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TE system

검색결과 514건 처리시간 0.035초

3G LTE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인지 시스템의 신호검출 (Signal Detection of Cognitive Radio System for 3G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김승종;김진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7-31
    • /
    • 2010
  • 급증하는 주파수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에서는 스펙트럼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주파수를 공유하는 CR(Cognitive radio)를 적용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CR 시스템을 LTE 시스템에 적용하고자 CR 기술 중 스펙트럼 센싱 이론을 LTE 환경에 적용을 시켜 실험을 하여 성능분석을 하였다. 본 실험에 있어서 LTE 하향링크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를 센싱했고, 채널은 가우시안 채널로 가정하여 실험을 하였다. 또한 실험에 필요로 한 임계값(threshold)은 5%, 10%로 달리 적용하여 성능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추후 LTE 시스템에 CR 시스템 적용을 위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LTE-R 기반 철도 통신 서비스 동향 (Trends of Railway Communication Services based on LTE-R)

  • 김영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64-867
    • /
    • 2016
  • 고속철도 시스템은 열차의 운행에 요구되는 각종 제어 신호의 공급을 위해 LTE(Long Term Evolution)를 기반으로 하는 LTE-R(LTE-Railway) 방식의 이동통신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TE-R 기반 철도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응용서비스를 중심으로 철도통신의 기술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LTE-R 기술의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도 고찰해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LTE-R 및 철도 이동통신의 연구 및 개발에 있어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TE 기반 철도통합망(LTE-R)과 재난통신망(PS-LTE)의 기능 분석 (Functional Analysis between LTE-Railway and Public Safety-LTE)

  • 김용규;윤용기;김주엽;송용수;최상원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0-30
    • /
    • 2017
  • 철도통신기능은 안전한 열차 운행을 위한 운영자간의 통신 기능과 열차제어를 위한 데이터 전송 기능으로 분류된다. 관련 기술은 2004년 영업 운전을 시작한 유럽의 GSM-R이 가장 대표적인 철도통신 기술로 주어진다. 국내의 경우, 국가재난망에서 임대한 TRS가 철도 운영자간의 통신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열차제어용 데이터 통신은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2014년 국내의 LTE 기술을 이용한 LTE-R의 개발이 세계 최초로 철도에 적용하여 성능 검증 및 국내 표준 제정에 성공하였다. 이를 응용한 LTE 기반의 국가재난안전망(PS-LTE)도 2016년 시범구축사업이 강원도에서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본 논문은 철도통신의 핵심인 LTE-R의 통신기능과 데이터 전송 기능을 PS-LTE와 GSM-R의 기능과 비교,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는 LTE-R의 데이터 전송 기능이 GSM-R의 기능보다 우수함은 물론 철도통신기술은 PS-LTE의 요구 기능도 대부분 만족함을 시험을 통해 입증하였다.

LTE 이동통신 시스템의 처리율과 무선 채널 상태와의 상관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oughput and the wireless channel conditions of a L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김범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19-226
    • /
    • 2015
  • 대표적인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LTE는 과거 이동통신 시스템에 비하여 훨씬 더 높은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무선 환경의 특성 상 LTE가 제공하는 전송 속도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라서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LTE 시스템의 무선 접속을 통해서 제공되는 대부분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는 전송속도에 일차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선 채널의 상태를 대표하는 다양한 품질 지표를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실체 측정을 실시하여 각 품질 지표의 변화에 대한 LTE 시스템의 전송 속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채널의 상태가 나빠질수록 신호의 세기가 아닌 신호의 품질이 LTE 시스템이 제공하는 전송 속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재난안전통신망의 현황과 미래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of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 홍성화;이성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15-120
    • /
    • 2020
  • 차세대 재난망 기술로서 언급되고 있는 PS-LTE는 LTE 기술을 근간으로 공공안전 통신에 필요한 단말 간 통신, 그룹통신 등을 지원하는 통신기술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구축계획을 수립하여 PS-LTE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PS-LTE를 활용한 재난망 시스템 구축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자만 접속할 수 있는 폐쇄망의 특성상 기존 상용망과 별도 구축이 필요하며 많은 기간과 비용의 소요가 예상된다. 효율적으로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조건적인 신규 구축보다는 기존 LTE망에 보안 및 접속우선권 등의 문제를 보완하여 신규 구축하는 PS-LTE망의 연동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사전 검토가 매우 필요하다.

LTE 기반 철도통신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Trends of LTE based Railway Communication Systems)

  • 조한벽;오현서;최진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73-378
    • /
    • 2016
  • 국내 철도시스템은 2004년 KTX가 도입된 이래 최고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철도 무선통신 시스템에 LTE를 도입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다. 철도통신시스템은 재난안전통신망과 연계를 통하여 국가안전망의 일부로 활용될 것이며 이들 시스템간의 연동방안은 중요한 기술적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시스템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고 국내에서 추진중인 LTE 기반 철도통신시스템의 개발 현황을 살펴본다. 국내 철도무선통신 체계를 구축에 있어 철도시스템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향후 표준화를 추진하여야 할 내용을 검토한다.

LTE-Advanced 표준에 바탕을 둔 다중사용자 MIMO의 기술개발 현황 (Recent Trend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for Multiuser MIMO based on LTE-Advanced Standard)

  • 이병주;임채만;심병효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4호
    • /
    • pp.18-25
    • /
    • 2012
  • 최근 들어, 스마트 기기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의 3G 표준에 비해 향상된 품질을 제공하는 long-term evolution (LTE) 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보급되고 있다. 2010년에 발표된 릴리즈 10은 흔히 LTE-Advanced (LTE-A)로 불리는데, LTE-A의 여러 특징 중 다중사용자 MIMO (MU-MIMO) 기술은 정보 처리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LTE-A의 핵심기술로 근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TE 및 LTE-A 시스템에서 도입된 MU-MIMO 기술의 이론적 배경 및 표준의 주요 특징을 소개한다.

3GPP LTE 시스템정보(MIB) 추출에 대한 연구 (Design of a 3GPP LTE system Information(MIB) detection simulator)

  • 곽경훈;오혁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27-829
    • /
    • 2015
  • 본 논문은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단말이 LTE 망(network)과 통신을 이루기 위해 셀 시스템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LTE의 셀 시스템정보 두 가지 중 하나인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추출하는 과정을 다룬다. 3GPP LTE 표준 스펙 시리즈 36.200과 36.300을 연구하여 MATLAB 프로그램으로 MIB를 추출하는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과정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검출, 마지막으로 MIB를 추출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PSS와 SSS를 검출하는 과정을 셀 탐색 이라하며, 이 과정은 셀 시스템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하는 과정이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실제 Air에서 캡처한 신호를 기반으로 검증하였다.

  • PDF

안전망과 철도망 공존환경에서 협력통신을 이용한 아웃티지 및 수율 관리 (Outage Probability and Throughput Management Using CoMP under the Coexistence of PS-LTE and LTE-R Networks)

  • 임원호;정형찬;아마드 이쉬티아크;장경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95-603
    • /
    • 2016
  • 우리나라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PS-LTE) 주파수로 철도망(LTE-R)에 이미 지정되어 있는 700 MHz 대역이 할당되었다. 따라서 동일채널간섭으로 인한 아웃티지를 줄이고 수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안전망과 철도망이 공존하는 LTE-R 네트워크 다운링크 환경에서 RAN 공유시와 비 RAN 공유시, 또한 협력통신(CoMP)을 적용시와 미적용시에 PS-LTE UE 수율의 향상과 LTE-R UE 아웃티지 감소를 비교 분석한다. PS-LTE 와 LTE-R 네트워크의 공존 시나리오를 수행방법에 기반하여 네가지로 구분하고, 각각의 시나리오별로 UE의 아웃티지와 평균 수율을 측정한다. 열차제어신호는 최상위 MCS (mission critical service)에 해당되기에, PS-LTE UEs가 LTE-R 네트워크의 RAN 공유시, LTE-R UE에 더 높은 우선권을 주어 자원을 할당한다. RAN 공유 환경에서 협력통신인 CS CoMP를 적용하는 경우, 최고의 수율과 최소의 UE 아웃티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Overview of SAE/LTE security

  • Prasad, Anand R.;Zhang, Xiaowei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2권1호
    • /
    • pp.36-43
    • /
    • 2013
  •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security in the 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SAE) / Long-Term Evolution (LTE) system. Security is an integral part of SAE/LTE with improvements over the Third Generation (3G) system. This paper reviews the SAE/LTE system architecture, and discusses the security requirements, algorithms,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AKA), Security Mode Command (SMC), key hierarchy and security for mo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