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af shape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4초

고려인삼의 화서, 화촉, 과실 및 엽의 형태학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florescence, Flowering Bud, Fruit and Leaf of Korean Ginseng)

  • 최광태;신희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67-74
    • /
    • 1982
  • To clarif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inseng cultivated, the shapes and frequencies of Inflorescence, flowering bud, fruit, and leaf were investigated. The shapes of inflorescence, flowering bud and fruit, and leaf were divided into 6, 3, and 7 groups, respectively. The frequencies of these shap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lanting positions.

  • PDF

Comparison of Two Nondestructive Methods of Leaf Area Estimation

  • Woo, Hyo-Jin;Park, Yong-M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1호
    • /
    • pp.61-65
    • /
    • 2009
  • We compared two nondestructive methods for leaf area estimation using leaves of 16 common plant species classified into six types depending on leaf shape. Relatively good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actual leaf area (LA) and leaf length (L), width (W), or the product of length and width (LW) were found for ordinary leaves with lanceolate, oblanceolate, linear and sagitttate shapes with entire margins, serrate margins, mixed margins with a entire form and shallow lobes, and ordinary incised margins. LA was better correlated with LW than L or W, with $R^2$ > 0.91. However, for deeply incised lobes, LA estimation using LW showed low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indicating low accuracy. On the other hand, a method using photographic paper showed a good correlation between estimates of area based on the mass of a cut-out leaf image on a photographic sheet (PW) and actual leaf area for all types of leaf shape. Thus, the PW method for LA estimation can be applied to all shapes of leaf with high accuracy. The PW method takes a little more time and has a higher cost than leaf estimation methods using LW based on leaf dimen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searchers should choose their nondestructive LA esti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ir research goal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Trichomes and acorns in artificial hybrids of Quercus alien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and Q. serrat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hybrids

  • Lee, Jeong-Ho;Kang, Kyu-Su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6-272
    • /
    • 2009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trichomes and acorns were investigated in 6-year-old artificial hybrids of Q. alien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and Q. serrat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Leaf shapes of Q. alien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F_{1}$ were obovate and resembled to that of Q. aliena. But several characters including the size of leaf and petiole and the shape of leaf base resembled to those of Q. mongolica var. crispula. In F1 hybrids, small stellate hairs distributed sparsely on the abaxial surface and their lay length was intermediate between both parent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on characters of nuts and cupules between both parents and $F_{1}$ hybrids. Leaf shapes of Q. serrat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F_{1}$ were obovate-elliptic, and the leaf shape and leaf base and the length of petiole resembled to those of Q. mongolica var. crispula, but leaf size and serration resembled to those of Q. serrata. The number of serration in a leaf was intermediate between both parents. Small stellate hairs distributed sparsely and large single hairs were mixed on the reverse side of leave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on the number and size of stellate hairs between $F_{1}$ hybrid and Q. serrata. It is able to distinguish $F_{1}$ hybrids from both parents by the size leaf size and shapes, leaf base and serration, petiole length and trichome type in the leaf.

경남지역 둥굴레속의 형태적 특성에 의한 분류와 형질간 상관 (Classification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of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Area)

  • 심재석;박정민;전병삼;강진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9
    • /
    • 2005
  • 경남지역의 자생 둥굴레속 47개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집종의 생장 몇 형태 관련 형질, 잎마름병 감염정도, 이들 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산둥굴레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짧았다. 한편 줄기의 생장형태는 직립형을 포함한 3개군으로, 줄기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하였다. 2. 염의 형태로는 타원형을 포함한 5개군으로, 엽병은 존재 유무로부터 2개군으로, 엽병의 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에 특이하게 피침 형태로 엽연이 자색인 1개종이 수집되었다. 3. 꽃은 화형이 항아리형, 통형, 조롱박형의 3개군으로, 화색은 흰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특별하게 조롱박형인 1개 수집종은 연녹색을 띄고 있었다. 화사는 실린더형과 편평형으로, 화경의 색깔은 자색을 포함한 4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포의 존재 유무와 형태에 따라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4. 과실은 둥근형 등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백과중은 둥굴레에서 가장 무거웠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가벼웠다. 5. 둥굴레 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아주 강한 것은 2종, 이병율이 7% 이하인 것은 7개종으로 조사되어서 근경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저항성 유전자원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제형질의 상관관계에서 근경수량과 관련된 근경중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엽폭, 지하경 직경과 정의상관을 보였으나 근경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잎마름병 이병율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백립중, 근경중, 지하경 직경과 부의상관을 보였다.

제비꽃속(제비꽃과)의 신종 : 방울제비꽃 (Viola breviflora Jungsim Lee & M. Kim) (A new species of Viola (Violaceae): V. breviflora Jungsim Lee & M. Kim)

  • 이정심;황용;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4-87
    • /
    • 2014
  • 강원도 석병산에서 제비꽃속의 신종인 방울제비꽃(Viola breviflora Jungsim Lee & M. Kim)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방울제비꽃은 무경종이고 꽃이 흰색이며 엽신과 엽병에 털이 있어 잔털제비꽃과 유사하다. 그러나 방울제비꽃은 잎이 장란형이고 엽저는 얕은 심장저이며 화경이 짧고 꽃이 많이 달리며 지하경은 L형이고 열매는 보라색이며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반면에, 잔털제비꽃은 잎이 심장형이고 엽저는 깊은 심장저이며 화경이 길고 꽃이 적게 달리며 지하경은 무정형이고 열매는 녹색이며 주로 저지대에서 자라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특징기반 영상 워핑을 활용한 다양한 디지털 잎 모델링 (Modeling of Various Digital Leaves Using Feature-based Image Warping)

  • 김진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35-24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잎을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특징기반 워핑을 활용한 잎 모델링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다수의 다양한 잎의 형상을 쉽고 직관적으로 제어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상처리 응용 기술 중 하나인 워핑 방법을 활용한다. 먼저 잎몸 영상으로부터 잎몸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는 근사화된 컨투어 정보를 찾고, 이를 기반으로 특징기반 워핑에 사용되는 제어선을 자동으로 계산한다. 다음으로 제어선기반 워핑을 통해 잎몸 영상을 직관적으로 변형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잎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된 잎몸 영상의 컨투어 정보들로부터 컨투어기반 잎맥 성장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잎몸에 해당하는 샘플 이진영상 한 장을 사용하여 식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형상의 잎을 효율적으로 생성 가능한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입증한다. 또한 워핑을 잎몸의 성장에 적용하여 잎의 자연스러운 성장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한국산(韓國産) Prunus속(屬) 수(數) 종(種)의 엽밀선(葉蜜腺)의 형태(形態)에 관한 연구(硏究) (Morphological Study on the Leaf Nectar Glands of Some Prunus Species in Korea)

  • 박광우;정우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407-412
    • /
    • 1990
  • 한국산(韓國産) Prunus 4종(種) 품종(品種)에 대한 엽신저부분(葉身底部分)과 엽병상(葉柄上)의 밀선(蜜腺)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은 다음과 같았다. 밀선(蜜腺)의 형태(形態)는 평면상(平面上)으로 원형(圓型)과 부정타원형(不定楕圓型)이 있으며 원형(圓型)에는 개벚지나무, 산개벚지나무, 산벚나무와 왕벚나무가 있었고, 부정타원형(不定楕圓型)에는 올벚나무가 있었다. 밀선(蜜腺)의 측면상(側面上) 형태(形態)는 중앙요두형(中央凹頭型)으로 개벚지나무, 산벗나무와 왕벗나무가 있었으며 부정요두형(不定凹頭型)은 올벚나무, 원두형(圓頭型)은 산개벚지나무 1종(種)이 있었다. 특이(特異)하게 올벚나무는 밀선(蜜腺)이 엽신(葉身)에서 융기되어 엽신(葉身)뒷면이 함몰된 형태(形態)를 나타냈다. Prunus속(屬) 및 종(種)은 밀선(蜜腺)의 부위별(部位別) 출현율(出現率)과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해 검색(檢索)이 자능(可能)하였다.

  • PDF

Leaf Architectural Studies in the Asteraceae-II

  • Ravindranath, K.;Inamdar, J.A.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1호
    • /
    • pp.57-67
    • /
    • 1985
  • Leaf architectural studies have been made in 15 genera and 25 species belonging to 6 tribes of the Asteraceae. Major venation pattern conforms to pinnate craspedodromous (simple and semi), pinnate camptodromous with festooned brochidodromous secondaries, acrodromous and actinodromous. Qualitative leaf features and numerical data regarding the venation pattern are charted. Areoles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are observed. Tracheids occur either solitary or in groups. Grouped tracheids are either uniseriate, biseriate or multiseriate. Isolated free vein endings are observed in Centratherum phyllolaenum. Bundle sheath is prominent in Xanthium strumarium. Secretory cavities are observed in the lamina of Tricholepis amplexicaulis.

  • PDF

최적화기법에 의한 나뭇잎 그물맥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Woody Leaf Netted Venation Based on Optimization Technique)

  • 첸레이;리웨이정;장강원;백태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4호
    • /
    • pp.323-32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나뭇잎 그물맥 구조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잎 그물맥을 상 하 보강 박막판과 비압축성 유체가 흐르는 중간층 구조로 모델링하여 다중물리 현상으로 간주하고, 위상 최적화법을 다중물리 설계영역에 적용하였다. Mindlin-Reissner 판 모델에 기인한 횡방향 전단잠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1 비적합 요소와 선택 감소 적분법을 이용하였다. 다시-스토크스 유체 유동 채널에 대해 최적설계법을 적용하여 유동 시스템의 다중물리 모델을 해석하였으며, 잎의 그물맥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계산된 최적형상을 잎의 자연 그물 맥 패턴과 비교하였으며 비슷한 형상을 얻었다. 이와 같은 학제간 연구를 통해 나무 잎 그물맥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Molecular Biodesign of Plant Leaves and Flowers

  • Kim Gyung-Ta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3호
    • /
    • pp.137-142
    • /
    • 2003
  • The morphology of the leaves and the flowers of angiosperms exhibit remarkable diversity. One of the factors showing the greatest variability of leaf organs is the leaf index, namely, the ratio of leaf length to leaf width. In some cases, different varieties of a single species or closely related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by differences in leaf index. To some extent, the leaf index reflects the morphological adaptation of leaves to a particular environment. In addition, the growth of leaf organs is dependent on the extent of the expansion of leaf cells and on cell proliferation in the cellular level. The rates of the division and enlargement of leaf cells at each stage contribute to the final shape of the leaf, and play important roles throughout leaf development. Thus, the control of leaf shape i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shape of cells and the size of cells within the leaf. The shape of flower also reflects the shape of leaf, since floral organs are thought to be a derivative of leaf organs. No good tools have been available for studies of the mechanisms that underlie such biodiversity. However, we have recently obtained some information about molecular mechanisms of leaf morphogenesis as a result of studies of leaves of the model plant, Arabidopsis thaliana. For example, the ANGUSTIFOLIA (AN) gene, a homolog of animal CtBP genes, controls leaf width. AN appears to regulate the polar elongation of leaf cells via control of the arrangement of cortical microtubules. By contrast, the ROTUNDIFOLIA3 (ROT3) gene controls leaf length via the biosynthesis of steroid(s). We provide here an overview of the biodiversity exhibited by the leaf index of angiosperms. Taken together, we can discuss on the possibility of the control of the shapes and size of plant organs by transgenic approaches with the results from basic researches. For example, transgenic plants that overexpressed a wildtype ROT3 gene had longer leaves than parent plants, without any changes in leaf width. Thus, The genes for leaf growth and development, such as ROT3 gene, should be useful tools for the biodesign of plant org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