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RA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8초

LRA-BWR 비등수형로에 대한 수정 Borresen 모델 해 (A modified Borresen's Coarse-Mesh Solution to the LRA-BWR Benchmark Problem)

  • Chang Hyo K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135-141
    • /
    • 1983
  • Borresen 소격확산이론에 대한 수정형 모델의 계산정확도를 다차원 LRA-BWR 문제를 중심으로 조사해 보았다. 동 LRA-BWR 원자로의 임계도와 출력분포에 대한 계산결과들을 비교함으로써 수정형 Borresen Model이 다차원 BWR의 출력계산의 계산정밀도를 향상시킬수 있음을 보였다.

  • PDF

Seysen 알고리즘을 이용한 Lattice Reduction-aided 다중 안테나 검출기법 (Lattice Reduction Aided MIMO Detection using Seysen's Algorithm)

  • 안홍선;마나르모하이센;장경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6C호
    • /
    • pp.642-64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LRA (Lattice Reduction-Aided) 검출 기법에서 격자 감소를 위하여 주로 사용되어 오던 LLL(Lenstra-Lenstra-Lovasz)을 대신하여 SA (Seysen Algorithm)를 이용함으로써, 복잡도의 감소와 함께 성능 향상을 이루었다. 이러한 성능향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존재하는 SA-LRA 검출 기법과 ML 검출과의 성능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list of candidates 기법을 SA-LRA 검출 기법에 적용하였다. List of candidates 기법은 송신 신호 벡터가 될 수 있는 후보들의 리스트를 구성하여, 이 중 최소의 유클리디안 거리 (Euclidean Distance)를 가지는 후보를 송신 신호 벡터로 추정하는 기법이다. 모의실험 결과는 이 기법을 통하여 SA-LRA 검출 기법이 ML 검출과 유사한 성능을 가질 수 있음을 보이고 또한, SA를 통하여 채널 행렬이 보다 더 직교성을 가지게 되는 것을 보인다.

낮은 계수 근사법을 이용한 표준 잔향음 신호 획득 및 제거 기법 (Reverberation Characterization and Suppression by Means of Low Rank Approximation)

  • 윤관섭;최지웅;나정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94-502
    • /
    • 2002
  • 본 연구는 실측 잔향음 자료에서 나타나는 단주기적 시변동성 신호 간섭 (interference)을 억제하기 위해 Ecart-Young 이론을 토대로 자료 행렬로부터 낮은 계수를 추출하여 근사화하는 낮은 계수 근사법 (LRA: Low Rank Approximation)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법을 실측 자료에 적용한 결과, 잔향음 신호와 시변동성 신호가 분리되었으며 이때 적절한 낮은 계수를 추출키 위해서 특이치 분해법 (SV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이 사용되었다. 잔향음 신호의 억제는 LRA를 통해 얻어진 근사치와 실측치 사이의 잔차를 계산함으로써 수행하였으며 결과적으로 LRA을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안정적인 잔향음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능동 소오나 시스템 운용 및 잔향음 모델링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중 사용자 MIMO 시스템을 위한 Seysen 알고리즘 기반 Lattice Reduction Aided 프리코팅 (Lattice Reduction Aided Preceding Based on Seysen's Algorithm for Multiuser MIMO Systems)

  • 안홍선;마나르모하이센;장경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9C호
    • /
    • pp.915-921
    • /
    • 2009
  • LLL (Lenstra-Lenstra-Lovasz) 알고리즘은 보다 좋은 채널 행렬의 기저를 얻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격자 감소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LRA (lattice reduction aided) 프리코딩 기법에서 채널 행렬의 기저 (basis) 벡터를 격자 감소시키기 위하여 LLL 알고리즘 대신 Seysen 알고리즘 (SA)을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선형 프리코딩 기법을 SA를 통하여 얻어진 변환된 채널 행렬에 적용하였다. SA를 통하여 LLL 알고리즘보다 높은 직교성을 가진 기저를 얻어낼 수 있으므로, SA 기반의 LRA 프리코딩 기법은 기존의 LLL 기반의 LRA 프리코딩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하여 LRA 프리코딩에서 격자 감소를 위하여 SA를 사용한 경우, LLL 알고리즘을 사용한 경우보다 target BER $10^{-5}$에서 0.5dB정도의 BER 성능 이득이 얻어짐을 입증한다.

A Production Method of Landslide Hazard Map by Combin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pproach Selecting Target Site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Lee, Yong-Joon;Park, Geun-Ae;Kim, Seong-Joon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3호
    • /
    • pp.63-68
    • /
    • 2007
  • The LRA(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ducts a quantitative analysis by collecting a lot of samples and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gram) makes use of expert decision influenced by subjective judgment to a certain degree.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mbination method in mapping landslide hazard by giving equal weight for the result of LRA and AHP. Topographic factors(slope, aspect, elevation), soil dram, soil depth and land use were adopted to classify landslide hazard areas. The three methods(LRA, AHP, the combined approach) was applied to a $520km^2$ region located in the middle of South Korea which have occurred 39 landslides during 1999 and 2003. The suggested method showed 58.9% matching rate for the real landslide sites comparing with the classified areas of high-risk landslide While LRA and AHP Showed 46.1% and 48.7% matching rates respectively.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find the optimal combining weight of LRA and AHP with more landslide data.

KEY IMPACT PARAMETERS FOR APPLICATION OF ALTERNATIVE SOURCE TERM TO KORI UNIT 1

  • Lee, Seung-Cha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94-413
    • /
    • 2010
  •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key elements that impact a radiation dose at EAB (Exclusion Area Boundary).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T (Alternative Source Terms) as defined in Regulatory Guide 1.183. The LOCA (Loss of Coolant Accident) and the LRA (Locked Rotor Accident) are selected as limiting cases. A sensitivity analysis of accidental behavior with respect to various parameters during LOCA and LRA at Kori Unit 1 is also undertaken for the following objectives: to determine the limiting parameters, to find the impact trend of the radiation dose, and to find the safety margin between AST and TID (Technical Information Document) methodologies. This work confirms that key parameters are particulate removal rate, decontamination factor, iodine chemical form, gap fraction, partitioning factor, and the impact of isotopes group. Comparing TID with AST, the radiation dose of TID is about 80% greater than that of AST under a LOCA, and about 60% greater than that of AST for the case of a LRA; thus the safety margin is remarkably increased when the AST is used. In this work, the sensitivity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in terms of a sensitivity index called the "NDD (Normalized Dose Difference)", which compares the impact of parameters with that of a reference case. These values are derived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leak rate (primary to secondary), iodine chemical form, gap fraction, partitioning factor, spray removal rate, source term, and other variables.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과 인공신경망기법을 이용한 제주지역 산사태가능성분석 (The Landslide Probability Analysi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in Jeju)

  • 권혁춘;이병걸;이창선;고정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4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산사태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람의 발길이 많은 사라봉, 별도봉 지역과 송악산 지역의 지형 및 토질공학적 사면 붕괴 유발 인자들을 이용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과 인공신경망기법을 GIS기법과 결합하여 예측지도를 작성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산사태 예측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주는 사면경사, 고도, 건조밀도, 투수계수, 간극율을 선택하였으며 선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야외조사와 토양물성시험 결과를 정리한 후 이를 토대로 GIS기법을 적용하여 각 레이어별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생성된 주제도를 각각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과 인공신경망기법으로 작성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사면경사와 간극율의 경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예측지도는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이 더욱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도로변과 산책로를 중심으로 산사태 발생가능성이 높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러 형태의 복부 운동에 대한 복근의 EMG 효과 (EMG effects of abdominal muscle on multiple forms of exercise)

  • 윤완영;조석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09-313
    • /
    • 2019
  • 본 연구는 여러 형태의 복부 운동(crunch, spine V-up, prone V-up on ball, prone V-up on slide board, prone V-up on TRX, and prone V-up power wheel)을 하는 동안 URA, LRA, IO, EO and RF의 EMG 반응을 조사했다. 대상자들은 이러한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복근의 isometric contraction을 수행했다. 테스트 결과 EO, URA, LRA는 어떠한 운동 간에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IO를 검사 시에, 양와위 V-up운동은 slide운동 시 보다 유의하게 더 큰 근활성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crunch동안 EMG활성도는 다른5가지 어떠한 운동보다 현저히 적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등척성 복근 운동 시행 시에 장비가 없는 기반 운동이 장비 기반 운동과 유사하게 자극을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코어 강화는 오래 동안 운동 컨디셔닝과 수행능력의 핵심 구성 요소로 알려져 왔다. 복부 근육 조직은 개인의 코어를 구성하는 5가지 중 하나의 구성요소로 여겨진다. 복부 근육은 또한 요추의 적정한 기능을 보장한다. 모든 복부 근육이 요추 안정화에 기여하지만, TA & IO가 주요한 안정화(stabilizers)를 하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Analysis of Landslide Hazard Ar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pproach)

  • 이용준;박근애;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D호
    • /
    • pp.861-86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안성시($520km^2$)를 대상으로 Logistic 회귀분석 방법과 AHP 기법을 이용하여, GIS와 RS 자료를 활용한 산사태 위험지를 분석하였다. Logistic 회귀분석과 AHP 기법에는 6개의 인자(경사, 경사향, 고도, 토양배수, 토심, 토지이용)를 사용하여, 7등급으로 산사태 위험도를 분류하였다. Logistic 회귀분석 방법과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를 표본 자료와 비교하면 산사태가 발생한 표본에서 산사태 위험성이 높은(1-2등급)지역이 Logistic 회귀분석에서는 46.1% AHP 기법은 48.7%로 분류되어 AHP 기법이 분류도가 높다고 분석되었다. Logistic 회귀분석과 AHP 기법은 서로 분석 과정의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Logistic 회귀분석과 AHP기법을 적용한 결과에 동일 가중치를 부여한 후 7개 등급으로 재분류(reclass)하여 산사태 위험지역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론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그 결과 산사태가 발생한 표본에서 1-2 등급지역이 58.9%로 분석되어 분류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과학기술위성2호 레이저 반사경 조합 개발 (Development of a Laser Reflector Array for STSAT2)

  • 이준호;김승범;이상현;김경희;임용조;남명룡;임종태;심은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2-147
    • /
    • 2004
  • 위성 레이저 레인징은 위성의 궤도를 관측하는 가장 정밀한 측정법으로 과학기술위성2호의 정밀 궤도 결정에 사용될 예정이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위성2호에 부탑재체로 탑재 될 위성 레이저 레인징용 레이저 반사경 조합의 개발을 보고한다. 현재 1 세트의 레이저 반사경 조합이 설계, 분석, 제작, 광학 시험 및 조립이 완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