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 trait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사이버 교육 시스템에서의 개별학습을 위한 적응적 탐색 지원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Adaptive Navigation Support Technology for Individualized Cyber Learning System)

  • 박종선;김기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85-9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 시스템에서 학습자의 개인적인 특성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는 코스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학습자 특성 분석 및 프로파일 관리 소프트웨어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학습자의 특성요인으로서는 개인신상정보, 학습성취도 정보, 학습 특성 및 수행성과 포트폴리오 정보 등이며 이를 학습자 프로파일 관리 DB에서 학습자 특성에 대한 정교한 분석을 기반으로 관리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구조화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성하였으며 이는 High level & Low level 구조화 기법을 활용하고, 학습 주제와 세부 학습과제로 계열화하여 학습내용을 정교하게 구성할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적응적 탐색지원과 규칙기반 기법을 활용한 조언 알고리듬 모듈을 구현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교육용컨텐츠를 다양한 매체로 학습할 때 학습자 개개인의 개별학습을 위주로 한 자기주도학습을 구현하는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이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of New Fire Officers on Job Implementation)

  • 채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131-140
    • /
    • 2020
  •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의 효과가 현업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용되는지에 대한 검증작업은 극히 미미한 상태이며, 학습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 등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주장되는 직무만족에 따른 현업적용의 실증적 검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신임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학습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 등이 재난현장과 소방행정 집행의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임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이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특성과 학습성과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과 교육프로그램, 학습성과와 학습자특성이 현업적용도에 유의미한 영향(P < 0.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특성에 따른 유사과학(Pseudo-Science)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Relationship of Characteristics as a Learner to Perception of Pseudo-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우종필;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1호
    • /
    • pp.46-5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tudents about pseudo-science in consideration to their personality traits, cognitive style, and awareness of the nature of science, which might all have a great impact on their behavior and thin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9 sixth-grade school children in a small urban community in Gyeonggi province. The way they looked at pseudo-science was investigated after three kinds of traits were selected as variables, including personality traits, cognitive style, and awareness of the nature of science. Four different instruments were utilized, which respectively covered personality traits, cognitive style, awarenes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perception of pseudo-sc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ith higher emotional stability and liveliness showed higher permeability towards pseudo-science, whil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ir view of pseudo-science. Second, their cognitive styl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outlook on pseudo-science. Third, as for link between awarenes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pseudo-science, the students with a poo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who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it in perception of pseudo-science(p<.05).

  • PDF

언플러그드 수업의 학습자 특성별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the Unplugged Class According to Learners' Attributes)

  • 서본원;이수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91-298
    • /
    • 2012
  • 최근 컴퓨터 과학의 내용을 학습자들에게 쉽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언플러그드 수업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어떤 학습자들에게 언플러그드 수업이 적합한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플러그드 컴퓨터 수업 후 성취도 검사 결과를 통해 각 점수 분포별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은 사전 조사된 컴퓨터 환경과 기질로 나눠진다. 각 성취 수준별 학습자의 컴퓨터 환경과 기질의 관계는 연관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실제 초등학교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규칙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의 언플러그드 교수 학습 계획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학습자 인지 구조체를 이용한 추론의 개별화 전략 (A Individualized Reasoning Strategy using Learner's Cognitive Union)

  • 김용범;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31-39
    • /
    • 2006
  • 지식정보 사회로의 변화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고, 이에 따라 지능형 학습과 원격 교육은 지속적인 연구 주제로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연구 분야에서의 교수 학습 방법은 학습의 개별성, 즉, 개별 학습자의 특성에 의존하는 학습 요소 및 경로의 추출을 전제로 하며, 이는 '개별화된 추론 전략'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경논리망의 확장 개념인 X-Neuronet(eXtended Neuronet)을 근거로, 학습 내용을 위계적 표상과 자체의 자기 학습(self-learning)이 가능한 학습자 인지구조체로 표현하고, 이 구조체를 이용하여 개별 학습자의 지식상태에 의존하는 추론의 개별화 전략을 설계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학습자 특성이 프로그래밍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the achievement of programming)

  • 유병건;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5-24
    • /
    • 2014
  • 정보 교과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은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력 향상은 성별, 프로그래밍 방식 등의 학습자 특성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특성을 구분하고, 학습자 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래밍 방법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는 S 고등학교 학생 6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개별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성별과 프로젝트 선호도이고, 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프로그래밍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 자료를 통해 학습자 특성의 관점에서 프로그래밍 수업을 어떻게 진행해야 할 것인지 논의하고, 고려되어야 할 학습자 특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PDF

자아개념과 태도 및 학습습관이 수학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concept, Attitude and Learning habit on Academic Achievement - Focused on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수희;노영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99-213
    • /
    • 2011
  • 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크게 학습자특성변인, 교수자특성변인, 학습과제특성변인, 환경특성변인으로 구분하여 논의해 볼 수 있는데, 이 요소들 중에서도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교육 계획을 작성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특성 중 정의적 특성인 자아개념 학습습관 학습태도가 수학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 및 태도에 관한 교육 방법으로 모색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A 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2개반 7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에 대한 자아개념,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 수학에 대한 학습습관, 수학에 대한 태도, 학업 에 대한 학습습관, 학업에 대한 태도 순으로 수학학업성취와 상관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an Effective Strategy to Teach Evolution

  • Ha, Min-Su;Cha, Hee-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0-454
    • /
    • 2011
  • This study proposes a new instructional strategy and corresponding materials designed from various alternative framework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evolution as a biologically acceptable theory. Biology teachers have normally taught the evolutionary mechanism by means of comparing Lamarckism with natural selection. In this study, a new instructional strategy in which the Lamarckian explanation is first excluded because Lamarckism is known to be subsumed in a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as a strong preconception of evolution is suggested for teaching evolution. After mutation theory is introduced, Darwinism including natural selection is explained separately during the next class hour. Corresponding instructional materials that aid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ary mechanism were developed using recently published articles on human genetic traits as scientific evolutionary evidence instead of the traditional evolutionary subject matter, giraffe neck. Evolutionary evidence from human genetic traits allows students to exclude anthropocentric thoughts effectively and raise concern for the phenomenon of evolution positively. The administered instructional strategy and materials in this research improved student conception, concern, and belief of evolution and it is believed that they helped students understand the evolutionary mechanism effectively.

대학교의 정보교육 만족과 성과의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Information Education in College)

  • 전병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77-48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 시대의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교에서 실시되는 정보교육의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으로,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하는 학습자의 관점과 실습실 및 교수자 특성의 환경 관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환경 측면의 실습실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컴퓨터 자기효능감, 혁신성, 동기, 자기조절 효능감, 교수자 특성)이 정보교육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정보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분석은 정보화 사회의 인재양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정보교육을 위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Virtual World-Based Information Security Learning: Design and Evaluation

  • Ryoo, Jungwoo;Lee, Dongwon;Techatassanasoontorn, Angsana 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3호
    • /
    • pp.6-27
    • /
    • 2016
  •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and enthusiasm for the application of virtual worlds in learning and training. This research proposes a design framework of a virtual world-based learning environment that integrates two unique features of the virtual world technology, immersion and interactivity, with an instructional strategy that promotes self-regulatory learning. We demonstrate the usefulness and assess the effectiveness of our design in the context of information security learning.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security learning module implemented in Second Life was incorporated into an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ecurity course. Data from pre- and post- learning survey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module. Overall,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virtual world-based learning environment enhances information security learning, thus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design framework. Additional results suggest that learner trait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learning outcomes through perceived enjoyment. The study offers useful design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to develop a virtual world-based learning environment. It also represents an initial step towards the design and explanation theories of virtual world-based learning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