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burnou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 온라인학습에서 학습몰입과 학습소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learning burnout in college online classes)

  • 임희주;이영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39-4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온라인 학습자들의 학습몰입, 온라인 학습의 효과성, 그리고 학습소진간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있다. 총 149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학습몰입, 학습소진, 그리고 배경질문을 포함한 설문 작성을 완료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학습몰입이 높은 참가자들은 학습소진이 낮았다. 또한, 지각된 온라인 학습의 효과가 인지적 학습몰입과 학습소진의 관계에서는 부분적으로 매개했지만 정의적 학습몰입과 학습소진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인지적 학습몰입이 높은 학습자들은 온라인 학습을 보다 효과적이라고 지각했기 때문에, 학습소진을 낮추기 위해서 학습자의 인지적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대학차원에서 학생들에게 행정적 지원과 적절한 온라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Prediction Research on Cyber Learners' Cours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 JOO, Young Ju;JOUNG, Sunyoung;KIM, Hae Ji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6권2호
    • /
    • pp.85-11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learning strategy utilizatio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support predict cours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To this end, self-efficacy, learning strategy utilizatio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support were used as prediction variables; and cours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s criterion variables. The subjects were 178 students who registered for online and mobile "Culture and Art History" courses at K online university. They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lf-efficacy and learning strategy utilization positively predicted cours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cademic burnout negatively predicted them, and school support predicted neither. Accordingly, we suggest that rais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strategy utilization, and reducing academic burnout in the learning environment will improve the cours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of online learners.

조절초점,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소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gulatory Focu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Burnout on Academic Achievement)

  • 정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455-5464
    • /
    • 2013
  •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소진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1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조절학습은 조절초점의 하위변인인 향상초점과 학업소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소진은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절초점은 자기조절학습을 기반으로 한 학업소진을 통해 실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자기조절학습을 높이고 학업소진을 줄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학업소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시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ime on the Effect of Academic Burnout on Self-esteem)

  • 권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57-16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업소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시간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의 중학생 1,045명을 대상으로 학업소진, 학습시간, 자존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응답을 통해 3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학업소진, 학습시간, 자존감의 집단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업소진과 학습시간은 집단별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자존감은 성별, 학년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업소진과 학습시간은 자존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학습시간과 자존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학업소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시간은 모두 부분매개하였다. 이는 학업소진이 중학생의 자존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 아니라, 학습시간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넷째,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매개변인인 학습시간이 자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여학생의 경우는 학습시간이 자존감에 유의미한 통계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여학생만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중학교 1,2학년은 학습시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으나, 중학교 3학년의 경우 학업시간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설문을 통해 급격한 성장기인 중학생 시기에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에 따른 접근 뿐 아니라 학년별로도 학업소진이 학습시간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한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실습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Practice Burnout in Student Nurses)

  • 조헌하;강정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99-20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erception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resilience and perfectionism in relation to practice burnout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ractice burnout in student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were 313 student nurses from three universities in B and U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acute{e}}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ean score for practice burnout in student nurses was 2.92 out of 5 points. Practice burnout explained 44.7% of the variance in perfectionism (${\beta}=.245$, p<.001),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beta}=.232$, p<.001), resilience (${\beta}=-.228$, p<.001),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beta}=-.193$, p<.001), satisfaction with major (${\beta}=.180$, p=.001), practical relationships with peers (${\beta}=.128$, p=.005),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beta}=.124$, p=.039). Conclusion: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 important variable for student nurses' practice burnout is perfectionism. Therefore education is needed to develop strategies to manage perfectionism and reduce practice burnout.

학습조직활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on the Job burnout -Trustworthiness as a Moderating variable-)

  • 김진욱;장영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185-211
    • /
    • 2016
  • 본 논문은 학습조직활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의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독립변수인 학습조직활동 중 연구대화 활성화와 팀학습 조직화가 직무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말해 질문하고, 피드백을 주며 다양한 학습방법을 실험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조직의 노력과 팀의 효과적인 활용을 강화할 수 있는 협력적인 학습이 직무소진의 핵심적 차원으로 간주되는 정서적 탈진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서적 탈진으로 인하여 자신의 고객, 동료, 직무 등에 대하여 부정적이고 냉소적이며, 형식적으로 처리하여 더 이상의 정서적 탈진을 막으려고 하는 비인격화도 낮춰주고 있다. 그리고 연구대화 활성화와 팀 학습 조직화은 직무상에서 성취도 부족으로 생기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인 개인성취감감소 또한 낮춰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 분석의 결과, 독립변수 가운데 전략적 학습리더십과 직무소진 중 비인격화와 정서적탈진과의 영향관계에서 신뢰성(정직성, 호의, 능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국 상사가 가지고 있는 신뢰성은 리더들이 변화를 주도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학습이 조직구성원들의 정서적탈진과 비인격화를 완화시키는데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AI(Appreciative Inquiry)와 같이 긍정적 탐구를 위한 질문법과 강점을 발견하기 위한 피드백분석과 같은 학습차원에서 의사소통이 직무소진을 완화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점과 리더의 개인의 역량으로 볼 수 있는 전략적 학습리더십이 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사의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다.

  • PDF

The Study of social factors toward Academic Satisfaction in E-Learning Education

  • Kim, Kyung-W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35-139
    • /
    • 2016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mpirical implications.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s of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oward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durability of learning in E-Learning University. For empirical verifi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00 students in E-learning Universities. The results show that actional environment on academic satisfaction in learn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physical environment, internal motivation, and academic burnout.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learning persistence was important in the order of academic vision, internal motivation, actional environment and physical environment. The effect of academic satisfaction on learning durability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 that actional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with top priority to increase the academic satisfaction.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vision, and academic satisfaction to enhance students' intention to continue studies are important. Academic burnout has a negative effect on both academic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suggesting that this aspect should be properly addresses. The effects of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in E-learning were explored.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일반 사무직과 서비스직의 비교 (The Effe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Job Burnout - A Comparison of office workers with service employees.)

  • 윤장원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6권4호
    • /
    • pp.255-274
    • /
    • 2006
  • Recently firms become largely changed because of rapi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erious global competition. It induces job stress of workers and finally leads to job burnout.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ffe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job burnout. Job demands contains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role overload and job characteristics. Job resources contains job control and feedback, involvement in decision making, learning opportunity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 reveals that job demands raises job burnout and job resources decreases job burnout. And it reveals that the effe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job burnout differs slightly according to job categories.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 학업소진에 미치는 융복합적인 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An analysis on Structure Equation Model of Convergent Influence on Academic Burnout of Health Major Students in Studying for TOEIC)

  • 홍수미;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29-342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학습에서 자아요인, 스트레스요인, 적응 및 통제요인, 시험불안 및 학습몰입과 학업소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학업소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J 지역 1개 대학의 토익학습반에 참여하는 보건계열 대학생 29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4월 3일부터 4월 14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자아요인, 스트레스요인, 적응 및 통제요인, 시험불안, 학습몰입 및 학업소진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경제적스트레스 및 취업스트레스, 시험불안, 학습몰입과 자아요인이 학업소진을 설명하는 squared multiple correlations은 98.8%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학습의 학업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이들 요인들을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학습의 학업소진을 낮추는 토익학습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의 임상실습 전환충격, 회복탄력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and resilience on academic burnout of dental hygiene students)

  • 문상은;문혜수;김은채;김민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41-550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degree of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analyze factors affecting academic burnout. Methods: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20, 2022,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201 dental hygiene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and subsequently conducted a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s 22. Results: The transition shock and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r=-0.211), transition shock and academic burnout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r=0.484), and 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r=-0.568). Regarding factors affecting academic burnout, academic burnout increased when the transition shock was greater (β=0.263, p<0.001), major satisfaction after clinical practice was lower (β=0.180, p<0.05), and the average grades were lower (β=0.169, p<0.01). Academic burnout decreased when resilience was greater (β=-0.435, p<0.001). Conclusions: To prevent clinical practice transition shock and academic burnout, and to increase the resili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learning strategies, chang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stablish a systematic clinical practice management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