대역 중계기 안테나는 좌선편파를 산출할 수 있는 용량을 구성한 단순한 방사기로 제안되었다. 제안된 안테나는 위성 DMB/WiBro 대역과 PCS/WiBro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동판거치형과 기판거치형으로 설계 및 제작하였다. 설계된 안테나는 1.816GHz ~ 1.886GHz, 2.247GHz ~ 2.354GHz 대역에서 70MHz, 107MHz의 대역폭을 갖으며, 방사패턴의 최대 이득이 5dBi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좌선회, 우선회 원편파 모두 수신 가능한 차량용 도파관 슬롯 배열 안테나 (Slotted array in-motion antenna for receiving both RHCP and LHCP using a single layer film)

  • 손광섭;박찬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2호
    • /
    • pp.126-13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위성 안테나에 적합한 평판형 도파관 슬롯 배열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의 유전체 손실 및 급전 라인의 손실을 대체하고자 조립하기에 간단한 3층 구조의 급전 도파관을 이용하여 고이득의 안테나를 구현하였다. 또한 얇은 단일 필름을 이용한 편파기를 사용하여 위성에서 송신한 RHCP(Right Handed Circular Polarization), LHCP(Left Handed Circular Polarization)를 기계적으로 모두 수신 가능하도록 설계 제작하였다. 제작된 4X8 배열 안테나의 이득은 27.5dB, 8X16 배열 안테나의 이득은 32dB이다.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XPD IN DUAL-POLARIZED TRANSMISSION

  • Park, Durk-Jong;Ahn, Sang-I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84-787
    • /
    • 2006
  • Dual-polarized transmission i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to transmit such a high speed data thanks to two independent channel leads to the orthogonal feature between RHCP (Right-Hand Circular Polarization) and LHCP (Left-Hand Circular Polarization). However, in practical case, the transmitted signal by RHCP polarized antenna in satellite can be occurred at the output port of LHCP polarized antenna in ground station, vice versa. XPD (Cross-Polarization Discrimination) is the ratio of the signal level at the output of a receiving antenna that is nominally co-polarized to the transmitting antenna to the output of a receiving antenna of the same gain but nominally orthogonally polarized to the transmitting antenna. In this paper, the detailed estimation of XPD within the interface between satellite and ground station is written and the influence of XPD to link performance is also described.

  • PDF

한팔 나선 안테나의 길이 및 급전 변화에 따른 편파 및 빔 틸트 특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olarization and Beam Tilt Characteristics of Single Arm Spiral Antenna by Varying Length and Feed)

  • 양찬우;박세현;정창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137-314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한팔 나선 안테나(single arm spiral antenna)의 편파(polarization) 및 빔 틸트(beam tilt)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한팔 나선 안테나는 나선 둘레 길이(spiral circumference length)가 한 파장 길이 이상 길어지면, 안테나의 최대방사 빔 방향이 안테나로부터 수직인 축빔(axial beam)으로부터 틸트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때 나선 안테나의 급전위치(내부, 외부)에 따라 원형편파 (RHCP, LHCP)가 변화 하며, 안테나의 길이 변화에 따른 빔 틸트시 원형편파 특성에 따라 최대 방사 빔 방향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틸트 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한팔 나선 안테나의 전기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단일 안테나로 이중 편파를 갖는 빔 포밍, 다이버시티, 또는 MIMO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위성 S-대역 옴니 안테나 합성 이득 해석 (Combined Gain Analysis of Satellite S-band Omni-antenna)

  • 김중표;이상곤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97-101
    • /
    • 2012
  • 위성의 발사부터 임무 궤도 운용을 포함한 어떤 위성의 자세에서도 지상국과의 통신 링크 보장을 위해서는 TC&R (Telemetry, Command & Ranging)의 안테나는 반구 옴니 패턴을 가져야 한다. 전구 옴니 안테나 패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성의 +z 축 방향과 -z축 방향에 각각 반구 옴니 패턴을 갖는 안테나를 배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반구 옴니 빔을 갖는 RHCP 및 LHCP 편파 Quadrifilar 헬릭스 안테나를 설계하고 안테나 이득 및 축비 요구 규격을 잘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z 축 방향과 -z축 방향에 안테나 편파 조합에 따른 합성된 옴니 안테나 전구 패턴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z 및 -z 축에 4가지 편파 배치안에 대해 합성 빔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위성 구조물에 +z축 및 -z축에 RHCP 및 LHCP S-대역 옴니 안테나를 각각 장착하고 위성 구조물에 의한 합성 이득 패턴을 얻고 링크에 대한 영향 분석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