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ian Communitie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8초

사서 계속교육을 위한 전문가학습공동체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Continuing Education of Librarians)

  • 강지혜;소병문;정영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81-198
    • /
    • 2024
  •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비정형 학습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주도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문가학습공동체를 사서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적용해보고자 관련 문헌과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외의 사서와 타 분야의 전문가학습공동체 7개의 운영 사례를 선정하여 학습공동체 구성, 운영 형식과 방법, 학습 내용, 지원 체계 등을 분석하였다. 문헌 검토와 사례 분석을 종합하여 (가칭)사서학습공동체의 개념을 정의하고, 사서학습공동체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으로 구성의 자발성과 다층위성, 학습공동체 운영 형식의 다양성, 학습 내용의 현장성을 도출하였다. 사서학습공동체의 원활한 운영과 활성화를 위한 지원 체계로는 운영기관의 프로그램 운영의 지속성, 소속기관의 지지와 협조,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성과 확산과 환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실행공동체 사례연구를 통한 공공도서관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ing Role of Public Libraries by the Case Studies of Community of Practice)

  • 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9-358
    • /
    • 2016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를 실행공동체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함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미국도서관협회의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도서관(LTC)' 사례를 분석하였다. LTC 프로그램에 참여한 공공도서관들은 사서들이 매개자가 되어 실행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러한 실천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은 도서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도 변화시켰다. 따라서 이 사례들을 통해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의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4단계로 모델링하였고,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조직 내 구성원의 역량 강화, 둘째, 도서관 서비스 개선을 위한 사서들의 실행공동체, 셋째, 지역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해 협업하는 사서와 지역주민 실행공동체, 넷째, 실행공동체로서의 지역사회이다.

A Study on Comparing the Perception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about Libraries' Value

  • Noh, Younghee;Lee, Kwang Hee;Choi, Sang-K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67-100
    • /
    • 2018
  • This study comprehensively draws a conclusion using factors of economic, social, and educational value and performed a survey on librarians and user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Libraries had the social value not only on research and personal learning but also on establishment and vitalization of communities, provision of opportunities to share ideas between local residents and create something new, and provision of recreation to improve the residents' capability. Second, both groups evaluated the libraries' educational role and function relatively highly. In particular, the librarians scored very high for the items that the libraries' educational role was expanding, the libraries were a part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libraries' value on reading and literacy was great, and the users thought that libraries had an value because they were a part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system. Third, economic value part also obtained relatively lower scores than other values; the mean of the librarian group was 3.46 and the user group was 3.43. Among the economic values, the librarian group scored the highest for the area of economic value for local communities, and the greatest scores were given to manpower development by the users.

사서학습공동체에 관한 사서의 인식 및 수요조사 (A Survey of Librarians' Awareness and Demand for Librarian Learning Communities)

  • 정영미;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99-122
    • /
    • 2024
  • 본 연구는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가능성과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사서학습공동체에 대한 사서의 인식 및 수요를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서관 현직 사서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74건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학습공동체에 대해 사서는 매우 낮은 인식을 지니고 있었지만 사서학습공동체 운영의 취지와 의미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하였다. 둘째, 사서학습공동체의 참여동기는 전문성 신장, 동료들과의 연대, 지적 호기심 충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서는 사서학습공동체의 궁극적 가치로 도서관 서비스 개선, 전문성 함양, 협력적 집단 탐구, 가치와 비전 공유의 순으로 응답했다. 넷째, 사서학습공동체의 성공요인은 구성원의 자발성, 구성원 간의 협력 문화, 일과시간 확보(주 1회), 지원 환경(예산, 공간 등) 등 순으로 나타났고, 실패 요인은 사서 업무 과중으로 인한 시간 부족, 구성원의 자발성 부족, 기관장의 무관심, 지원 환경(예산, 공간 등)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서의 사서학습공동체 참여의지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있는 주제 또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시, 실질적인 운영 방식의 결정이나 주제 선정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rack for Civil Service Librarian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1-63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librarians in society. To this end,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S curriculum, determined demand from field librarians through a survey, carried out job analysis by library types, and developed an operating model for LIS curriculum by synthesizing all of these results. Finally, we suggested a course of study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based on this model. As a result, the six required courses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The four core courses for the civil service concentration are: Collection Development, Information Sources by Subjects,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Digital Libraries. Suggested electives best suited to this career path include Using Web Resource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Services in Culturally Diverse Communities, Library Marketing, Libraries and Cultural Programs, Reading Guidance, Library History, Small Library Management, Studies in Library Buildings, Library Cooperation,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Building Libraries and Librarian Archive)

  • 강민지;이해영
    • 기록학연구
    • /
    • 제80호
    • /
    • pp.89-128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기록이 '정체성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직업 아카이브가 직업에 대한 역사와 문화를 보존함으로써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도서관 사서를 중심으로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를 구축함으로써 도서관 사서와 관련된 기록을 보존하고 사서 간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와 같은 아카이브가 본인 스스로와 집단의 역사와 정체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 그 구축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사서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에는 어떤 기록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어떤 기록이 사서의 정체성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면담 결과 사서의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기록을 확인하였고, 사서의 역사와 관련된 기록도 확인하였다. 또한 도서관 사서와 관련한 역사적 사건이나 앞세대 사서들이 해왔던 도서관 서비스 등이 사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는 사서들에게 사서로서의 본인을 돌아보고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기관과 공동체 간의 협력을 통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및 사서 기록은 한 기관만의 기록을 넘어 다양한 도서관과 공동체들의 기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사서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서 사서의 직업 정체성 강화, 사서의 역사 공유, 집단 지성 플랫폼, 효율적인 업무처리, 도서관과 사서의 사회적 지위 향상 등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의 형성과정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and Sustainability of Community of Practice in Public Libraries)

  • 박성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13-131
    • /
    • 2018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의 형성과 지속을 위하여 매개자로서의 사서의 필요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의 형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연구를, 실행공동체의 매개자로서 사서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공동체(CoP)는 영역, 공동체, 실천을 바탕으로 지식을 순환시키는 공동체이다. 둘째, 실행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조직 내 리더와 조직 외 관리자의 중간 역할을 하며 운영을 지원하고 지식공유를 독려하는 매개자가 필요하다. 셋째, 공공도서관 사서가 발굴한 프로그램과 동아리는 잠재적 실행공동체이다. 이 잠재적 실행공동체는 참여자였던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수혜자가 프로그램의 제공자로 환원됨으로써 지속가능한 실행공동체로 발전한다. 넷째,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에서 실행공동체의 매개자는 사서이다.

공공 도서관문화프로그램 유형 분석 연구 - 미국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Public Library Programs: U.S. Public Libraries' Practices)

  • 최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51-374
    • /
    • 2020
  •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정보문화 거점으로 다양한 장서를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도록 미국도서관협회에서 운영하는 'Programing Librarian'에서 공유되고 있는 미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최근 3년간 사례를 분석하였다. Programing Librarian'은 사서들이 도서관문화프로그램을 기획한 사례를 공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나 쟁점을 논의할 수 있는 정보공유 사이트이다.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결과 취미, 문화, 독서와 같은 기존 프로그램 유형이 주요 영역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사회나 생활과 같은 유형의 내용도 나타나고 있으며 친목도모나 체험과 같은 새로운 형식의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최소 비용으로 문화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경향은 미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문화프로그램 홍보 방식으로는 Facebook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공공도서관 위기의 실체와 해법 (Substance and Solution of Crisis in Korea's Public Libra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5-24
    • /
    • 2010
  • 지난 60년 이상 국내의 공공도서관은 지역단위로 사회적, 교육적, 문화적 복리에 중요하게 기여하여 왔다. 이러한 기여에도 불구하고 현재 공공도서관은 위기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만약 현재의 위기가 심각한 수준이라면 도서관과 사서직은 극복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어골도 기법을 적용하여 도서관 위기를 초래한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 극복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 PDF

한국의 사서직 윤리규정 방향 제안 (A New Model for Codes of Ethics for Librarians of South Korea)

  • 김혜경;남태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9-352
    • /
    • 2004
  • 21세기 지식기반 사회는 사서직에게 전문직으로서의 윤리규정의 필요성과 준수를 요구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협회 및 전문직 단체에서는 전문직의 기준과 윤리강령을 발표하고 있으며, 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와 더불어 사서들로 하여금 명시된 기본적인 윤리 개념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을 비롯하여 영국, 일본, 한국 도서관의 사서직의 윤리규정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각국의 윤리규정과 한국의 것을 비교하여 개선된 사서직 윤리규정 모델을 제안하였다. 개선된 사서직 윤리규정은 크게 정보윤리와 전문직 윤리로 구성된다. 정보윤리는 평등한 접근 및 서비스, 검열의 거부, 사생활 보호, 사서의 중립성, 지적자유보장의 6가지 항목을 필수요소로 제안하였다. 전문직 윤리에는 개인적 이익배제, 전문지식의 계속적 발전 및 노력, 전문직 위상 유지, 전문직 임무와 소속된 기관에 대한 갈등, 동료 및 다른 업자와의 관계, 권리와 복지를 위한 고용조건 확보, 도서관간의 상호협력, 문화창조에의 공헌 등을 주요 요소로 제안하였다.