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PS-binding propert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CBT LA1 생균과 사균체의 세포부착력, 자가응집력, 소수성 상호작용력, LPS 결합력에 대한 평가 (Assessment of cell adhesion, cell surface hydrophobicity, autoaggregation, and lipopolysaccharide-binding properties of live and heat-killed Lactobacillus acidophilus CBT LA1)

  • 신주현;이중수;서재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41-248
    • /
    • 2015
  •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생균의 효과가 많이 알려져 있지만 가열 처리된 유산균인 사균체의 기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CBT LA1의 사균체의 장관장벽 기능에 대하여 in vitro, in vivo에서 실험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포표면 소수성 상호작용력(cell surface hydrophobicity), 자가응집력(autoaggregation), 세포에 부착하는 능력(cell adhesion)과 자가응집력(autoaggregation), LPS와의 결합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HT-29 장상피세포에서 LPS로 유도되는 IL-8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CBT LA1을 80도에서 121도까지 10분 동안 열을 처리하였을 때, 80도에서 열을 처리한 CBT LA1 사균체가 가장 높은 세포에 부착하는 능력을 보여 주었다. CBT LA1 생균과 비교했을 때, 80도에서 열을 처리한 CBT LA1 사균체는 높은 LPS와의 결합력, 소수성 상호작용력, 자가응집력, HT-29 세포에 부착하는 능력과 IL-8의 발현을 억제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In vivo 실험에서 FITC로 label된 LPS를 투여하였을 때 16시간 후, CBT LA1 사균체를 섭취한 동물의 장관 내 LPS가 가장 많이 제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CBT LA1 생균처럼 CBT LA1 사균체도 장관장벽 기능을 가지며 이는, 파마바이오틱스로서 그 가능성을 시사한다.

Flavonoids Differentially Modulate Nitric Oxide Production Pathways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264.7 Cells

  • Kim Ae Ra;Cho Jae Youl;Zou Yani;Choi Jae Sue;Chung Hae You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297-304
    • /
    • 2005
  • Naturally occurring flavonoids are known to modulate various inflammatory and immune processes. Based on structural property, in this study, molecular mechanism of flavonoids in modulati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its signaling pathway were investigated using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RAW264.7 cells. Although flavonol-typed flavonoids (kaempferol and quercetin) more potently scavenged reactivity of nitric oxide ($\cdot$NO) as well as peroxynitrite (ONOO$\kappa$) than isoflavones (genistein and genistin), kaempferol, quercetin and genistein showed a little difference in inhibition of both inducible NO synthase expression and NO production, with IC$_{50}$ values of 13.9, 20.1 and 26.8 $\mu$M. However, there was a striking pattern related to structural feature in modulation of LPS-mediated signaling pathways. Thus, flavonols only inhibited transcription factor AP-1 activation, whereas isoflavones suppressed the DNA binding activation of NF-$\kappa$B and C/EBP$\beta$.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structural feature may be linked to decide drugs target molecule in LPS-mediated signaling pathways, rather than its potency.

Molecular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an ILF2 Homologue from Tetraodon nigroviridis

  • Wang, Hui-Ju;Shao, Jian-Zhong;Xiang, Li-Xin;Shen, Jia
    • BMB Reports
    • /
    • 제39권6호
    • /
    • pp.686-695
    • /
    • 2006
  • Interleukin-2 enhancer binding factor 2 (ILF2) was reported to regulate transcription of interleukin-2 (IL-2), a central cytokine in the regulation of T-cell responses. This property of ILF2 was well characterized in human and mammals, but little is known in bony fish. In this paper, an ILF2 homologue was cloned and well characterized from Tetraodon nigrovirid is for the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function of ILF2 in bony fish. The full-length Tetraodon ILF2 cDNA was 1380 bp in size and contained an open reading frame (ORF) of 1164 bp that translates into a 387 amino-acid peptide with a molecular weight of 42.9 kDa, a 5' untranslated region (UTR) of 57 bp, and a 3' UTR of 159 bp containing a poly A tail. The deduced peptide of Tetraodon ILF2 shared an overall identity of 58%~93% with other known ILF2 sequences, and contained two N-glycosylation sites, two N-myristoylation sites, one RGD cell attachment sequence, six protein kinase C phosphorylation sites, one amino-terminal RGG-rich single-stranded RNA-binding domain, and a DZF zinc-finger nucleic acid binding domain, most of which were highly conserved through species compared. Constitutive expression of Tetraodon ILF2 was observed in all tissues examined, including gill, gut, head kidney, spleen, liver, brain and heart. The highest expression was detected in heart, followed by liver, head kidney and brain. Stimulation with LPS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expression of Tetraodon ILF2. Gene organiz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Tetraodon ILF2 gene have fifteen exons, one more than other known ILF2 genes in human and mouse. Genes up- and down-stream from the Tetraodon ILF2 were Rpa12, Peroxin-11b, Smad4, Snapap and Txnip homologue, which were different from that in human and mouse.

Probiotics로서의 젖산균주의 특성 및 면역활성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Potential Probiotics)

  • 서재훈;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81-687
    • /
    • 2007
  • Probiotics로서의 사용을 위한 우수 젖산균주 선발을 위해 김치 및 발효유 제품으로부터 분리한 젖산균과 공시 젖산균주를 대상으로 내산성, 내담즙성, 장내 점착능, 병원성균 억제능 등의 probiotics 특성과 장관면역활성, mitogenic activity 및 대식세포 활성화 등의 면역활성을 검토하였다. 내산성 실험의 결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 Lb. plantarum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sp. mesenteroides ATCC 8293의 경우 생존률이 5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Lb. acidophilus DDS-1과 Lb. acidophilus B-3208의 경우에는 70% 정도의 높은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젖산균주의 담즙산 내성에서는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 7962를 제외한 모든 균주가 3% oxgall이 함유된 MRS배지에서도 성장이 가능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젖산균주의 장내 점착능 면에서 볼 때, Lb.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과 Bifidobacterium bifidum KCTC 3357의 장내 점착능이 실험에 사용된 다른 젖산균주와 비교하여 우수하다고 관찰되었으며, 특히 Lb. acidophilus DDS-1과 B-3208의 장내점착능이 높게 나타났다. 젖산균주의 병원성균 억제능 실험의 결과, Lb.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 및 B. bifidum KCTC 3357은 Staphylococcus aureus를 제외한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Listeria monocytogenes ATCC 59414, 그리고 Salmonella enteritidis ATCC 49313에 대해 높은 증식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젖산균의 세포질 획분과 세포벽 획분을 대상으로 면역활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장관면역 활성은 젖산균의 세포질 획분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LPS와 같은 수준의 면역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Lb. acidophilus속 균주들의 세포벽 획분의 장관 면역활성이 다른 균주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젖산균주의 세포질과 세포벽 성분에 대한 비장 림프구의 증식능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게 관찰되었으나, 이들의 대식 세포증식능은 세포벽 및 세포질 모두의 획분에서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특히 세포벽 획분의 경우에는 양성대조군인 LPS 보다 높거나 유사한 정도의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 균주 중에서 Lb. acidophilus 균주인 DDS-1과 B-3208이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요구되는 조건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균주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