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saving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4초

생력형 5단 유자망 양망기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iciency of the Labor-saving-type, Five-step-drum Net Hauler)

  • 구명성;김석종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98-107
    • /
    • 2014
  • As part of a series of studies about improving yellow croaker drift gill net fishing gear and the development of a labor-saving fishing system, we installed a labor-saving-type, five-step-drum net hauler, and a triple-V-type net hauler in 108 Daeheung-ho, a fishing boat which operates drift gill nets for yellow croakers mainly in the sea near Chu-ja Island. Net damage with the labor-saving-type, five-step-drum net hauler is lower than for the triple-V-type net hauler. In addition, there was a reduction in the standard operational crew of two people. The lead time for hauling the labor-saving net was approximately 10% and 19.2% less than for hauling the triple-V-type net hauler and for hauling by hand,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fewer slip in fishing gear and less damage to the wing of the drum as well as less damage to the fish when the labor-saving-type, five-step-drum net hauler was used than when the triple-V-type net hauler was used. In the survey, the lead time for hauling the net was approximately 21.6% and 45.2% more effective than hauling with the triple-V-type net hauler and hauling by hand, respectively. The crew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18.2% and 25% than when hauling with the triple-V-type net hauler and hauling by hand, respectively. In addition, cessation of operation and damage to the fish were reduced when compared to the triple-V-type net hauler and hauling by hand.

감자 수확의 성력 기계화 (Mechanization for Labor Saving in Harvesting of Potatoes (Solamum Tuberosum L.))

  • 정동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7-302
    • /
    • 1995
  • 감자 재배(栽培)에 있어서 기계(機械)를 이용(利用)하여 수확(收穫)의 생력화(省力化)로 생산비(生産費)를 절감(節減)하기 위해 본(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기계(機械)를 이용(利用)한 감자 굴취수확(掘取收穫)은 관행인력수확(慣行人力收穫)에 비해 트랙터 후부(後部)에 굴취기를 이용(利用)한 것이 94%로 생력효과(省力效果)에서 관행인력수확(慣行人力收穫)에 비해 42-45%의 노력시간(努力時間)을 절약(節約)함으로 42-45%의 작업비(作業費)를 절감(節減)했다.

  • PDF

Effect of labor saving by crawler-type truck in steep slope orchards

  • Tsurusaki, T.;Yamashita, J.;Imoto, T.;Satou, K.;Hikita, M.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1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제학술편); KOEX, Seoul; 22-24 Oct. 1991
    • /
    • pp.1580-1584
    • /
    • 199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from the viewpoint of labor science, the effect of labor saving by crawler-type truck, which has been used for the rationalization of transportation labor in the citrus orchard on steep slops, and to find out how effectively to utilize the crawler-type truck. In order to attain the purpose mentioned above, portable heart rate memory for measuring physical response of laborer was taken, 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citrus orchard on steep slopes in Japan.

  • PDF

양파 수확의 소요시간과 비용절감 (Cut-down the Express and Required Time in Harvesting of Onion (Allium cepa L.))

  • 권병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3-69
    • /
    • 1996
  • 양파 재배(栽培)에 있어서 기계(機械)를 이용(利用)하여 수확(收穫)의 성력화(省力化)로 노동력(勞動力)과 생산비(生産費)를 절감(節減)하기 위해 본(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기계(機械)를 이용한 양파 굴취수확(掘取收穫)은 관행인력굴취수확(慣行人力掘取收穫)에 비해 트랙터 후부(後部)에 굴취기(掘取機)를 부착(附着)해 서 수확(收穫)한 굴취수확(掘取收穫)이 90-93%로 성력효과(省力效果)는 가장 좋았다. 2. 트랙터 후부(後部)에 굴취기(掘取機)를 부착(附着)한 수확기(收穫機)의 성력효과(省力效果)는 관행인력수확(慣行人力收穫)에 비해 37%의 작업시간(作業時刊)을 절감(節減)하여 37%의 작업비(作業費)를 절멸(節滅)했다.

  • PDF

수도 이앙노동의 생력화 연구 I. 이앙밀도 차이에 따른 이앙작업의 노동요구도 변동특성 (Labor-saving Feasibilities in Transplanting of Paddy Rice I. Variations in Labor Requirements under the Various Planting Densities)

  • 구자옥;이영만;이관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0-25
    • /
    • 1985
  • 수도품종 "밀양 23호"를 공시하여 이앙밀도를 달리하면서 재배중의 작업단계별 노동요구도와 수도수량성 및 노동생산성의 변동특성을 조사하였다. 노동요구시간 자체는 표준밀도(22.22주/$m^2$)에서10a당 144시간을 소요하였으나 $m^2$당 밀도를 15.15, 11.11, 8.33주로 감소시킴에 따라 각각 129.116.104시간으로 줄어들었다. 따라서 표준에 대비하여 각각10, 20, 28%의 시간절감이 되었으며, 이앙작업 자체만의 시간에서는 각각 28, 39, 61%의 절감이 가능하였다. 수도수량성에 있어서는 소식에 따른 수량저하를 감소화하고, 보완효과의 최대화를 전제로 하여 $m^2$당12주까지의 일차적인 밀도감소의 한계목표을 설정할 수 있었다. 노동생산성에 있어서는 $m^2$당 11주까지의 소식화로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들의 종합적 결론을 위하여 품종.시비 및 밀도간의 상호작용 특성에 대한 추후의 연구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기술진보의 형태와 일자리창출 (Technological Progress and Job Creation)

  • 최창곤;이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81-187
    • /
    • 2011
  • 본 연구는 경제성장과 일자리창출문제와 관련하여 기술진보의 형태가 일자리창출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술진보와 일자리창출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기술진보가 자본 절약적 이거나 요소중립적인 경우에는 기술진보가 고용을 증가시키지만 기술진보가 노동절약적인 경우에 고용증가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거나 고용이 감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술진보가 고용에 미치는 효과는 생산구조상의 특징만이 아니라 노동공급함수의 구조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을 보였다. 노동공급이 임금탄력적일수록 기술진보에 대하여 일자리 증가가 더욱 커짐을 보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의태모형실험을 통하여 기술진보의 형태에 따른 고용증가의 정도를 확인하고, 전체 산업 및 개별 산업별로 노동/자본 비율의 변화를 추정하여 이론적인 결과를 검증한 결과 농업 및 어업에서는 그 비율이 감소하였지만 서비스업에서는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여 서비스업부문에서 일자리 창출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보리 산물처리에 의한 품질변화와 생력효과 (Effects of Post-Harvest Bulk Management System Using Rice Processing Complex on Labor Saving and Quality of Barley)

  • 이춘우;윤의병;구본철;백성범;손영구;서세정;남중현;김완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75-478
    • /
    • 2002
  • 보리의 산물처리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미곡종합처리장을 이용한 보리 산물처리시 품질변화와 생력효과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립율은 2.5-2.2mm의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경도는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색도는 산물건조와 관행인 천일건조와 차이는 없었다. 3. 흡수율은, 고형용출물, 퍼짐성 등의 취반특성은 건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산물처리에 의하여 관행의 ha당 46시간에 비하여 21시간으로 54.3%의 생력효과가 있었고, 수확 후 관리는 54.3% 생력화되었다. 5. 산물처리로 수확 후 관리노력이 관행에 비하여 ha당 25시간이 절감되어 101,83원의 경영비 절감효과가 있었다.

대맥의 파종진식별 생력화 구조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Labor-Saving Structure in Various Sowing Methods of Winter Barley)

  • 민경수;구자옥;김인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1-317
    • /
    • 1981
  • 우리나라 맥류재배의 감퇴원인이 노동생산성의 저조에 있다는 전제하에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시도되고 있는 수종의 파종(재배)양식들을 동특에 공시하여 양식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수량생산성과 또한 이들 양식이 요구하는 투하노동의 크기를 파악하고저 하였다. 또한 기계화가 가능한 상태에서의 노동투하요구도를 양식별로 추정함으로써 생력화 단계를 설정키 위하여 일연의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지 파종보다는 정지파종이 월동전의 수수확보에 유리하고, 산파보다는 조파가 월동후의 생육에 유리하었으며, 다조파는 이들 모든 유리성을 겸비함으로써 높은 수량성을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2. 파종(재배)양식 자체의 투하노동 요구도는 대부분의 양식들에 있어서 표준의 관행정지파 양식보다 생력화되는 경향이 없었으며, 다만 기계화에 의한 인력의 대치를 목적으로 발위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작업의 기계화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서의 재배양식별 노동투부요구도는 다주용파와 부정지산파를 제외한 대부분의 재배양식에서 표준의 관행정지파보다 생력화 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다. 4. 다주용파는 수량향상에 의하여, 그리고 부정지산파는 작업의 조방화에 의한 생력효과 때문에 시도된 것으로 보이며, 5. 노동투하시간에 대한 수량생산성의 비율, 즉 노동생산성을 산출한 결과 현재와 같은 인축 및 소형경운기 위주의 노동으로는 관행정지파나 광파정지파가 유리하고, 일관된 기계영농이 가능할 경우에는 다양파나 전면전층파가 유리한 양식인 것으로 인정되었다.

  • PDF

생력형 기선권현망 어구의 전개성능 (The Opening Efficiency of Labor Saving net for the Anchovy Boat Seine)

  • 장충식;안영수;김광홍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1호
    • /
    • pp.9-16
    • /
    • 2005
  •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구 개량과 조업시스템 개선을 목적으로 생력형어구를 제작하여 현장조업선에 의한 해상실험을 실시하여 어구의 형상과 조업시스템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력형 어구의 양선간격에 따른 오비기 앞끝, 오비기, 수비, 앞창, 자루그물 입구, 깔때기, 자루그물 뒤끝의 망고 변화폭은 각각 5.0${\sim}$7.8, 14.4${\sim}$21.1, 16.2${\sim}$21.2, 14.0${\sim}$17.3, 11.7${\sim}$13.9, 5.4${\sim}$6.9, 8.2${\sim}$9.8m이었고, 각 부분의 실제 전개율은 50${\sim}$78, 25${\sim}$36, 24${\sim}$31, 31${\sim}$38, 61${\sim}$73, 71${\sim}$91, 87${\sim}$104%로 나타났다. 2. 생력형 어구는 그물목줄 부착으로 오비기 앞끝의 전개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개량된 나발그물 부착으로 축소형 개량어구보다 포켓형상을 대폭 개선시켜 어군의 유도가 매우 원활하였다. 또한, 양선간격 및 예망속도 변화에 따른 어구 형상이 매우 안정되었으며, 망고의 변화 폭이 크지 않아 어구의 전개성능이 향상되었다. 3. 자루그물의 개량으로 어구저항 감소, 예망속도 증대 및 입망된 어군의 도피가 현저히 감소하여 어획량이 현용어구보다 증가하였으며, 조업시스템의 개선이 가능하였다.

벼 수확동시 보리파종기 이용에 따른 보리생육특성 및 생력효과 (Barley Growth and Labor-Saving Efficiency as Using Barley Seeder Synchronized with Rice Harvesting)

  • 김양길;이중호;서재환;박종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79-183
    • /
    • 2004
  • 호남지역 보리 2모작 재배농가의 생력화를 위하여 벼 수확 동시 보리파종에 따른 보리의 생육특성 및 생력효과를 조사ㆍ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수확동시 보리파종은 벼 수확과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관행 파종방법보다 5일 이상 빠르게 파종되었다. 2. 벼 수확동시 보리파종재배는 한발시 볏짚피복에 따른 재해 경감효과가 있었으며, 보리수확기 볏짚 C/N율은 31.6%로 낮아졌다. 3. 벼 수확동시 보리파종시 생육특성은 관행재배보다 수수는 감소하였으나 간장, 1수립수 및 천립중 등이 증가하였으며, 수량은 관행 재배보다 평균 6.5% 증수하는 경향이었다. 4. 벼 수확동시 보리파종 작업시간은 파종작업 단계축소로 관행파종방법보다 작업시간이 58%절감되었으며, 경영비는 8% 절감되었고, 소득은 16%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