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uconostoc mesenteriode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Leuconostoc mesenteroides M-12 덱스트란수크라제의 말토스 억셉터 반응으로 합성된 새로운 분지 올리고당의 구조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ovel Branched Oligosaccharides Syntesized by a Maltose Acceptor Reaction with Dextransucrase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M-12)

  • 서현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2-109
    • /
    • 1997
  • 효소반응과 부분 산가수분해 결과를 해석하여 Leuconostoc mesenteriodes M-12 덱스트란수크라제 억셉터 반응 산물인 새로운 분지올리고당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분지올리고당 B4의 구조는 62-O-$\alpha$-D-kojibiosylmaltose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분지올리고당 B5의 구조는 63-O-$\alpha$-D-kojibiosylpanose였다. 억셉터 반응산물을 덱스트라나제로 분해한 결과 새로운 올리고당인 D4를 확인할 수 있었다. 억셉터 반응산물을 억셉터로 이용한 두 번째 억셉터 반응의 생성물을 덱스트라나제 처리하여 D4를 얻었는데 덱스트라나제와 글\ulcorner아밀라제에 의해 분해되지 않았다. 그 구조는 62-O-$\alpha$-D-kojibiosylisomaltose로 확인되었다. 직선상 또는 분지 결합을 가진 d.p. 6 이하의 억셉터 반응산물의 생성 패턴도 확인하였다.

  • PDF

장김치의 제조 및 발효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y-Sauce-Kimchi)

  • 김은정;한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7-524
    • /
    • 2008
  • This study made Soy-Sauce-Kimchi and investigated its pH, acidity, microorganism, salinity, chromaticity, viscosity and taste to revive traditional Soy-Sauce-Kimchi using Soy-Sauce instead of salt and to report it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s one of studies on traditional Kimchi, it tried for practical use of traditional Soy-Sauce-Kimchi which had been eaten in the middle region of Korea, especially in Seoul but currently has been prepared by only a few people and has disappear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mong three groups of Soy-Sauce-Kimchi-I(s1), Soy- Sauce-Kimchi-II(s2) added by 2.5% sucrose and the control group(C), acidity of s2 was sharply increased after 24 hours and 72 hours at $20^{\circ}C$ and $10^{\circ}C$ respectively and there was few difference in salinity by temperature. In the case of s2 group, addition of 2.5% sucrose was considered to lead to increase of salinity. For chromaticity, while the L value and b value became larger after 48 hours, the a value tended to decline. Viscosity of s2 grew after 24 hours at all of $20^{\circ}C$, $10^{\circ}C$ and $1^{\circ}C$ and that was thought to be because propagation of bacteria such as Leuconostoc mesenteriodes following addition of 2.5% sucrose secreted dextransucrose so sucrose was transferred into dextran to increase viscosity. The total number of microorganisms was recorded to be largest after 48, 36 and 72 hours at $20^{\circ}C$, $10^{\circ}C$ and $1^{\circ}C$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the largest at $1^{\circ}C$ after 72 hours compared to those at other temperatures. That was considered to be because microorganisms such as Leuconostoc mesenteriodes are psychrotropic lactic acid bacteria. For sensory evaluation, all appearance, chromaticity and odor of C were higher by $3{\sim}4$ points than those of s1 and s2(p < 0.001) and their feel also showed a similar tendency(p < 0.05). Consideri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more researches were needed to overcome difference of taste for Soy-Sauce-Kimchi according to age due to characteristic flavor and smell of soy-source.

김치로부터 분리한 젖산균의 다양성과 항균성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김사열;안대경;한태원;신현영;진익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1-196
    • /
    • 2003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분리한 젖산균의 다양성과 항균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희석한 김치 국물을 CaCO$_3$가 첨가된 MRS 고체 배지에 도말 한 후, $25^{\circ}C$에서 2일 동안 배양하여 여러 가지 김치로부터 27가지의 젖산균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한 젖산균들을 Bergey 분류법과 BPB 배지를 통한 생화학적인 방법과 16S rDNA PCR을 이용한 분자 생물학적인 방법으로써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들 분리 젖산균은 16S rDNA 부분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iodes(11균주), Leu. carnosum(3균주), Lactobacillus curvatus(8균주), Lac. pentosus(2균주), Weisselia kimchi(1균주), W. cibaria(1균주), Pediococcus pentosaceus(1균주) 등의 것과 각각 매우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중 Leu. carnosum은 이전에 김치에서 분리되었다고 보고된 바가 없다. 그리고 이들 김치에서 분리 동정한 균들의 항균작용 활성을 검사 해 본 결과 균주에 따라서 활성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으나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 paratyphica, S. typhi, Staphylococcus aureus, Shigella boydii, S. sonnei 등에 대해 뚜렷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오미자 물추출물이 나박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Nabak Kimchi Preservation)

  • 문성원;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14-821
    • /
    • 2000
  • 나박김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보존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오미자 물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시료의 농도를 0.5, 1.0, 1.5, 2.0%로 사용하여 항산화력 및 전자공여능을 측정하고 나박김치 발효에 관여하는 젖산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호력은 TBA값을 측정하였는데, 오미자 물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는 현저하였다. 전자공여능 또한 오미자 물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냈고, 1.0% 이상이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나박김치에서 잦산균을 분리한 결과 117균주를 1차 분리하였고, 이 가운데 성장이 우수하고 산 생성력이 강한 4균주를 2차 선별하여 Lactobacillus brevis, Lactococcus faecalis,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Lactobacillus brevis를 제외한 세 균주 모두 오미자 물추출물 첨가에 의한 뚜렷한 성장 억제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나막김치 담금시에 항산화성과 항균활성이 있는 오미자 물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소금농도가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증식속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Salt Concentrations on Growth Rat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소명환;이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41-347
    • /
    • 1996
  • Growth curves of seven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were graphed, when they were cultivated at 3$0^{\circ}C$ in filter sterilized Chinese cabbage juice containing 0, 2, 4 and 6% salt, and then lag time and generation time were calculated. The shapes of growth curves were changed differently among strains, as salt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The addition of 2~4% salt resulted in prolongation of lag time were most omspicuous in Leu. Paramesenteroides and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and the next in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m Lac. Bavaricus and Lac. Gomohiochii, and the least in Lac. Plantarum and Lac. Brevis. And then the prolongations of generation time were most remarkable in Lac. bavaricus and Lac. Homohiochii, and the next in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and Leu. Paramesenteroides, and the least in Lac. Plantarum and Lac. brevis. By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s from 0 to 2%, the generation times of Leu. C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and Leu. Mesenteriodes subsp. Mesenteroides were prolonged slightly, while those of Lac. Homohiochii and Lac. Brevis were not changed, and those of Lac. Plantarum, Lac. Bavaricus and Leu. Paramesenteroides were shortened slightly. As salt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from 2% to 4%, inversions in the order of generation time occurred among strains. As a whole, lower salt concentrations were more favorable for the growth of Leuconostoc strains, while higher salt concentrations were for Lactobacillus strains.

  • PDF

생광석 함유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한 김치의 포장저장 (Packaging and Storage of kimchi with Polyethylene Film Contained Raw Ore)

  • 김순동;김미향;김미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55-362
    • /
    • 1998
  • 적외선을 발생하는 생광석 분말을 0, 10, 20, 30 및 40%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필름(PFRO)을 제작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김치를 포장하여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대장균을 비롯한 균수와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pH와 산도의 변화로 평가한 숙성정도는 PFRO포장김치가 대조구에 비하여 숙성이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숙성된 김치맛을 띠는 총기간은 길었다. PFRO포장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젖산균 수는 많으면서 대장균수는 현저하게 적었으며, L*값은 전반적으로 낮은 반면 a*, b*값은 높았다. PFRO포장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숙성 숙성초기부터 숙성된 맛과 적당한 아삭아삭한 맛을 나타내었으며, 종합적인 맛의 평가치가 높게 유지되는 일수가 길었다. 김치 포장에 적합한 생광석 함유율은 10-20%이었다.

  • PDF

문어 배추김치에서 분리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K-1을 이용한 수산물김치의 제조 및 발효 특성 (Produ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eafood kimchi started with Leuconostoc mesenteriodes SK-1 isolated from octopus baechu kimchi)

  • 장미순;정고운;윤재웅;남기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050-10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김치의 시원한 맛과 풍미를 오랫동안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수산물김치 전용 유산균 스타터를 찾고자 하였다. 문어 배추김치로부터 내산성 및 덱스트란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 SK-1을 선발하고 동정한 결과 L. mesneteriodes와 99% 상동성을 나타내어 L. mesneteriodes SK-1으로 명명하였다. 수산물김치 스타터로서 L. mesneteriodes SK-1 균주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pH, 산도, 젖산 생성량 및 Lesuconostoc sp. 균주의 변화를 L. mesneteriodes KCTC 13302 및 L. mesneteriodes KCTC 3505 균주와 비교하였다. L. mesneteriodes SK-1 균주 배양액을 스타터로서 첨가하여 제조한 문어 배추김치의 pH는 숙성 21일 이후부터는 4.56에 도달한 이후 계속 유지되는 양상을 보인 반면 L. mesneteriodes KCTC 13302 및 KCTC 3505 배양액을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는 숙성 21일 이후부터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L. mesneteriodes SK-1 균주를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의 산도는 $4^{\circ}C$에서 숙성 28일째 적정 산도 0.65%에 도달한 반면에 L. mesneteriodes KCTC 13302 및 KCTC 3505 균주를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는 각각 숙성 17일 및 21일 경에 적정 숙성 산도인 0.65%에 도달하였다. 또한, L. mesneteriodes SK-1 균주를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는 숙성 21일째 젖산 생성량이 0.72 mg/mL를 나타낸 이후 숙성 28일 및 35일째에도 젖산 생성량은 0.76 mg/mL 및 0.79 mg/mL로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L. mesneteriodes KCTC 13302 및 KCTC 3505 균주를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는 숙성 28일째에 젖산생성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각각 1.12 mg/mL 및 1.15 mg/mL을 나타내었다. 한편, L. mesneteriodes SK-1 균주를 첨가한 문어 배추김치는 숙성 14일째 이후부터 Leuconostoc sp. 균수가 $10^8CFU/mL$ 이상의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관능평가 결과에서도 SK-1 균주를 첨가한 김치가 KCTC 13302 및 KCTC 3505 균주를 첨가한 김치보다도 신맛은 적고 시원한 맛, 탄산미 등의 종합적인 맛 평가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 mesneteriodes SK-1 균주를 첨가하여 제조한 수산물김치는 산도 및 젖산생성량이 낮아 적정 숙성도가 오래 유지됨으로서 관능적으로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저장 및 유통이 가능한 수산물 김치 전용 스타터로서의 활용가능성이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