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Impact Force of Whee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5초

차륜탈선 시험설비를 활용한 탈선 영향인자 분석 (Derailment Impact Factor Analysis Utilizing Wheel Derailment Test Facilities)

  • 함영삼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68
    • /
    • 2011
  • This is a testing equipment system to analyze variation of creep force according to wheel-rail tread profile, running speed of vehicle, vertical and lateral force, wheel/rail contact point, attack angle and so on. In this paper, derailment occur in stages until the change of each parameter, while reproducing the actual situation was derailed. Thus, to derail what is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 PDF

영종대교 강직결 궤도구조의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 (Dynamic Behavior of Direct Fixation Track on Yeongjong Grand Bridge)

  • 최정열;이규용;정지승;안대희;김수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443-44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영종대교를 구성하고 있는 교량형식(트러스교, 현수교)별 열차종류(AREX, AREX Express, KTX, KTX-Sancheon) 및 열차속도가 강직결 궤도구조의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현장측정을 수행하였다. 현장측정결과를 바탕으로 궤도충격계수 및 열차주행안정성(탈선계수, 윤중감소율, 레일두부횡변위)을 국내, 외 관련기준 및 법규와의 비교하여 영종대교 교량상 강직결 궤도구조의 동적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열차하중 및 속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종대교 교량형식별 궤도의 동적거동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으나 열차하중의 크기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열차속도 증가에 따른 궤도충격계수의 증가와 이에 따른 궤도부담력의 증가수준을 감안한 영종대교 강직결 궤도구조의 보강방안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분위기 형상을 고려할 수 있는 동특성 해석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Turnout Dynamic Analysis Program Considering its own Shape)

  • 정우진;양신추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59-163
    • /
    • 2004
  • The KNR(Korean National Railroad) has a speed limit regulation(130km/h) for the train passing the turnout to guarantee a safety. Since that speed is set as below the maximum commercial speed(140km/h), it has been regarded as a major factor to obstacle the total efficiency. The crossing rail part of the turnout system is formed into a antisymmetric, furthermore, there are several discontinuous part. Thus, measuring the strain signals of this part is impossible actually and it must be in the most difficult work related the turnout research. In this research, the program that can anticipate the signals at the various conditions with considering its own shape was developed and the preciousness of its results had been examined by comparing analyzed and measured ones at the other parts. The simulation was performed with varying the factors such as train speed and contact depth. As a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regulation was not useless and very important guide at least up to now.

  • PDF

분기기 통과속도 제한규정에 대한 타당성 검토연구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for the Speed-limit Regulation on the Turnout System)

  • 정우진;구동회;양신추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93-100
    • /
    • 2005
  • The turnout system is typical railway facility to be in the way of conventional railway line's speed-up. The KNR(Korean National Railroad) has a speed limit regulation (130km/h) for the passing the turnout to guarantee a safety. This research had been performed to confirm the propriety of this regulation by using experimental and analytical way before it was carried out. The reasonableness of the speed-limit regulation was judged base on the several experiments. It was proved that the regulation was not useless as it had been regarded and very important guide at least up to now.

틸팅열차 주행시 기존선 흙 노반의 응답특성 (Tilting Train-induced Roadbed Response on the Conventional Line)

  • 고태훈;곽연석;황선근;사공명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433-441
    • /
    • 2011
  • 한글초록은 기존선 고속화의 여러 대안 중 선로의 직 복선화 및 신선 건설에 의한 기존철도의 고속화는 시간단축 효과나 선로용량 증대의 폭은 크지만 막대한 투자 재원이 소요된다. 이에 비해 기존선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속도를 향상하기 위해 선형개량 및 준고속 틸팅열차의 투입은 기존 인프라를 이용함으로서 보다 경제적이며 실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틸팅열차의 경우 기존열차와는 주행 메카니즘이 다르기 때문에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부설되어 있는 궤도노반의 성능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열차주행에 따라 발생하는 노반의 침하는 궤도틀림이나 열차의 탈선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틸팅열차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궤도 부담력에 따른 노반의 거동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계측을 통해 틸팅열차의 기존선 주행속도별(120~180km/h) 주행안전성과 노반성능을 평가하였다. 모든 주행속도에서 탈선계수와 윤중감소율 허용한계치를 만족하였으며, 또한 노반성능 면에서는 기존 운행 고속열차(KTX)에 비하여 작은 노반응답(노반압력, 노반침하, 노반진동가속도)을 보였다. 이러한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기존열차와 혼용 투입될 틸팅열차는 본 연구의 계측대상 노선과 동일한 성능수준의 궤도노반에서는 최고운영속도(180km/h)에서 안전한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