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3초

도꼬마리 추출물의 유산발효 특성 및 Helicobacto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Characterization and Anti-Helicobactor pylori Activity of Xanthium strumarium L. Extract on Lactic acid Fermentation)

  • 강동희;김현수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44-250
    • /
    • 2010
  • 약용식물인 도꼬마리 추출물을 사용하여 유산균을 이용한 단일 및 복합배양을 통하여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생산을 검토하였다. 도꼬마리 추출물의 유산발효 시 단일배양 결과에서 유산생산을 통해 대체로 잘 증식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H. pylori의 항균 활성은 단일배양보다 복합배양 시 항균활성이 아주 우수하였다. 항균성 물질의 분리는 $C_{18}$ Seppak cartridge에 흡착시켜 30% methanol 용출획분에서 항균성물질이 확인되었으며, TLC로 분석한 결과 $R_f$ 0.46의 위치에서 항균성 물질을 확인하였다. 도꼬마리 유산발효액의 항산화활성은 총 polyphenol 함량 및 radical 소거능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은 미발효시에 비해 도꼬마리 추출물의 저농도에서 단일배양의 경우 2~4배 증가하였으며,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과 Lactobacillus helveticus KCTC 3545를 복합배양한 경우 1 mg/mL 첨가농도에서 polyphenol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adical 소거능은 도꼬마리 추출물을 0.1 및 0.5 mg/mL로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30~40%의 scavenging이 확인되어 발효를 하지않았을 때 (25%)보다 발효를 하였을 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의 경우 0.1 mg/mL의 농도에서 70%의 scavenging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도꼬마리 추출물의 유산발효는 미발효시에 비해 Helicobacto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물질의 생산과 기능성물질인 항산화물질의 생산성이 우수하다고 사료되었으며 천연한약재의 발효를 통한 천연물 신약 등 신기능물질의 생산가능성을 확인하였다.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에 의한 감국 추출물의 항산화능의 변화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by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

  • 이자복;최재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23-231
    • /
    • 2021
  • 유산균에 의한 감국 추출물(CIL)의 항산화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64%, 80% ethanol 로 추출한 농도별 CIL를 발효시켜 total phenolic contents (TPC), flavonoi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educing power (RP), linoleic acid 자동산화 저해활성의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TPC의 경우 3109, 3237에서 증가하였으며, flavonoid에서는 모든 균주에서 감소를 나타냈다. DPPH 측정에서는 64% CIL 발효 후 3074, 3109에서 증가하였으며, 80% CIL 발효에서는 모든 균주가 증가를 나타냈다. RP측정에서는 64%, 80% CIL에서 모든 균주에서 증가를 보였으며, linoleic acid 자동산화 저해활성에서는 모든 균주에서 감소를 나타냈다. 특히 3109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DPPH와 RP 측정에서 다른 균주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측정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4종의 유산균 중에서 3109가 발효과정을 통해서 CIL의 항산화 효능을 효과적으로 증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산균을 첨가한 발효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산화억제 효과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Fermented Meat by Addition of Lactobacillus casei)

  • 한승관;홍용
    • 육가공
    • /
    • 통권34호겨울호
    • /
    • pp.40-47
    • /
    • 2007
  • 본 연구는 돈육 등심 부위 근육을 이용하여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10% 유산균 L. casei KCTC 3109를 첨가한 처리구 T1 구의 비교실험을 통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돈육의 일반성분에서 수분, 지방, 회분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가 T1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등심 부위의 pH와 보수성은 T1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가열감량은 대조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육색은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에서 대조구가 T1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TBARS치는 3일 간 정 치 배 양 한 T1구 가 0.02 MA mg/1,000 g으로 대조구 0.19MA mg/1,000 g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 PDF

유산균을 첨가한 발효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산화억제 효과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Fermented Meat by Addition of Lactobacillus casei)

  • 한승관;홍용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8-222
    • /
    • 2006
  • 본 연구는 돈육 등심 부위 근육을 이용하여 유산균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10% 유산균 L. casei KCTC 3109를 첨가한 처리구 $T_1$구의 비교실험을 통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돈육의 일반성분에서 수분, 제방, 회분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가 $T_1$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등심 부위의 pH와 보수성은 $T_1$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가열감량은 대조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육색은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에서 대조구가 $T_1$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TBARS 치는 3일간 정치배양한 $T_1$구가 0.02 MA mg/1,000 g으로 대조구 0.19 MA mg/1,000 g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대두 요구르트 제조에서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가수분해 (Hydrolysis of ${\beta}-glycosidic$ Bonds of Isoflavone Conjugates in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of Soy Milk)

  • 최연배;우제구;노완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9-195
    • /
    • 1999
  • 두유에 존재하는 이소플라본은 주로 포도당 잔기가 aglycone인 genistein과 daidzein에 ${\beta}-glycoside$ 결합을 하고 있는 배당체인 genistin과 daidzin이다. 두유에 설탕을 첨가하여 유산균으로 대두 요구르트로 발효를 시키면 젖산의 생성은 매우 낮아 약 $0.16{\sim}0.29%$에 불과하였지만 대부분의 이소플라본 배당체가 가수분해되어 aglycone으로 전환되었다. 포도당이나 젖당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면 정상적인 젖산발효는 일어났지만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가수분해는 균주에 따라 변하였다.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delbrueckii KCTC 1047은 당의 첨가와 무관하게 이소플라본 배당체를 완전히 가수분해시켰다. 그 밖의 균주는 daidzin은 약 $25{\sim}40%$, genistin은 약 $65{\sim}80%$ 정도만을 가수분해시켜 이들 당에 의해 가수분해가 감소하였다. 즉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delbrueckii KCTC 1047을 제외한 Lactobacillus bulgaricus KCTC 3188,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KCTC 1058, Lactobacillus lactis KCTC 2181과 같은 균주의 경우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가수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인 ${\beta}-glucosidase$가 유도 효소로 포도당이나 젖당에 의해 생산이 저해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MRS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에도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delbrueckii KCTC 1047만이 이 효소를 생산하였다.

  • PDF

Lactobacillus spp. 이용 발효 붉나무의 기능성물질 검색에 대한 연구 (Functionality Analysis of Rhus javanica Fermented by Lactobacillus spp.)

  • 이동성;강민수;김윤철;임남경;김현수;정길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4-5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를 Lactobacillus속 균주로 발효시켜 기능성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별한 발효에 사용한 10가지 한약은 100% methanol로 추출하여 Lactobacillus속 균주와 MRS배지를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발효 후 ethyl acetate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10가지 중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고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마우스 해마 유래 세포주인 HT22 세포에서 glutamate로 유발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했으며, 이는 heme oxygenase-1 단백질 발현에 의한 것 임을 밝혔다. 또한, 뇌세포 보호에 heme oxygenase-1 발현의 주요 기전인 Nrf2 핵 내의 전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붉나무의 발효 전과 후의 항균, 항산화 효과 비교 실험에서는 붉나무를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b. fermentum KCTC 3112, Lb. brevis KCTC 3498 균주로 각각 발효한 한약재는 발효 전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b. casei KCTC 3109로 발효한 붉나무 발효액과 ethyl acetate 여액층은 Bacillus subtilis PCI 219, Escherichia coli KCTC 1682, Shigella flexneri KCTC 2517, Vibrio parahaemolyticus KCTC 7471,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에 모두 항균활성을 보였다.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여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은 B. subtilis PCI 219, E. coli KCTC 1682, S. flexneri KCTC 2517, V. parahaemolyticus KCTC 7471 균주에서 발효한 추출물이 단순 붉나무 추출물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시판 유제품 중에서 분리된 젖산균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생존 효과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Survival of Lactic Acid Isolated from Commercial Daily Product)

  • 이지혜;김재경;조으리;성낙윤;최종일;김재훈;송범석;박종흠;육홍선;이주운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5-178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by gamma irradiation. Lactic acid bacteria were exposed to irradiation with a single absorbed dose of 1, 2, 3, 4, 5, 6, 8, and 10 kGy. Possible lactic acid bacteria, including Lactobacillus paracasei KCTC 13169,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40,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3, Lactobacillus debruekii subsp bulgaricus KCTC 3635, Streptococcus thermophilus KCTC 3658 were selected. The radiation sesitiv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expressed as $D_{10}$ values. The $D_{10}$ values of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casei,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debruekii were calculated as 0.42, 0.51, 0.47, 0.90, 0.44, and 0.61 kGy, respectively. Results suggest that L. acidiphilus has the highly resistant to gamma irradiation.

한약재발효액의 항생제 다제내성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ermented Sayuksan Ingredient Extracts for Multidrug-resistant Strains)

  • 박영자;강동희;김현수
    • KSBB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210-219
    • /
    • 2014
  • Sayuksan has been widely applied to treat a variety of diseases such as acute hepatitis, gastritis, and colitis. Sayuksan consists of medicinal herbs such as Glycrrhizae uralensis Fischer, Paeonia lactiflora Pallas, Bupleurum falcatum Linne, and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 Methanol extracts (1 mg/mL) from the four kinds of medicinal herbs did not show antibiotic activities against general test strains and multi-drug resistant strain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fermented medicinal herbs extracts with Lactobacillus spp. strain was confirmed as Gram-positive bacteria which are higher than Gram-negative bacteria. Extracts of Glycrrhizae uralensis Fischer fermented with Lb. casei KCTC 3109 displayed inhibitory diameters of 16 mm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P01828.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of the medicinal herb extracts was not determined, but the extract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fermented with six strains of Lactobacillus spp.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SOD-like activity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extracts fermented by Lb. brevis KCTC 3498 was $41.4{\pm}0.8%$, which wa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 fermented extracts with the other medicinal herbs.

발효한약의 항생제 다제내성균 Pseudomonas aeruginosa를 억제하는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Fermented Korean Medicine Against 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 류지연;박영자;김현수
    • KSBB Journal
    • /
    • 제26권6호
    • /
    • pp.543-551
    • /
    • 2011
  • Bacterial antibiotic resistance is a real and growing problem for both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l pathogens in the hospital setting. Among Gram negative bacteria, the ubiquitous bacterium Pseudomonas aeruginosa is a particular concern in immunocompromised and burn patient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antibacterial activity and efficacy of a Korean herbal medicine against eight multi-drug resistant clinical isolates of P. aeruginosa (0225, 0254, 0347, 0826, 1113, 1378, 1731, and 2492) isolated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Methanol extracts of Galla rhois (5 and 10 mg/mL) displayed inhibition diameters for isolate 2492 of 10 and 12 mm, respectively, in a conventional disc diffusion assay. In seven kinds of Korean herbal medicines, increased inhibitory power of Lonicera japonica, Gardenia jasminoides, Galla rhois, and Scultellaria baicalensis was evident with the fermentation of six kinds of lactic acid bacteria. Three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 casei KCTC 3109, and L. fermentum KCTC 3112) were identified as excellent strains for the production of antibacterial materials. In the six Korean herbal medicine extracts, strong inhibitory activity of fermented Forsythia suspensa, Glycyrrhizae radix, Lycium chinense, Platycodon grum, and Schizandra chinensis with five kinds of lactic acid bacteria was evident for seven multi-drug resistant P. aeruginosa isolates.

EM(Effective Microorganisms)과 관련된 유산균을 첨가한 발효육의 산화억제 효과

  • 한승관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135-137
    • /
    • 2004
  • 유산균을 첨가한 발효육의 지방산패도를 측정하여 EM의 항산화 효과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발효육의 생산에 사용된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 공시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지원센터 한국유전자은행에서 주문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돈육은 도살 후, $4^{\circ}C$ 냉장고에 저장하였던 랜드레이스의 대퇴부 육을 사용하였다. 발효육의 항산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TBA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대조구는 저장 0일부터 저장 3일까지 TBARS 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저장 4일째부터는 TBARS 치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유산균을 첨가한 육에서는 저장 0일째부터 2일째까지는 약간 TBARS 값이 증가하였으나 저장 3일째는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저장 4일째부터는 TBARS 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조구의 저장 3일째의 TBARS치가 0.19 mgMDA/Kg을 나타낸 반면, 유산균을 첨가하여 $37^{\circ}C$에서 3일간 정치 배양한 발효육의 TBARS치는 0.02 mgMDA/Kg을 나타내 8배 정도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유산균 자체가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었고 EM의 항산화 효과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